연습곡 Op. 10, 3번 (쇼팽)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YouTube|bzBH9Nm1BP8|||center|'''Rousseau의 연주'''}}
{{토막글}}
쇼팽의 '''연습곡 Op. 10, 3번''' (Étude Op. 10, No. 3)[[프레데리크 쇼팽]]이 [[1832년]]도에 작곡한 피아노 연습곡이다. "Tristesse (슬픔)", 또는 "L'Adieu (이별의 곡)"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평론가가 붙인 이름으로 작곡가 본인이 지은 별칭이 아니다. <ref>[https://books.google.ca/books?id=L57TDAAAQBAJ&pg=PT266&dq=tristesse+chopin+critics&hl=en&sa=X&ved=0ahUKEwip45fE0ofUAhUJ5YMKHTcJB98Q6AEIKDAB#v=onepage&q=tristesse%20critics&f=false The Country That Refused to Die: The Story of the People of Poland]</ref>
{{작성중}}
== 구성 ==
{{YouTube|rGuUj26UubA|||center|{{날짜/출력|1984-01-01}}에 녹음된<br>Maurizio Pollini의 연주}}
* 쇼팽의 다른 연습곡과 같이 세도막 형식 (A - B - A) 을 지니고 있다.
 
 
쇼팽의 '''연습곡 Op. 10, 3번''' (Étude Op. 10, No. 3)[[프레데리크 쇼팽]]이 [[1832년]]도에 작곡한 피아노 연습곡. "Tristesse (슬픔)", 또는 "L'Adieu (이별의 곡)"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평론가가 붙인 이름으로 작곡가 본인이 지은 별칭이 아니다. <ref>[https://books.google.ca/books?id=L57TDAAAQBAJ&pg=PT266&dq=tristesse+chopin+critics&hl=en&sa=X&ved=0ahUKEwip45fE0ofUAhUJ5YMKHTcJB98Q6AEIKDAB#v=onepage&q=tristesse%20critics&f=false The Country That Refused to Die: The Story of the People of Poland]</ref>
== 정보 ==
=== 구조 및 스타일 ===
쇼팽의 다른 연습곡과 같이 세도막 형식 (A - B - A) 을 지니고 있다.  
=== 연주 난도 ===
=== 트리비아 ===
* 본래 이 곡의 빠르기는 Lento, ma non troppo<ref>느리게, 그러나 과하지 않게</ref> (♪=100) 로 표기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연주자는 표기보다 느리게 연주한다. <ref> Ekier, Jan, ed. (National Edition). "Performance Commentary". Chopin Etudes. Warsaw: Polskie Wydawnictwo Muzyczne, 1999, p. 138.</ref>
* 본래 이 곡의 빠르기는 Lento, ma non troppo<ref>느리게, 그러나 과하지 않게</ref> (♪=100) 로 표기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연주자는 표기보다 느리게 연주한다. <ref> Ekier, Jan, ed. (National Edition). "Performance Commentary". Chopin Etudes. Warsaw: Polskie Wydawnictwo Muzyczne, 1999, p. 138.</ref>
== 매체 ==
== 매체 ==
=== 음반 및 영화 ===
* '''[[Deemo]]''' - 모바일 피아노 리듬 게임 Deemo의 Etude Collection 첫 번째 수록곡으로 추가되었다. '''{{색|#32CD32|EASY 1}} / {{|#FFD700|HARD 5}}'''로 추가되었으며, A 도막만 추가된 탓에 3, 4레벨 수준의 매우 쉬운 난이도를 보인다.  
* [[1963년]]에 발매된 Jo Stafford의 앨범 《You Belong To Me》의 수록곡 [https://www.youtube.com/watch?v=Plx1ry1M_ao No Other Love]는 이 곡의 A 도막의 멜로디에 보컬을 추가해 편곡된 곡이며, 이후 2015년에 공개된 영화 《캐롤》 의 OST로 사용되었다.
 
=== 게임 트랙 ===
==== DEEMO ====
{{DEEMO의 수록곡
|일러스트=deemo_tristesse.png
|곡 제목=Tristesse
|아티스트=Chopin
|BPM=Lento, ma non troppo
|Easy레벨=1
|Hard레벨=5
|Easy노트수=104
|Hard노트수=236
}}
{{DEEMO/Etude Collection}}
 
 
모바일 피아노 리듬 게임 DEEMO의 Etude Collection에 A 도막 파트가 첫 번째 수록곡으로 추가되었다.
{{-}}
----
{{
|제목1=Hard
|내용1={{YouTube|nTJKHER9tn4|||center|'''AC 영상'''}}
5레벨로 당시 모바일판 HARD 최저 레벨인 5레벨 배정받았음에도 굉장히 낮은 밀도의 패턴으로 인해 3 - 4레벨로 평가받으며, 가끔씩 등장하는 동타 엇박 슬라이드 + 단타가 그나마 어렵다고 할 수 있는 패턴이다.
 
}}
{{각주}}
{{각주}}
[[분류:프레데리크 쇼팽의 연습곡|1]]
{{번역된 문서|en|Étude Op. 10, No. 3 (Chopin)}}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