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징병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여성징병제'''(女性徵兵制)는 [[여성]]을 병역자원으로 징집하는 사회 제도다. '여성만'을 징집하는 것도 포함하나 대개의 [[나라]]에서는 여성만 징집하는 경우는 없고 남성과 여성 모두를 징집하는 것을 가리키며, 사실상 '양성징병제'의 의미로 통하지만 여성징병제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여성징병제'''(女性徵兵制)는 [[여성]]을 병역자원으로 징집하는 사회 제도다. '여성만'을 징집하는 것도 포함하나 대개의 [[나라]]에서는 여성만 징집하는 경우는 없고 남성과 여성 모두를 징집하는 것을 가리키며, 사실상 '양성징병제'의 의미로 통하지만 여성징병제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 국가별 현황 ==
== 국가별 현황 ==
45번째 줄: 45번째 줄:
[[대한민국]]에서는 여성에게 실질적인 [[국방의 의무]]가 부과되지 않으므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2010년]]과 [[2014년]] 각각 [[헌법재판소]]에서 '[[남성]]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합헌이라고 판시한 바 있다.<ref>[http://www.ccourt.go.kr/home/information/precedent02_view.jsp?seq=808&sch_code=5 남성에 한정한 병역의무 부과 사건], 헌법재판소, 2010.11.25.</ref><ref>[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4/03/10/0505000000AKR20140310171600004.HTML 헌재 "남성에게만 병역의무 부과, 전원일치 합헌"], 연합뉴스, 2014.03.11.</ref>
[[대한민국]]에서는 여성에게 실질적인 [[국방의 의무]]가 부과되지 않으므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2010년]]과 [[2014년]] 각각 [[헌법재판소]]에서 '[[남성]]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합헌이라고 판시한 바 있다.<ref>[http://www.ccourt.go.kr/home/information/precedent02_view.jsp?seq=808&sch_code=5 남성에 한정한 병역의무 부과 사건], 헌법재판소, 2010.11.25.</ref><ref>[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4/03/10/0505000000AKR20140310171600004.HTML 헌재 "남성에게만 병역의무 부과, 전원일치 합헌"], 연합뉴스, 2014.03.11.</ref>


다만, 여성에게 징병제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 합헌이라는 것이지 징병제를 실시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얘기는 아니며 대체복무 등 합당한 유사징병의무 수행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판결 내용이 있었다. 이와 함께 남성의 병역의무에 해당할만큼 사회적인 기여가 있으며 동등한 노동강도를 요구하는 의무대체복무 방안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여성징병제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거론된다. 이는 저출생 현상에 따라 징병 대상에 해당하는 20세 남성의 인구 수 감소와 함께 특히 대두된다.<ref>[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16 e-나라지표 지표조회]</ref> 전투 병기들의 현대화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병력 자원인 인간 자체는 여전히 상당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다만, 여성에게 징병제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 합헌이라는 것이지 징병제를 실시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얘기는 아니며 대체복무 등 합당한 유사징병의무 수행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판결 내용이 있었다. 이와 함께 남성의 병역의무에 해당할만큼 사회적인 기여가 있으며 동등한 노동강도를 요구하는 의무대체복무 방안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여성징병제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거론된다. 이는 저출생 현상에 따라 징병 대상에 해당하는 20세 남성의 인구 수 감소와 함께 특히 대두된다.<ref>[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16 e-나라지표 지표조회]</ref> 전투 병기들의 현대화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병력 자원인 인간 자체는 여전히 상당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여성징병제의 국가적인 도입 추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국민청원으로 첫 여성징병제 청원이 등장하자 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방 의무를 남녀가 함께 해달라는 청원도 재밌는 이슈 같아요"라며 가벼운 발언을 내놓았고, 국방부에서도 도입에 대한 움직임이 없었으며 2021년 4번째 여성징병제 청원이 등장한 뒤 재차 여성징병제와 모병제를 비롯한 병역제도 개편에 대해 '안보상황, 군사효용성,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어야한다'며 특정한 입장을 내세우기 힘들다는 언급과 함께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였다.<ref>[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447836 일일 정례브리핑 - e브리핑],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4.20.</ref>
대한민국에서 여성징병제의 국가적인 도입 추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국민청원으로 첫 여성징병제 청원이 등장하자 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방 의무를 남녀가 함께 해달라는 청원도 재밌는 이슈 같아요"라며 가벼운 발언을 내놓았고, 국방부에서도 도입에 대한 움직임이 없었으며 2021년 4번째 여성징병제 청원이 등장한 뒤 재차 여성징병제와 모병제를 비롯한 병역제도 개편에 대해 '안보상황, 군사효용성,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어야한다'며 특정한 입장을 내세우기 힘들다는 언급과 함께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였다.<ref>[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447836 일일 정례브리핑 - e브리핑],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4.20.</ref>
107번째 줄: 107번째 줄:
! 반대
! 반대
|-
|-
| 여성에게 [[병역]]을 부과할 경우 당연히 병역자원이 늘어나므로 상대적으로 남성의 복무기간이 단축되며 남는 기간에 남성, 여성 모두 짧은 공백기를 끝내고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며 대다수의 경제활동을 남성이 지는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상 [[경제]]가 오히려 좋아지면 좋아졌지 나빠질 일은 없다.
| 여성에게 [[병역]]을 부과할 경우 당연히 병역자원이 늘어나므로 상대적으로 남성의 복무기간이 단축되며 남는 기간에 남성, 여성 모두 짧은 공백기를 끝내고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며 대다수의 경제활동을 남성이 지는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상 [[경제]]가 오히려 좋아지면 좋아졌지 나빠질 일은 없다.  
 
| 현재 젊은 세대로 갈 수록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의 선호가 점점 줄어들고 여성과 남성이 비슷한 경제활동을 하는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다.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고 해서 경제가 좋아진다고 보기 힘들다.
| 현재 젊은 세대로 갈 수록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의 선호가 점점 줄어들고 여성과 남성이 비슷한 경제활동을 하는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다.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고 해서 경제가 좋아진다고 보기 힘들다.
|-
|-
| 직접적으로 여성징병제에 대해 다룬 것은 아니지만, [[이재명]] 성남시장은 병력 감축 및 복무기간 단축에 대해서 '군 복무 기간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10개월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10만명의 전문 전투병(전투프로)과 고가 고성능 장비 무기 담당 전문병사를 모병하고, 의무 복무병은 10개월 정도로 단축하자.'라고 주장했다. 연장선상에서 보자면, 여군을 징병하여 복무인원을 늘리면서, 병사 개개인의 복무기간은 감축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2017년 기준으로 국방개혁안에서 복무기간을 18개월로 감축할 예정이 있는데, 여성징병제를 실시하여 부족한 군 인력을 충당하고 남녀 모두 복무기간을 적당하게 10개월 정도로 감축한다면 사회적 부담과 징집된 남성의 부담이 줄어들고, 여성도 국방의 의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여 여성지위의 상승을 얻을 수 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7/2017011701347.html</ref>
| 직접적으로 여성징병제에 대해 다룬 것은 아니지만, [[이재명]] 성남시장은 병력 감축 및 복무기간 단축에 대해서 '군 복무 기간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10개월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10만명의 전문 전투병(전투프로)과 고가 고성능 장비 무기 담당 전문병사를 모병하고, 의무 복무병은 10개월 정도로 단축하자.'라고 주장했다. 연장선상에서 보자면, 여군을 징병하여 복무인원을 늘리면서, 병사 개개인의 복무기간은 감축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2017년 기준으로 국방개혁안에서 복무기간을 18개월로 감축할 예정이 있는데, 여성징병제를 실시하여 부족한 군 인력을 충당하고 남녀 모두 복무기간을 적당하게 10개월 정도로 감축한다면 사회적 부담과 징집된 남성의 부담이 줄어들고, 여성도 국방의 의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여 여성지위의 상승을 얻을 수 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7/2017011701347.html</ref>
| 여성징병제를 실시하면 국방비/군인 수가 커진다. 그러나 그에 비하여 군사력/국방비는 줄어든다. 군은 신체 능력 = 노동력인 공간이기에 여성은 남성에 비해 매우 낮은 노동력을 가진다. 또한 복무기간이 감축되어도 훈련에 드는 기간은 그대로이기에 훈련을 마치고 나서 교육 받은 채로 복무할 수 있는 기간도 적어진다. 이 요인들은 곧 군사력의 큰 저하로 나타난다.
| 여성징병제를 실시하면 국방비/군인 수가 커진다. 그러나 그에 비하여 군사력/국방비는 줄어든다. 군은 신체 능력 = 노동력인 공간이기에 여성은 남성에 비해 매우 낮은 노동력을 가진다. 또한 복무기간이 감축되어도 훈련에 드는 기간은 그대로이기에 훈련을 마치고 나서 교육 받은 채로 복무할 수 있는 기간도 적어진다. 이 요인들은 곧 군사력의 큰 저하로 나타난다.  
 
|-
|-
| 초기 투자비용 자체는 훨씬 긴 기간의 징병 제도의 발전을 위해 충분히 투자할 정도이다. 김화숙 재향군인회 여성회 회장은 '신체적 이유는 변명이며 여군 징집에 드는 비용은 무기 구입 때의 리베이트만 줄여도 마련된다.'라며, 다른게 문제가 아니라 생각이 문제라고 지적했다.<ref>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33175604</ref> 당장 구막사를 신 생활관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며 여기에 더한다면 충분히 합리적인 비용을 들여서 해결 가능하다.
| 초기 투자비용 자체는 훨씬 긴 기간의 징병 제도의 발전을 위해 충분히 투자할 정도이다. 김화숙 재향군인회 여성회 회장은 '신체적 이유는 변명이며 여군 징집에 드는 비용은 무기 구입 때의 리베이트만 줄여도 마련된다.'라며, 다른게 문제가 아니라 생각이 문제라고 지적했다.<ref>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33175604</ref> 당장 구막사를 신 생활관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며 여기에 더한다면 충분히 합리적인 비용을 들여서 해결 가능하다.
126번째 줄: 124번째 줄:
! 반대
! 반대
|-
|-
| 현재 한국은 여성에겐 모병제만 실시되고 있어 대다수의 남성 군인 사이에서 적은 수의 여성이 군대에서 복무하기에 여군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무시할 수 없는 수로 일어난다.<ref>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872</ref> 그렇기에 성범죄 문제는 여자는 여자들만의 부사관 장교 병사 부대를 이루면 당연히 해소되고도 남는 문제이다.
| 현재 한국은 여성에겐 모병제만 실시되고 있어 대다수의 남성 군인 사이에서 적은 수의 여성이 군대에서 복무하기에 여군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무시할 수 없는 수로 일어난다.<ref>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872</ref> 그렇기에 성범죄 문제는 여자는 여자들만의 부사관 장교 병사 부대를 이루면 당연히 해소되고도 남는 문제이다.  
 
|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고 해도 남성과 마주치는 환경에 처해있다면 피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여성 징병의 대명사적 존재로서 언급되는 [[이스라엘군]]의 경우 내무생활의 철저한 격리에도 불구하고 여군의 6명 중 1명 꼴로<ref>https://www.jpost.com/Israel-News/1-in-6-female-IDF-soldiers-report-being-sexually-harassed-during-service-504693</ref> 직접적인 성범죄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남성 부사관, 장교, 병사, 부대가 있다고 함에도 한국군 내 동성간 성범죄는 해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군 내 성범죄는 2013년 478건, 2014년 649건, 2015년 668건, 그리고 2016년 871건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2027768</ref> 이를 종합해본다면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면 완전한 격리가 불가능하기에 인원 대비 사건은 늘어날 것이며, 성범죄 문제는 군 내 부조리 문화로 인해 심각해지는 문제이기 때문에 여성징병제가 아닌 군 인권의 개선을 통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고 해도 남성과 마주치는 환경에 처해있다면 피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여성 징병의 대명사적 존재로서 언급되는 [[이스라엘군]]의 경우 내무생활의 철저한 격리에도 불구하고 여군의 6명 중 1명 꼴로<ref>https://www.jpost.com/Israel-News/1-in-6-female-IDF-soldiers-report-being-sexually-harassed-during-service-504693</ref> 직접적인 성범죄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남성 부사관, 장교, 병사, 부대가 있다고 함에도 한국군 내 동성간 성범죄는 해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군 내 성범죄는 2013년 478건, 2014년 649건, 2015년 668건, 그리고 2016년 871건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2027768</ref> 이를 종합해본다면 여성징병제가 실시된다면 완전한 격리가 불가능하기에 인원 대비 사건은 늘어날 것이며, 성범죄 문제는 군 내 부조리 문화로 인해 심각해지는 문제이기 때문에 여성징병제가 아닌 군 인권의 개선을 통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