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넷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엠넷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은 [[엠넷]]에서 방영된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대한 투표 조작 사건이다.
이 문서에서는 [[엠넷]]에서 방영된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대한 투표 조작 사건을 다룬다.
 
== 투표 조작 사건 ==
=== [[PRODUCE 101]] ===
당시 출연자였던 니와 시오리가 [[PICK ME]]가 나오기도 전에 안무를 알던 연습생이 있었다며 트위터에 폭로했는데 세간의 주목을 받자 트윗을 지웠었다.
 
이후 경찰 조사를 통해 101명 중 61명을 뽑는 투표에서 2명의 연습생이 합격했음에도 다른 연습생 2명과 바꿔치기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 [[PRODUCE 101 시즌 2]] ===
모든 시즌 조작이 밝혀지면서 시즌2도 논란을 피할 수 없었는데, 시즌1과 마찬가지로 1차 방출 때 연습생 1명이 바꿔치기 당했었다. 심지어 최종 멤버를 뽑는 선발전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하면서 '''[[워너원]] 멤버 1명이 탈락자'''였단 게 밝혀졌다.
 
=== [[아이돌학교]] ===
방송 끝나고 [[이해인]]이 탈락하자 팬들이 의문을 제기했는데, 왜냐면 계속 데뷔조 순위에 들던 참가자고 팬들의 문자투표 인증수와 엠넷이 공개한 문자 투표수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 팬들은 법적 대응을 원했으나 [[이해인]] 측이 원하지 않아 무산되었었다.
 
그러다 [[프로듀스 X 101]] 조작 논란이 터지고 정식 수사에 들어가자 아이돌학교도 재조명된다. 그래서 실제 오디션 참가자들을 비롯해 참가자 [[이해인]]의 아버지까지 폭로를 했다.
 
이해인의 아버지는 처음에 법적 대응을 무산시킨 건, 나중에 [[이해인]]의 데뷔에 악영향을 줄까봐 그런 거라고 밝혔다. 출연 당시 누가 데뷔할 지 모르고 전속계약서에 서명했고,<ref>서명 안하면 이해인에게 불이익이 갈까봐 서명했다고 한다. 그런데 탈락...</ref> 탈락해도 "내년 10월까지는 데뷔시키겠다"는 말만 철썩 믿고 있었는데 5달 동안 연락도 잘 안 되고 방치하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프로듀스 X 101]] 관련 수사로 아이돌학교 문자투표 원본 데이터를 입수해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한다.
 
{{문서 가져옴|아이돌학교|743549}}
=== [[PRODUCE 48]] ===
안준영 PD가 PRODUCE 48의 투표 조작을 인정하였다.<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11966 <nowiki>프로듀스 안 모 PD "시즌 3 · 4 투표 조작 인정"</nowiki>]</ref> 거기다 한술 더 떠서 애초에 '''모든 [[아이즈원]] 멤버들은 정해져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안준영 PD는 최종 선발식에서 자기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자 최종 멤버를 그냥 다 정해버렸고, 임의로 순위를 정해 투표 문자 비율까지 다 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실상 투표는 필요는 없었음에도 '''유료 문자 투표'''를 통해 선발했다.


== 투표 조작 논란 ==
=== [[PRODUCE X 101]] ===
=== [[PRODUCE X 101]] ===
전 시즌 통틀어 있었으나 이번에 확실하게 터져 [[엑스원]] 자체 활동에도 지장을 준 논란이다.
전 시즌 통틀어 있었으나 이번에 확실하게 터져 [[엑스원]] 자체 활동에도 지장을 준 논란이다.
36번째 줄: 13번째 줄:
10월 15일, [[문화방송|MBC]] [[PD수첩]]에서 관련 내용이 방영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CJ 오디션 조작 의혹 다룬 'PD수첩', 시청률 1위…올해 신기록 경신|url = https://www.tvreport.co.kr/2014106|출판사 = TV리포트|저자 = 손효정 기자|날짜 = 2019-10-16}}</ref>
10월 15일, [[문화방송|MBC]] [[PD수첩]]에서 관련 내용이 방영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CJ 오디션 조작 의혹 다룬 'PD수첩', 시청률 1위…올해 신기록 경신|url = https://www.tvreport.co.kr/2014106|출판사 = TV리포트|저자 = 손효정 기자|날짜 = 2019-10-16}}</ref>


여기선 그냥 이전 시즌들에서 자행했던 조작질의 총집합이 나온다. 1차, 4차 방출 당시 합격자 바꿔치기 후 생방송 직전 [[엑스원]] 멤버 전원 선정.
{{문서 가져옴|프로듀스 X 101|730063}}
=== [[PRODUCE 48]] ===
안준영 PD가 PRODUCE 48의 투표 조작을 인정하였다.<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11966 <nowiki>프로듀스 안 모 PD "시즌 3 · 4 투표 조작 인정"</nowiki>]</ref>


{{문서 가져옴|PRODUCE X 101|730063}}
=== [[아이돌학교]] ===
== 수사 ==
방송 끝나고 [[이해인]]이 탈락하자 팬들이 의문을 제기했는데, 왜냐면 계속 데뷔조 순위에 들던 참가자고 팬들의 문자투표 인증수와 엠넷이 공개한 문자 투표수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 팬들은 법적 대응을 원했으나 [[이해인]] 측이 원하지 않아 무산되었었다.
결국 조작 논란만 나오다가 안준영 PD와 그 윗선이 구속되고, 본인이 [[PRODUCE 48]], [[PRODUCE X 101]]에 대한 조작 사실을 시인하면서 조작 확정이 났다. 현재 안 PD가 받고 있는 혐의가 여러 가지로, 그 중에는 순위를 올려주겠다고 돈을 받아놓고 순위를 안 올려준 '''사기죄'''도 적용되고 있다.


수사 결과 안준영 PD가 시즌3 방영 전 일부 연습생 소속사로부터 강남의 유명 유흥업소에서 '''약 40차례''' 접대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안 PD가 받은 돈을 총 합치면 1억을 넘는다고 한다.
그러다 [[프로듀스 X 101]] 조작 논란이 터지고 정식 수사에 들어가자 아이돌학교도 재조명된다. 그래서 실제 오디션 참가자들을 비롯해 참가자 [[이해인]]의 아버지까지 폭로를 했다.


시즌1과 시즌2에는 조작이 없다고 하였으나, 안 PD가 처음에는 조작 혐의를 완전히 부인했고, 수사 4개월만에 인정했기 때문에 알 수 없다고 한다.
이해인의 아버지는 처음에 법적 대응을 무산시킨 건, 나중에 [[이해인]]의 데뷔에 악영향을 줄까봐 그런 거라고 밝혔다. 출연 당시 누가 데뷔할 지 모르고 전속계약서에 서명했고,<ref>서명 안하면 이해인에게 불이익이 갈까봐 서명했다고 한다. 그런데 탈락...</ref> 탈락해도 "내년 10월까지는 데뷔시키겠다"는 말만 철썩 믿고 있었는데 5달 동안 연락도 잘 되고 방치하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시즌1과 2에서도 일부 혐의를 인정하고, 실제 득표수와 방영분의 득표수가 다른 것을 확인하여 사실상 전 시즌에서 조작이 있었다는 걸 인정했다.
결국 [[프로듀스 X 101]] 관련 수사로 아이돌학교 문자투표 원본 데이터를 입수해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한다.


== 영향 ==
{{문서 가져옴|아이돌학교|743549}}
의혹이 사실이 되자 시즌3, 시즌4의 데뷔 그룹인 [[아이즈원]][[엑스원]]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 수사 결과 ==
결국 조작 논란만 나오다가 안준영 PD와 그 윗선이 구속되고, 본인이 [[프로듀스 48]], [[프로듀스 X 101]]에 대한 조작 사실을 시인하면서 조작 확정이 났다. 현재 안PD가 받고 있는 혐의가 여러가지로, 그 중에는 순위를 올려주겠다고 돈을 받아놓고 순위를 안 올려준. '''사기죄'''도 적용되고 있다.


[[엑스원]]은 논란이 발생한 직후 '엑셀원'이란 조롱을 받기도 했고, 엠넷이 초기에 논란을 무마하려고 팬덤명을 급하게 정하고<ref>원잇(ONE IT)으로 정했는데, 이미 커뮤니티에서 2차 창작으로 만든 그룹명이라 논란이 있었다.</ref> 신속하게 데뷔 준비를 했었다. 그러나 데뷔를 하고 실제로 음방 1위도 했음에도 공중파 방송 출연 금지를 당하고, 서브웨이 광고 모델 취소, 심지어 [[엠넷]]이 주최하는 MAMA에서도 [[아이즈원]]과 [[엑스원]]의 출연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수사 결과 안준영 PD가 시즌3 방영 전 일부 연습생 소속사로부터 강남의 유명 유흥업소에서 '''약 40차례''' 접대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안PD가 받은 돈을 총 합치면 1억을 넘는다고 한다.


[[아이즈원]]은 한국에서 [[11월 11일]]에 정규 앨범으로 컴백할 예정이었는데, 결국 앨범 및 컴백쇼 모두 무기한 연기되었다. 또한 [[아이즈원]]을 해체시키라는 반응이 거셀 정도로 여론이 안좋아지고 있다.
시즌1과 시즌2에는 조작이 없다고 하였으나, 안PD가 처음에는 조작 혐의를 완전히 부인했고, 수사 4개월만에 인정했기 때문에 알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시즌1과 시즌2도 조작 사실이 드러나면서 [[아이오아이]][[워너원]] 역시 활동에 제약이 걸리게 되었다. 물론 그룹은 해체했지만 [[아이오아이]]는 재결합 논의가 있었던지라 사실상 이번 논란으로 인해 재결합은 완전히 흐지부지되어버렸다.
== 반응 ==
의혹이 사실이 되자 시즌3, 시즌4의 데뷔 그룹인 [[아이즈원]][[엑스원]]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이 논란으로 인해 시즌1 연습생이었던 니와 시오리의 트윗과, 시즌2 페이스북에 제작진의 실수로 워너원 멤버로 다른 연습생들의 사진을 올린 것까지 재조명받았다.
[[아이즈원]]은 한국에서 [[11월 11일]]에 정규 앨범으로 컴백할 예정이었는데, 결국 앨범 및 컴백쇼 모두 무기한 연기되었다. 또한 [[아이즈원]]을 해체시키라는 반응이 거셀 정도로 여론이 안좋아지고 있다.
 
실제로 《십대가수》라는 10대 일반인 대상으로 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방영하려고 했으나, 결국 이번 논란으로 무기한 연기되기도 했다.
 
=== 아이즈원의 활동 제약 ===
컴백을 앞둔 11월에 조작 사실이 밝혀지면서 아이즈원의 컴백이 11월에서 다음해 2월로 밀려났다.
 
=== [[엑스원]]의 해체 ===
[[엠넷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의 여파로, 엑스원은 데뷔를 했음에도 공중파 방송이 불가능했다. [[레드벨벳]]의 《음파음파》를 꺾고 공중파 1위를 했을 때도 방송에 나오지 못했다. 원래 [[써브웨이]] 광고 모델로 발탁되었으나 취소되는 등 제대로 된 활동을 못하고 있었다. 결국 [[워너원]] 정도로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기엔 역부족이었던 것.
 
결국 사태가 심각해지고 엑스원의 활동이 불투명하게 되자, CJ ENM은 대표이사가 직접 나서서 수익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아이즈원]]과 엑스원은 해체 안 시키고 활동 재개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2020년]] [[1월 6일]], 소속사들과의 의견 합치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엑스원은 공식 해체됐다.'''
{{문서 가져옴|엑스원}}
==[[아이즈원]]의 해체==
{{빈 문단}}


== 참고 ==
== 참고 ==
* [[:위키백과:엠넷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
* [[:위키백과:엠넷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
* {{나무위키|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 {{나무위키|엠넷 서바이벌 프로그램 투표 조작 사건}}


{{각주}}
{{각주}}
[[분류:엠넷]]
[[분류:엠넷]]
[[분류:2019년 대한민국]]
[[분류:2019년 대한민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