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하위키 미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웹사이트 정보
http://mirror.enha.kr<ref>현재 2015년 리그베다 영리화 사태, 청동, 대한민국 항목 등등이 '''오염'''되어있다. 현재 미러로 가는 것은 {{색상|#FF0000|''절대''' 권장하지 않는다.}}</ref>
|이름    = 엔하위키 미러
|원어이름 =
|패비콘  = enhawiki mirror favicon.png
|로고    =
|그림    = [[파일:enhawiki mirror mascot.png|150px]]
|그림설명 = 마스코트 하트
|URL      = mirror.enha.kr<ref>[http://web.archive.org/web/20150607151726/https://mirror.enha.kr/wiki/FrontPage 아카이브]</ref>
|종류    = 위키 미러 사이트
|운영    =
|제작    = Puzzlet Chung
|언어    = [[한국어]]
|시작일  = [[2011년]]
|종료일  =
|회원가입 = 없음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 BY-NC-SA 2.0 KR]]
|영리여부 = '''영리'''
|작성언어 =
|비고    =
}}


'''엔하위키 미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위키 [[미러 사이트]]로 [[리그베다 위키]](구 엔하위키)를 미러링했다. <del>[http://archive.is/AIest 빌어 처먹을 사이트라 카더라]</del> 과거 [[리그베다 위키]]가 [[엔젤하이로]]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서버]]가 터지는 일이 자주 있었는데, 이로 인해서 [[한국어 위키백과]]의 사무관이자 [[프로그래밍 언어]] [[아희]]의 개발자인 [[Puzzlet Chung]]이 만들었다.
== 개요 ==
'''리그베다 위키(구 엔하위키)를 미러링하는 사이트.''' 과거 리그베다 위키가 엔젤하이로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서버가 터지는 일이 자주 있었는데, 이로 인해서 [[한국어 위키백과]]의 사무관이자 [[프로그래밍 언어]] [[아희]]의 개발자인 Puzzlet Chung이 2011년 만든 사이트이다.


[[리그베다 위키]]는 외부에서의 검색을 통해 접속할 수 없던 반면 엔하위키 미러는 가능했기에 리그베다 위키보다 인지도가 높았으며, 이는 [[광고]] 수익이 적은 리그베다 위키간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후술할 분쟁으로 Puzzlet Chung은 [[2015년]] [[6월 8일]] 사이트를 폐쇄하고, 후신 사이트인 [[미러 (웹 사이트)|미러]]를 운영한다.
엔하위키 미러라는 이름 때문에 [[엔하위키]]와 많이 혼동하지만 현재 엔하위키와는 전혀 다른 사이트다. 주로 바깥에선 리그베다가 엔하위키로 불리던 시절의 인지도 때문에 많이 혼동하곤 한다.


== 광고 논란 ==
뜬금없게도 [[리그베다 위키]]의 관리자 [[청동]]이 미러에 건 시비 때문에 [[2015년 리그베다 영리화 사태]]를 가속하는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엔하위키 사이트의 몇몇 자료들이 반달을 당하고, 관리자는 사과문을 올린 상태이다.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를 보여주는 사이트이므로 위키의 라이선스(CC BY-NC-SA 2.0 KR)가 적용된다. 그런데 사이트에 광고가 붙어있음에도 수익 사용을 공개하지 않아 [[CCL]]의 비영리 이용을 위반한 셈이다.


== 리그베다 위키와의 분쟁 ==
[[분류:웹 사이트]]
{{참고|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이의 신청 결정문}}


; 2013년 미러 IP 차단
----
: [[파일:Enha rigvedawiki mascot show.png|섬네일|리그베다 위키의 마스코트 스페이드와 엔하위키 미러의 마스코트 하트가 화해하는 그림|upright=0.7]]
: 2013년 4월 6일부터 4월 22일까지 리그베다 위키에서 엔하위키 미러의 IP를 차단하여 미러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서로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발생하였으며, 4월 23일 위키와 미러에 공동으로 공지가 올라오면서 일단락되었다.<ref>[https://web.archive.org/web/20130621063546/http://angelhalo.org/bbs2/index.php?mid=wikibbs&document_srl=4423842 엔하위키 & 엔하위키 미러 공동 공지], 리그베다 위키게시판</ref><ref>[https://web.archive.org/web/20130426005144/http://mirror.enha.kr/2013-04-22 엔하위키 & 엔하위키 미러 공동 공지], 엔하위키 미러 공지</ref>


; [[청동 (인물)|청동]]의 가처분 신청
<references/>
: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분쟁이 해결되지 않았고, 청동은 [[2014년]] [[8월 1일]] 저작권 침해,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침해,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등을 이유로 등을 이유로 [[Puzzlet Chung]]에게 엔하위키 미러 폐쇄 및 리그베다 위키 페이지 복제 금지 등을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최종적으로 청동의 저작권 침해<ref>약관에 "리그베다 위키측에 기부한 것으로 분류"된다고 적혀 있지만, 해당 조항이 공정성을 잃은 약관이라 무효로 판단했다.</ref> 및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침해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고, 엔하위키 미러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기에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ref>가처분: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2014카합1141]], 가처분 이의: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이의 신청 결정문|2015카합702]], 항고심: 2015라1328</ref>
 
; 민사소송
: 2015년 11월 27일 1심 재판부는 가처분과 같이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은 맞지만 청동의 데이터베이스권은 인정하지 않았다.<ref>2014가합44470</ref> 하지만 2심 재판부는 청동을 데이터베이스제작자로 인정했고,<ref>2015나2074198</ref> 2017년 대법원에서 심리불속행 기각으로 항소심 판결이 확정되었다.<ref>2017다204315</ref>
 
== 여담 ==
매년 [[만우절]]마다 특색있는 스킨을 선보였다. [[2012년]] 만우절 당시에는 타임머신 기능을 지원하였는데, [[아카이 호무라]]의 얼굴을 기반으로 한 [[1995년]] [[PC 통신]] 시절의 인터페이스와 [[1999년]]에 [[개인 홈페이지]] 열풍이 불 시절의 화면을 구현하였다. 이에 네티즌들은 '어우... 오색찬란하네요', '눈이 편하네요. 정겹기도 하고.', '개오동 생각나네요.', '[[레알]] 추억돋네요'라는 반응을 보이며 호평했다.<ref>[http://pgr21.com/pb/pb.php?id=humor&no=120544 엔하위키 미러, 추억 돋는 만우절 이벤트], [[Pgr21]], 2012.04.01</ref> 그리고 [[2013년]]에는 PC의 MS 워드에서 엔하위키 미러 화면이 보이는 듯한 레이아웃, [[2014년]]에는 [[나눔글꼴]] 취소선 버전 등을 선보였다. 마지막 만우절이었던 [[2015년]]에는 {{ㅊ|[[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보름 차이로 간신히]]}} [[허니버터칩|허니버터 테마]]를 선보인 바 있다. 그 외에도 [[디아블로]] 버전을 선보이기도 했다.
 
[[패비콘]]의 경우 접속할 때마다 세 가지 중 랜덤으로 바뀌었다. 이 패비콘들은 모두 [[서브컬처]] 패러디였다. 이 문서에 올라온 패비콘은 그 중 하나로 [[일본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등장인물 5명의 상징색이다. 다른 버전으로는 동인 게임 《[[동방 프로젝트]]》의 2차 창작 캐릭터 [[윳쿠리]], 라이트 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주인공 [[스즈미야 하루히]]의 상징색이 있다. 이러한 패비콘은 엔하위키 미러가 폐쇄되고 [[미러]]로 변경된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
 
== 함께 보기 ==
* [[리그베다 위키]]
* [[나무위키 미러]]
* [[부정경쟁방지법]]
 
{{각주}}
[[분류:폐쇄된 웹 사이트]]
[[분류:리그베다 위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