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inea doubleespresso.jpg|섬네일|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모습]]
[[파일:Linea doubleespresso.jpg|섬네일|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모습]]
{{이탈리아어|espresso}}. 높은 압력을 가해 단시간에 추출한 [[커피]]. 아메리카노나 카페라테와 같은 응용 커피의 기본 재료로도 사용된다.
{{llang|it|espresso}}. 높은 압력을 가해 단시간에 추출한 [[커피]]. 아메리카노나 카페라테와 같은 응용 커피의 기본 재료로도 사용된다.


==개요==
==개요==
78번째 줄: 78번째 줄:
*: [[라테]]는 이탈리아어로 [[우유]]라는 뜻이다. 카페오레(au lait)는 [[프랑스어]]로 우유에 커피를 넣은 것이라는 뜻이다.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약 1:4 비율로 섞어서 만든다.<ref name="커피 이야기"></ref>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난다. 본래 카페라테는 유럽식 카푸치노가 미국인의 취향에 맞게 더 옅고 더 푸짐하게 바뀐 것이며, 카페오레는 프랑스인들이 우유에 커피가루를 넣고 끓인것에서 유래했다. 다만 현대에는 둘의 차이가 무의미해졌다.
*: [[라테]]는 이탈리아어로 [[우유]]라는 뜻이다. 카페오레(au lait)는 [[프랑스어]]로 우유에 커피를 넣은 것이라는 뜻이다.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약 1:4 비율로 섞어서 만든다.<ref name="커피 이야기"></ref>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난다. 본래 카페라테는 유럽식 카푸치노가 미국인의 취향에 맞게 더 옅고 더 푸짐하게 바뀐 것이며, 카페오레는 프랑스인들이 우유에 커피가루를 넣고 끓인것에서 유래했다. 다만 현대에는 둘의 차이가 무의미해졌다.
*[[카푸치노]](Cappuccino)
*[[카푸치노]](Cappuccino)
*: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약 1:2로 섞은 것이다.<ref name="커피 이야기"></ref> 우유의 비율이 줄어들어 더 씁쓸해진다. 흥미롭게도 카푸치노는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일파인 카푸친 작은형제회(Ordo Fratrum Minorum Capuccinorum) 수도사들을 부르는 말이었다. 카푸친 수사들의 복장이 커피와 닮아서 그랬다나.<ref name="새국어소식"></ref> 국립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협회에서는 이탈리안 카푸치노 인증을 위해서는 우유의 온도를 55℃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ref name="국립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협회"></ref> 의외일 수 있으나 이탈리아 커피가 아니라 오스트리아 커피이다.
*: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약 1:2로 섞은 것이다.<ref name="커피 이야기"></ref> 우유의 비율이 줄어들어 더 씁쓸해진다. 흥미롭게도 카푸치노는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일파인 카푸친 작은형제회(Ordo Fratrum Minorum Capuccinorum) 수도사들을 부르는 말이었다. 카푸친 수사들의 복장이 커피와 닮아서 그랬다나.<ref name="새국어소식"></ref> 국립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협회에서는 이탈리안 카푸치노 인증을 위해서는 55℃로 데운 우유를 사용할것을 말하고 있다.<ref name="국립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협회"></ref> 의외일 수 있으나 이탈리아 커피가 아니라 오스트리아 커피이다.
*[[카페 모카]](Caffe Mocha)
*[[카페 모카]](Caffe Mocha)
*:에스프레소에 우유와 초콜릿 시럽을 넣고 휘핑크림을 얹는다. 캐러멜 마키야토와 같은 달달한 맛이 있는 커피로서 초콜릿 시럽의 양 만큼 단맛이 증대된다. 그러나 초콜릿의 쓴맛과 커피의 쓴맛이 쉽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
*:에스프레소에 우유와 초콜릿 시럽을 넣고 휘핑크림을 얹는다. 캐러멜 마키야토와 같은 달달한 맛이 있는 커피로서 초콜릿 시럽의 양 만큼 단맛이 증대된다. 그러나 초콜릿의 쓴맛과 커피의 쓴맛이 쉽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
115번째 줄: 115번째 줄:
[[파일:스타벅스 신세계 본점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jpeg|섬네일]]
[[파일:스타벅스 신세계 본점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jpeg|섬네일]]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이를 담는 패킹 장비가 내장되어 원두 분쇄부터의 추출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 추출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다수의 매장에 독자 자동 머신을 도입했다.<ref>{{뉴스 인용 |저자=이충진 |제목=커피 맛은 머신 맛? 주요 프랜차이즈 10곳 에스프레소 머신 비교 - 스포츠경향 | 뉴스배달부 |url=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808210943003&sec_id=561901 |뉴스=스포츠경향 |출판사= |위치= |날짜=2018.8.21. |확인날짜= }}</ref><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커피머신, 반자동에서 자동으로 세대교체 - 식품외식경제 |url=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43 |뉴스=식품외식경제 |출판사= |위치= |날짜=2012.8.20. |확인날짜= }}</ref>
*:그라인더와 패킹 장비가 내장되어 원두 분쇄부터의 추출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 추출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다수의 매장에 독자 자동 머신을 도입했다.<ref>{{뉴스 인용 |저자=이충진 |제목=커피 맛은 머신 맛? 주요 프랜차이즈 10곳 에스프레소 머신 비교 - 스포츠경향 | 뉴스배달부 |url=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808210943003&sec_id=561901 |뉴스=스포츠경향 |출판사= |위치= |날짜=2018.8.21. |확인날짜= }}</ref><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커피머신, 반자동에서 자동으로 세대교체 - 식품외식경제 |url=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43 |뉴스=식품외식경제 |출판사= |위치= |날짜=2012.8.20. |확인날짜= }}</ref>
{{-}}
{{-}}


150번째 줄: 150번째 줄:
#:원두를 담는 포터필터와 추출된 커피를 담을 잔, 추출 장비를 예열한다. 에스프레소 머신에 따라 상단은 컵 워머(Cup warmer)부로 컵을 올려두어 예열할 수 있다.
#:원두를 담는 포터필터와 추출된 커피를 담을 잔, 추출 장비를 예열한다. 에스프레소 머신에 따라 상단은 컵 워머(Cup warmer)부로 컵을 올려두어 예열할 수 있다.
#분쇄(Grinding)
#분쇄(Grinding)
#:[[그라인더]]를 사용히 원두를 [[설탕]] 크기 이하의 가는 굵기로 분쇄하며, 고품질의 에스프레소를 일관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원두의 상태와 공간의 습도 등을 고려해 분쇄도를 조절해야 한다. 매장에서는 대개 전동 그라인더를 사용한다. [[그라인더]]에 따라 분쇄 과정과 함께 무게를 감지하거나 시간으로 계량해 분쇄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원두를 설탕 이상의 가는 굵기로 분쇄하며, 고품질의 에스프레소를 일관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원두의 상태와 공간의 습도 등을 고려해 분쇄도를 조절해야 한다. 매장에서는 대개 전동 그라인더를 사용한다. 그라인더에 따라 분쇄 과정과 함께 무게를 감지하거나 시간으로 계량해 분쇄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도징(Dosing)
#도징(Dosing)
#:[[파일:에스프레소 커피 추출-도징(Dosing) - Welcome to Espresso Bar-00 03.png|섬네일]]
#:[[파일:에스프레소 커피 추출-도징(Dosing) - Welcome to Espresso Bar-00 03.png|섬네일]]
#:물기가 제거된 예열 상태의 포터필터에 알맞은 양의 원두를 담는다. 포터필터의 용량에 맞는 양을 담아야 하며, 많거나 적게 담긴 경우는 각각 업 도징(Up Dosing)과 다운도징(Down Dosing)으로 일컬어진다.{{-}}
#:물기가 제거된 예열 상태의 포터필터에 알맞은 양의 원두를 담는다. 포터필터의 용량에 맞는 양을 담아야 하며, 많거나 적게 담긴 경우는 각각 업 도징(Up Dosing)과 다운도징(Down Dosing)으로 일컬어진다.{{-}}
#레벨링(Leveling)
#레벨링(Leveling)
#:[[파일:에스프레소 커피 추출-레벨링(Leveling) - Welcome to Espresso Bar-00 06.png|섬네일|alt=포터필터 위로 솟아있는 원두 가루를 손으로 쓸어내는 모습]]
#:[[파일:에스프레소 커피 추출-레벨링(Leveling) - Welcome_to_Espresso_Bar-00_06.png|섬네일|alt=포터필터 위로 솟아있는 원두 가루를 손으로 쓸어내는 모습]]
#:포터필터에 담긴 원두의 수평을 고르게 한다. 가볍게 흔들거나 두드려 대강 맞춘 후 손이나 도구로 윗부분을 여러 방향으로 쓸어내거나 전용 도구를 사용한다. {{-}}
#:포터필터에 담긴 원두의 수평을 고르게 한다. 가볍게 흔들거나 두드려 대강 맞춘 후 손이나 도구로 윗부분을 여러 방향으로 쓸어내거나 전용 도구를 사용한다. {{-}}
#탬핑(Tamping)  
#탬핑(Tamping)  
167번째 줄: 167번째 줄:
#:장비에 포터필터를 돌려 결합한다. 탬핑된 원두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충격에 주의한다.
#:장비에 포터필터를 돌려 결합한다. 탬핑된 원두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충격에 주의한다.
#추출(Pull)
#추출(Pull)
#:[[파일:바텀리스 포터필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by Scott Schiller 14471783754 a497c13b48 k.jpg|섬네일|바텀리스 포터필터에서 추출되는 모습|alt=하부가 개방된 바텀리스 포터필터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모습. 필터 바스켓 하부에서 균일하게 나오는 에스프레소가 점차 가운데로 모여 수직으로 흐른다.]]
#:[[파일:바텀리스 포터필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by Scott Schiller 14471783754_a497c13b48_k.jpg|섬네일|바텀리스 포터필터에서 추출되는 모습|alt=하부가 개방된 바텀리스 포터필터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모습. 필터 바스켓 하부에서 균일하게 나오는 에스프레소가 점차 가운데로 모여 수직으로 흐른다.]]
#:장비를 작동시켜 커피를 추출한다. 추출 의도에 따라 적은 양과 압력으로 물을 흘려 커피를 적시는 프리 인퓨전(Pre-infusio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하부가 개방된 바텀리스(Bottomless) 포터필터를 사용할 경우 채널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장비를 작동시켜 커피를 추출한다. 추출 의도에 따라 적은 양과 압력으로 물을 흘려 커피를 적시는 프리 인퓨전(Pre-infusio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하부가 개방된 바텀리스(Bottomless) 포터필터를 사용할 경우 채널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정리
#정리
191번째 줄: 191번째 줄:
*:탬핑시 포터필터 아래에 받쳐 미끄러짐과 흔들림, 손상을 막는 도구. 싱크대의 가장자리에 놓아 추출구의 측면을 함께 지지하며 고정되도록 ㄱ자로 만들어진다. 실리콘 재질이며 포터필터와 탬퍼를 모양에 맞추어 올릴 수 있는 홈이 있다.
*:탬핑시 포터필터 아래에 받쳐 미끄러짐과 흔들림, 손상을 막는 도구. 싱크대의 가장자리에 놓아 추출구의 측면을 함께 지지하며 고정되도록 ㄱ자로 만들어진다. 실리콘 재질이며 포터필터와 탬퍼를 모양에 맞추어 올릴 수 있는 홈이 있다.
*탬핑 받침(Tamping Stand)
*탬핑 받침(Tamping Stand)
*:포터필터를 싱크대 가장자리에 지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탬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도구. 탬핑 스탠드, 탬핑 홀더, 탬핑 스테이션(Tamping Station)으로도 불린다.
*:포터필터를 싱크대 가장자리에 놓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탬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도구. 탬핑 스탠드, 탬핑 홀더, 탬핑 스테이션(Tamping Station)으로도 불린다.
*데미타스, 데미타세(Demitasse)
*데미타스, 데미타세(Demitasse)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 에스프레소 [[잔]]. 에스프레소의 양에 맞추어 작은 크기다.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 에스프레소 [[잔]]. 에스프레소의 양에 맞추어 작은 크기다.
199번째 줄: 199번째 줄:
*:추출 후의 원두를 털어 놓는 상자. 포터필터를 적은 소음으로 손상 없이 두드려 털어낼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마감된 막대가 부착된다.
*:추출 후의 원두를 털어 놓는 상자. 포터필터를 적은 소음으로 손상 없이 두드려 털어낼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마감된 막대가 부착된다.
*스팀피쳐
*스팀피쳐
*:[[우유]]를 담아 머신의 스팀 노즐로 거품을 내며 데우고 커피에 붓기 위한 병 형태의 주전자. [[온도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 일부를 기울여 구멍을 낸 제품이 있으며, 별도의 온도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온도에 따라 표시가 변하는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한다. <!-- https://www.caffemuseo.co.kr/shop/detail.asp?g_num=15869&ca1=es_machine&pagenum=3 -->
*:우유를 담아 머신의 스팀 노즐로 거품을 내며 데우고 커피에 붓기 위한 병 형태의 주전자. 온도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 일부를 기울여 구멍을 낸 제품이 있으며, 별도의 온도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온도에 따라 표시가 변하는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한다. <!-- https://www.caffemuseo.co.kr/shop/detail.asp?g_num=15869&ca1=es_machine&pagenum=3 -->


== 기타 ==
== 기타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