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아인슈타인|우유|아인슈타인 우유}}
{{토막글}}
{{인물 정보
아인슈타인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하다. 1921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인물이름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독일의 유대인 탄압을 피해 미국으러 이민욌다. 맨해튼 프로젝트를 제안한 사람 중 한명이다.  
|원어이름 = Albert Einstein
평생 양자역학을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민 그가 불확정성 이론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Albert Einstein Head.jpg|150px]]
|그림설명 = 오렌 J. 터너가 찍은 사진 (1947년)
|본명    =
|다른이름 =
|출생일  = {{출생일|1879|3|14}}
|출생지  = [[독일 제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울름]]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5|4|18|1879|3|14}}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국적    = [[독일 제국]] (1879-96, 1914-18)<br />[[바이마르 공화국]] (1918-33)<br />[[스위스]] (1901-55)<br />[[미국]] (1940-55)
|학력    =
|직업    = 물리학자
|종교    =
|정당    =
|신체    =
|배우자  =
|가족    =
|활동기간 =
|소속사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제국의 울름에서 출생하여, [[1955년]] [[4월 18일]] [[미국]] [[뉴저지주]]에서 사망했다. 우리에게는 고전물리학의 정의를 뿌리채 뒤흔든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하다. 아인슈타인은 시공간의 개념을 완전히 송두리째 뒤흔들어버린 [[특수 상대성 이론]]과 중력장의 개념을 완전히 송두리째 뒤흔들어 버린 [[일반 상대성 이론]]을 [[사고 실험]](!)을 통해 정립했다. [[중력 렌즈|일반 상대성 이론의 효과]]를 [[아서 스탠리 에딩턴|실제로 관측하는 것]]은, 그 이론이 발표된 지 10년은 넘게 지나서야 이뤄졌다! 괜히 천재의 대명사로 줄기차게 거론되는 게 아니다. <s>재수없다</s>
 
== 생애 ==
{{빈 문단}}
 
==업적==
{{대사|인류 최고의 물리학자}}
{{대사|현대물리학의 시작}}
 
* ([[상대성 이론]]의 제창으로써의) [[광속]]도 불변의 법칙 설명 : 상대성 이론을 빼면 현대 [[천문학]] 그 자체가 박살나버린다.
* [[광전 효과]] 현상의 ([[광자]]설을 통한) 이론적 규명 : 아인슈타인은 이를 [[광양자 가설]]이라고 이름붙였는데, 가설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양자역학]]의 씨앗이 된다. 이 이론은 '''[[영의 이중슬릿 실험]]과 전혀 무관하게 설립되었기 때문에''' 빛은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이라는, 고전물리학계의 상식에서는 납득할 수 없는 결론을 낳게 된다.
* [[브라운 운동]]의 이론적 규명(을 통한 [[분자]]의 존재 입증) : 이 논문 이전까지는 물리학계에서 [[원자]]나 [[분자]]는 그저 [[화학]]에서의 이론 정립을 위한 '''추상적인 대상'''이라고 보는 관점이 많았다고. 그리고 이 논문은 [[통계역학]]의 씨앗이 된다.
하나만 했어도 과학사에 이름을 남겼을 업적을 혼자서 3개를 남겼다. 그것도, 저 하나하나가 [[아인슈타인의 기적의 해|같은 해에 단지 논문 하나씩으로 제출한 거]]였다고...
 
==여담==
[[1921년]] 아인슈타인에게 [[노벨상]]을 가져다 준 업적은 [[상대성 이론]]이 아닌 [[광전 효과]]에 관한 연구였다.<ref>[https://www.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21/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21], nobelprize.org</ref> 노벨상은 실험적으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만 수상되기 때문에, 1921년 당시까지 그 어떤 실험적 증거도 얻어내지 못했던 상대성 이론에 노벨상을 수여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노벨상 위원회 측에서는 "상대성 이론 그거 쩌는 이론이긴 한데 우리가 상 주는 원칙에 들어맞는 이론이 아니라서 상을 못 줌" 이라는 입장이었으나, '''"그게 노벨상을 받을 발견이 아니면 뭐가 노벨상을 받을 발견이냐" 라며 물리학자들이 노벨상을 무시할 움직임이 보이자''' 궁여지책으로 실험적 데이터를 얻기가 아주 쉬운 이론인 광전 효과에 노벨상을 수여한 것. 물론 두 이론 모두 노벨상을 받기에 손색이 없을만큼 훌륭한 물리학 이론임에는 틀림없고, 광전 효과의 이론적 설명을 아인슈타인이 아니라 다른 물리학자가 써냈다면 그 사람은 광전 효과 업적 하나만으로 물리학사에 자기 이름을 새길 수 있었을 것이다. <s>내가 못 알아듣거든</s>
 
원래 독일 태생이었던 그가 미국으로 이주한 것은 독일의 [[유대인]] 탄압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핵분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 역시 [[맨해튼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편지를 써 프로젝트의 시작에 한 부분을 차지했다. 다만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독일은 애초에 [[핵무기]]를 만들 능력과 의지가 없었음'''이 밝혀지자, "이걸 진작에 알았더라면 [[상대성 이론|내가 1905년에 쓴 공식]]을 찢어버렸을 것이다" 라며 강하게 후회하기도 했다. (오히려 핵무기를 만드는 데는 [[일본]]이 독일보다 이론이 앞서 있었으나, 독일에서 [[우라늄]]을 수입해 오던 중에 독일이 항복을 해버려서 실물을 만들지 못했다고.)
 
평생 [[양자역학]]을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라며 확률에 의존하는 양자역학에 거부반응을 일으킨 것이 한 예.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s>자신도 모르게</s>  [[불확정성 원리]]에 기여하였으며, "양자"라는 개념을 맨 처음 도입한 것이 '''아인슈타인 본인이 쓴 [[광전 효과]] 이론''' 때문이었음을 생각해 본다면 아이러니도 이런 아이러니가 없다. 그는 강한 결정론자였으며 [[자유의지]]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
 
독특하게도 그의 뇌는 세계 여러 연구기관에 의해 조사되고 있다. 그 결과 신경세포의 밀도가 일반인에 비해 높았다든가, 두정엽의 넓이가 일반인보다 15%가량 넓다는 등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뇌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논문들이 꽤 많이 발표되었다.
 
== 어록 ==
{{인용문|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인용문|신은 난해하지만, 심술궂진 않다.}}
 
{{각주}}
[[분류:독일의 물리학자]]
[[분류:미국의 물리학자]]
[[분류:스위스의 물리학자]]
[[분류:독일의 광학자]]
[[분류:미국의 광학자]]
[[분류:스위스의 광학자]]
[[분류:독일의 사회주의자]]
[[분류:미국의 사회주의자]]
[[분류:스위스의 사회주의자]]
[[분류:상대성 이론]]
[[분류: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분류:독일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독일계 미국인]]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