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동전    = 1Af, 2Afs, 5Afs
|동전    = 1Af, 2Afs, 5Afs
|중앙은행 = 아프가니스탄 은행 <small>(دافغانستان بانک, Da Afghanistan Bank)</small>
|중앙은행 = 아프가니스탄 은행 <small>(دافغانستان بانک, Da Afghanistan Bank)</small>
|인쇄처  = [[파일:PWPWLogo.jpg|45px]] 폴란드 조폐공사
|인쇄처  = [[File:PWPWLogo.jpg|45px]] 폴란드 조폐공사
|조폐국  =  
|조폐국  =  
|환율    = 약 14~15원/AFN<small> (2018 ~ 2022년 평균, 하락중)</small><br />(77AFN<sub>(2018)</sub>↗88AFN<sub>(2022)</sub>/USD)<br /><small>(2021년 '''암시장 환율''' 기준)</small> 약 10원 미만/AFN
|환율    = 약 14~15원/AFN<small> (2018 ~ 2022년 평균, 하락중)</small><br />(77AFN<sub>(2018)</sub>↗88AFN<sub>(2022)</sub>/USD)<br /><small>(2021년 '''암시장 환율''' 기준)</small> 약 10원 미만/AFN
45번째 줄: 45번째 줄:
{{-}}
{{-}}
== 2기 아프가니 (AFN) ==
== 2기 아프가니 (AFN) ==
=== 신권 (예정) ===
2023년 6월 중순 경, 아프가니스탄 은행은 멀지않은 미래에 새로운 신권 시리즈를 발행한다고 발표하였다. 발표 시점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한 자릿수 권종은 완전히 동전으로 대체한다.
하나 아이러니한 것은, 10아프가니 권종에, 현재 정권을 쥐고 있는 탈레반 세력이 2001년 당시 이슬람 관점으로 불경하답시며 제 손으로 파괴시킨 [[바미안 석불]]을 그려넣겠다는 부분이다.
{| class="wikitable"
! colspan="3" | 아프가니스탄 2기 아프가니 2차 시리즈 (추가 예정)
|-
| style="text-align: center;" | ؋10 바미안 석불
| style="text-align: center;" | ؋20 카불 박물관
| style="text-align: center;" | ؋50 아마드 샤 두라니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현행권 (2002~) ===
=== 현행권 (2002~) ===
미국이 잠시 한 차례 점령했을 때 일으킨 통화개혁으로 출시된 시리즈이다. 1기와의 교환비는 기본 1:1000인데, 북부 지역(압둘 라시드 도스툼 정부)은 중앙과 따로 놀고 있었기 때문인지 1:2000의 값으로 교환하였다. 2021년 중반에 탈레반이 아프간을 점령하면서 국기며 국장이며 국호까지 싸그리 바꿔버렸지만, 딱히 통화개혁을 일으키거나 신권 교체 계획을 갖고 있진 않은 듯 하다.
미국이 잠시 한 차례 점령했을 때 일으킨 통화개혁으로 출시된 시리즈이다. 1기와의 교환비는 기본 1:1000인데, 북부 지역(압둘 라시드 도스툼 정부)은 중앙과 따로 놀고 있었기 때문인지 1:2000의 값으로 교환하였다. 2021년 중반에 탈레반이 아프간을 점령하면서 국기며 국장이며 국호까지 싸그리 바꿔버렸지만, 딱히 통화개혁을 일으키거나 신권 교체 계획을 갖고 있진 않은 듯 하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아프가니스탄 2기 아프가니 1차 시리즈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Afghanistani 2nd Afghani 1st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
95번째 줄: 63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발라 히사르
| style="text-align: center;" | 발라 히사르
|-
|-
| style="text-align: center;" | ؋10 아마드 샤 두라니의 영묘
| style="text-align: center;" | ؋10 아흐마드 샤의 영묘
| style="text-align: center;" | ؋20 가즈나비 마흐무드의 영묘
| style="text-align: center;" | ؋20 가즈나비 마흐무드의 영묘
| style="text-align: center;" | ؋50 샤 도 샤미라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50 샤 도 샤미라 모스크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11.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살랑(Salang) 고개길
| style="text-align: center;" | 살랑(Salang) 고개길
111번째 줄: 79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하자트 알리 블루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하자트 알리 블루 모스크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13s.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13s.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N11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N117.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보스트 아치
| style="text-align: center;" | 보스트 아치
142번째 줄: 110번째 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구형) 500؋ (신형)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구형) 500؋ (신형)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A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A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A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A309.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151번째 줄: 119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A3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A3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FA3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FA31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