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진법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기수법}}
{{학술}}
'''십육진법'''(十六進法, {{영어|Hexadecimal}})은 한 자릿수에 16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기수법]]이다. [[이진법]]으로 나타낸 경우보다 자릿수의 경우의 수가 많은 대신 숫자 자체를 단축시킬 수 있어서 컴퓨터에서는 이진법과 더불어 많이 사용하는 진법이다. 특히 <math> 2^4 =16 </math>이기에 [[이진법]]의 네 자리와 십육진법의 한 자리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이점이 있다.
{{진법}}
<big> (十六進法, hexadecimal) </big> <br/>


== 정의 ==
'''십육진법'''은 한 자릿수에 16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진법]]으로 나타낸 경우보다 자릿수의 경우의 수가 많은 대신 숫자 자체를 단축시킬 수 있어서 컴퓨터에서는 이진법과 더불어 많이 사용하는 진법이다. 특히 <math> 2^4 =16 </math>이기에 [[이진법]]의 네 자리와[[십육진법]]의 한 자리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이점이 있다.
== 표기 ==
== 표기 ==
자릿수에 16개의 숫자를 사용해야 하기에 0에서 9까지의 0개의 숫자 외에 여섯 개의 자릿수가 별도로 필요하다. 10 이상의 숫자를 나타내는 숫자 기호는 관습적으로 통일된 것이 없으며, 보통 [[로마자]]를 차용해서 A, B, C, D, E, F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십육진법의 숫자 표기는 일반적으로 숫자 뒤에 지수 형태로 (16) 표기를 하거나 h 표기를 한다. 컴퓨터에서 16진법을 다룰 경우 앞에 0x를 붙여서 16진법이라는 걸 나타내기도 한다.
자리수에 16개의 숫자를 사용해야 하기에 -9까지 10개의 숫자 말고 여섯 개의 자릿수가 별도로 필요하다. 10 이상의 숫자를 나타내는 숫자 기호는 관습적으로 통일된 것이 없으며, 보통 [[로마자]]를 차용해서 A, B, C, D, E, F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십육진법의 숫자 표기는 일반적으로 숫자 뒤에 지수 형태로 (16) 표기를 하거나 h 표기를 한다.
 
<div align="center">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십진법, 이진법, 십육진법의 대응 관계  
|+ 십진법, 이진법, 십육진법의 대응 관계  
42번째 줄: 43번째 줄:
|-
|-
| 15 || 1111<sub>b</sub> || F<sub>h</sub>  
| 15 || 1111<sub>b</sub> || F<sub>h</sub>  
|}</div>
|}


== 변환 ==
== 변환 ==
;[[10진법]] → 16진법
:2진법과 마찬가지로 해당 숫자를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 즉 <math>16 \times x+r</math>꼴로 바꾸어서 더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까지 r을 뒷자리부터 추가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168을 16진법으로 변환할 경우 168=10×16+8 이므로 <math> 168 = {A8}_{(16)} </math>로 표현이 된다.


;16진법 → 10진법
* [[10진법]] → 16진법
:16진법의 뒤에서 n번째 자릿수는 (자릿수)×<math> 16^{n-1} </math>를 의미한다. 따라서 <math> {1FC}_{(16)} = 1 \times 16^2 + 15 \times 16 + 12</math><math>= 256 + 240 + 12 = 508 </math>가 된다.
2진법과 마찬가지로 해당 숫자를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68을 16진법으로 변환할 경우 168=10×16+8 이므로 <math> 168 = {A8}_{(16)} </math>로 표현이 된다.
* 16진법 → 10진법.
16진법의 뒤에서 n번째 자리수는 (자리수)×<math> 16^{n-1} </math>를 의미한다. 따라서 <math> {1FC}_{(16)} = 1 \times 16^2 + 15 \times 16 + 12 = 256 + 240 + 12 = 508 </math>가 된다.
* [[2진법]] ↔ 16진법
2진법으로 표현된 수는 앞에서 네 자리수씩 끊어서 생각하면 쉽게 16진법으로 바꿀 수 있다. 반대로 16진법의 한 자리 숫자는 2진법의 네 자리 숫자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br/>
<math> 10011101_{(2)} \leftrightarrow 1001/1101 \leftrightarrow 9/D \leftrightarrow 9D_{(16)} </math>


;[[2진법]] ↔ 16진법
== 용도 ==
:2진법으로 표현된 수는 뒤부터 네 자릿수씩 끊어서 생각하면 쉽게 16진법으로 바꿀 수 있다. 반대로 16진법의 한 자리 숫자는 2진법의 네 자리 숫자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math> 10011101_{(2)} \leftrightarrow 1001/1101 \leftrightarrow 9/D \leftrightarrow 9D_{(16)} </math>


== 용도 ==
* 색상의 [[RGB]] 값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면 <span style="color:#FF0000"> '''빨간 글씨는 색상 값이<nowiki>#FF0000</nowiki>  </span>이다. 이것은 R=255, G=0, B=0을 의미한다.
* 색상의 [[RGB]] 값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면 <span style="color:#FF0000"> '''빨간 글씨는 색상 값이<nowiki>#FF0000</nowiki>  </span>이다. 이것은 R=255, G=0, B=0을 의미한다.


== 관련 문서 ==
* [[진법]]
== 주석 ==
{{주석}}
{{주석}}
[[분류:기수법]]
 
[[분류:수학]]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