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한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 문서에서는 '''신기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서술 순서는 '''음의 가나다순''', 훈 관련 문단에서는 '''훈의 가나다순'''이며 급수 관련 내용은 '''한국어문회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 설명 =
이 문서에서는 '''특이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 자형 관련 ==
= 자형 관련 =
=== 특이한 자형을 지닌 한자 ===
== 특이한 자형을 지닌 한자 ==
이 문단에서는 자형이 특정 물건이나,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어 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자형이 특정 물건이나,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어 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 술통 유(㔽) - [[샴푸]]통과 유사한 모양으로 화제가 되었다. [https://www.facebook.com/jobuniv/posts/2290191687724326/ 예시]
* 술통 유(㔽) - 샴푸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겨 화제가 되었다. [https://www.facebook.com/jobuniv/posts/2290191687724326/ 예시]
* 그림 도([[]]) - [[플로피 디스크]]와 비슷한 모양이다.
* 그림 도(圖) - [[플로피 디스켓]]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겼다.
* 볼록할 철([[]]) -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는 욕설과 유사하게 생겨 'ㅗ'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ref>인터넷 방송인 [[철구]]의 닉네임이 바로 이 볼록할 철자와 관련 되어 있는데 한글로 '''철'''을 치고 한자키를 눌러 '''9'''를 누르면 볼록할 철(凸/ㅗ)이 나오는 것에서 '''철구'''가 유래되었다.</ref>
* 볼록할 철(凸) -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는 욕설과 유사하게 생겨 'ㅗ'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 파리할 망 (奀) - [[좆|한국어 욕설]]처럼 생겼다.


== 획이 적은 한자 ==
= 획이 적은 한자 =
이 문단에서는 '''1획 이하 한자'''들만 서술합니다. 부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굵은 글씨'''로 작성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1획 한자'''들만 서술합니다.


* '''[[丨]](뚫을 곤)''' - 세로획만 그으면 된다.
== 획이 많은 한자 =
* '''[[亅]](갈고리 궐)''' - 세로획만 그으면 된다.
* '''[[丿]](삐침 별)''' - 한자의 획 중 '삐침'이 바로 이것이다.
* '''[[〇]](영 영)''' - 숫자 [[0]]을 가리키는 한자 수사. [[갖은자]]로 零이라고도 한다.
* '''[[乙]](새 을)''' - '갑을병정'으로 알고 있는 천간의 두 번째에 해당하는 한자이다.
* '''[[一]](한 일)''' - 1획 한자 중에서 가장 유명한 한자일 것이다.
* '''[[丶]](불똥 주)''' - 점만 찍으면 된다.


== 획이 많은 한자 ==
= 음훈 관련 =
== 음이 특이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특정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 한자를 서술합니다.<ref>음은 [[한국 한자음]]을 의미하며, [[벽자]]와 [[이체자]] 등의 확장 한자들은 제외하고, 특정 한자의 급수와는 관계없이, 한국어문회 기준 특급 한자 범위 내에 같은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ref>


== 음훈 관련 ==
== 훈이 특이한 한자 ==
=== 음이 특이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특정 음을 가진 한자가 3개 이하인 한자를 서술합니다. 巪(사람 이름 걱)처럼 [[국자 (한자)|국자]]와 한국에서만 음이 다른 한자들을 포함하지만 乶(음역자 볼) 등의 [[음역자]]는 포함하지 않습니다.<ref>음은 [[한국 한자음]]을 의미하며, 심한 [[벽자]]와 [[이체자]] 등의 확장 한자들은 제외하고, 특정 한자의 급수와는 관계없이, 한국어문회 기준 특급 한자 범위 내에 같은 음을 가진 한자가 3개 이하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ref>
 
* 손(님) 객(客), 토할 객(喀)<ref>각각 준5급, 준특급 한자.</ref> - 후자는 객혈(喀血)에 사용된다.
* 술 추렴할 갹(醵), 순대 갹(臄)<ref>각각 1급, 특급 한자.</ref> - 전자는 갹출(醵出)에 사용되며, 후자는 입천장이나 순대를 의미하고 [[시경]]에 등장하는 한자이다.
* (눈이)어두울 겹(䀫) - 급수 외 한자.
* 높이 들 게(揭), 쉴 게(憩), 쉴/불시 게(偈) <ref>각각 2급, 2급, 1급 한자. 각각 '게양', '휴게', '게송'에 사용됨.</ref>
 
=== 훈이 특이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훈이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형태로 제시되거나, 외래어 혹은 외국어인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를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훈이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형태로 제시되거나, 외래어 혹은 외국어인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를 서술합니다.
* [[玂]](개 새끼 한 마리 낳을 기) - 개가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는 의미로, 옥편에서는 '犬生一子'(견생일자)로 설명하고 있다.
* [[華]](들쭉날쭉한 모양 과) - 빛날 화(어문회 4급)으로 더 많이 쓰인다.
* [[閄]](몸을 숨겼다가 갑자기 나와서 사람을 놀라게 하는 소리 혹/획)
* [[猖]](미쳐 날뛸 창) - 어문회 1급. 준특급 한자인 날뛸 궐(獗)과 함께 창궐(猖獗)에 쓰인다.
* [[軾]](수레 앞턱 가로나무 식) - 어문회 2급. 특이해 보이지만 김부식(金富'''軾'''), 소식(蘇'''軾''', 소동파) 등의 인명에 쓰이는 한자이다.
* [[軫]](수레 뒷턱나무 진) - 어문회 준특급. 이 한자에는 '두둑'이나 '슬퍼하다' 등의 의미도 있다.
* [[㿭]](터져 갈라질 책) - '성씨 력'으로도 쓰인다.


=== 음과 훈이 결합되어 특이하게 된 한자 ===
== 음과 훈이 결합되어 특이하게 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음과 훈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 한자들에 대해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음과 훈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 한자들에 대해 서술합니다.


* 설 립(立)
* 설 립(立)
* 입 구(口)
* 입 구(口)
{{각주}}
= 기타 =
{{한자}}
 
[[분류:한자]]
[[분류:한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