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무결성 보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Rootless.png|thumb|루트리스 화면]]
시스템 무결성 보호(System Integrity Protection)는 애플이 개발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ROOT가 와도 루트를 무력화 시키기 때문에 '''루트리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무결성 보호는 OS X 엘 카피텐에서 선보였으며, 애플이 개발한거 아니랄까봐 엄청난 에러를 뿜어내면서 사람들을 골탕먹였다. 물론, 서드파티 개발자들도 같이 엿을 먹이기도 했다. 목표했던 [[해킨토시]]도 엿을 먹는가 싶었는데, 언제나 그랬듯이 루트리스를 해제 하고 열심히 사용중이다.
'''시스템 무결성 보호'''(System Integrity Protection)는 [[애플]]이 개발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ROOT가 와도 루트를 무력화 시키기 때문에 '''루트리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무결성 보호는 [[OS X]] 엘 카피텐에서 선보였으며, 애플이 개발한거 아니랄까봐 엄청난 에러를 뿜어내면서 사람들을 골탕 먹였다. 물론, [[서드 파티]] 개발자들도 같이 엿을 먹이기도 했다. 목표했던 [[해킨토시]]와 [[탈옥]]도 엿을 먹는가 싶었는데, 언제나 그랬듯이 이걸 우회하면서 열심히 사용중이다.


== 개요 ==
== 개요 ==
시스템 무결성 보호는 커널단에서 움직이며, 시스템이 소유한 시스템 파일과 더불어 시스템 디렉터리를 특정한 자격없이 수정할 수 없게 보호한다. 그래서 슈퍼유저라던가 sudo, root가 와도 자비없이 거절하기에 루트리스란 별명이 붙었다. 애플이 설명하기론 루트 유저가 시스템 보안에 있어서 충분한 위험 요인이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한 사용자 계정이 관리자 계정을 점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하고 있다.
시스템 무결성 보호는 커널단에서 움직이며, 시스템이 소유한 시스템 파일과 더불어 시스템 디렉터리를 특정한 자격없이 수정할수 없게 보호한다. 그래서 슈퍼유저라던가 sudo, root가 와도 애미없게 거절하기에 루트리스란 별명이 붙었다. 애플이 설명하기론 루트 유저가 시스템 보안에 있어서 충분한 위험 요인이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한 사용자 계정이 관리자 계정을 점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시스템 보호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복구 모드에서 이를 끌수 있다.
이런 시스템 보호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복구 모드에서 이를 끌수 있다.


=== 시스템 무결성 보호를 켜거나 끄는법 ===
=== 시스템 무결성 보호를 켜거나 끄는법 ===
'''일반적인 경우엔 시스템 무결성을 켜는 것이 보안에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경우엔 시스템 무결성을 켜는것이 보안에 도움이 된다.'''
# 복구 모드(부팅중 빠르게 {{|cmd}}+{{|R}} 를 눌러준다.)에 들어가 터미널을 킨다.
# 복구 모드(부팅중 빠르게 {{키눌림|Opt}}+{{키눌림|R}} 를 눌러준다.)에 들어가 터미널을 킨다.
# 터미널에서 <code>csrutils enable/disable</code>를 친다.
# 터미널에서 <code>csrutils enable/disable</code>를 친다.
# 재부팅한다.


== 시스템 무결성 보호가 하는 짓거리들 ==
== 시스템 무결성 보호가 하는 짓거리들 ==
* 시스템 파일과 디렉터리 컨텐츠 보호와 더불어 파일 시스템 권한을 보호한다. 엘 케피탄 전만 해도 뭐가 안 된다 하면 디스크 권한 검사를 돌려야 했는데, 이젠 루트리스로 인해서 그런 확인 같은 거 안해도 된다.
* 시스템 파일과 디렉터리 컨텐츠 보호와 더불어 파일 시스템 권한을 보호한다. 엘 케피탄전만 해도 뭐가 안된다 하면 디스크 권한 검사를 돌려야 했는데, 이젠 루트리스로 인해서 그런 확인같은거 안해도 된다.
* 시스템 무결성 보호로 보호 받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실시간 코드 인젝션 보호와 더불어 디버깅, 그리고 Dtrace 3종 세트가 들어간다.
* 시스템 무결성 보호로 보호 받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실시간 코드 인젝션 보호와 더불어 디버깅, 그리고 Dtrace 3종 세트가 들어간다.
* 서명되지 않은 [[커널 모듈]](*.kext)로부터의 보호. 모든 *.kext는 애플로부터 서명이 있어야 맥에 붙어서 돌아간다. 특히, 이게 중요한게 방화벽 분야인데, 이게 빠진 맥 방화벽은 그야말로 반쪼가리 방화벽밖에 되지 않는다.
* 서명되지 않은 [[커널 모듈]](*.kext)로부터의 보호. 모든 *.kext는 애플로부터 서명이 있어야 맥에 붙어서 돌아간다. 특히, 이게 중요한게 방화벽 분야인데, 이게 빠진 맥 방화벽은 그야말로 반쪼가리 방화벽밖에 되지 않는다.


=== 시스템 무결성 보호가 보호하는 파일 / 디렉터리 ===
=== 시스템 무결성 보호가 보호하는 파일 / 디렉터리 ===
<code>/System/Library/Security/rootless.conf</code>, <code>/System</code>, <code>/bin</code>, <code>/sbin</code>, <code>/usr</code> (예외로 <code>/usr/local</code>은 제외된다.).<ref>{{웹 인용|url=https://support.apple.com/ko-kr/HT204899|title=Mac의 시스템 무결성 보호에 관하여|date=May 30, 2016|website=Apple Support|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20071718/https://support.apple.com/ko-kr/HT204899|archive-date=March 20, 2016|dead-url=no|accessdate=September 30, 2016}}</ref> <code>/etc</code>, <code>/tmp</code> 그리고 <code>/var</code> 과 <code>/private/etc</code>, <code>/private/tmp</code>, <code>/private/var</code> 로부터의 심볼릭 링크도 보호 받으나, 그렇다고 해서 이 심볼릭 링크의 목표 디렉터리는 보호 받지 못한다. 그 밖에 <code>/Applications</code> 폴더에 미리 설치된 애플 소프트웨어도 포함된다.
<code>/System/Library/Security/rootless.conf</code>, <code>/System</code>, <code>/bin</code>, <code>/sbin</code>, <code>/usr</code> (예외로 <code>/usr/local</code>은 제외된다.).<ref>{{웹 인용|url=https://support.apple.com/ko-kr/HT204899|title=Mac의 시스템 무결성 보호에 관하여|date=May 30, 2016|website=Apple Support|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20071718/https://support.apple.com/ko-kr/HT204899|archive-date=March 20, 2016|dead-url=no|accessdate=September 30, 2016}}</ref> <code>/etc</code>, <code>/tmp</code> 그리고 <code>/var</code> 과 <code>/private/etc</code>, <code>/private/tmp</code> and <code>/private/var</code> 로부터의 심볼릭 링크도 보호 받으나, 그렇다고 해서 이 심볼릭 링크의 목표 디렉터리는 보호 받지 못한다. 그 밖에 <code>/Applications</code> 폴더에 미리 설치된 애플 소프트웨어도 포함된다.


{{각주}}
[[분류:시스템 소프트웨어]]
[[분류:시스템 소프트웨어]]
[[분류:2015년 소프트웨어]]
[[분류:애플]]
[[분류:MacOS]]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