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ement 03.JPG|thumb]]
[[File:US Navy 101211-N-4440L-025 Builder Constructionman Bianca Manzanero, left, and Builder Constructionman Haani Leah.jpg|thumb]]
[[파일:US Navy 101211-N-4440L-025 Builder Constructionman Bianca Manzanero, left, and Builder Constructionman Haani Leah.jpg|thumb]]
'''시멘트'''(cement)는 사전적 의미로는 [[물질]]과 물질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의미로는 건축용의 접합제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당연히 건축용 시멘트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한다.
'''시멘트'''(cement) 또는 '''양회'''(洋灰)는 사전적 의미로는 [[물질]]과 물질을 붙이는 물질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의미로는 건축용의 접합제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당연히 건축용 시멘트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한다.


== 개요 ==
== 개요 ==
11번째 줄: 10번째 줄:
*채광
*채광
*: [[석회석]] 광산에서 채굴된 원석을 여러 번의 분쇄 과정을 거쳐 직경 약 30mm 정도의 덩어리로 만든 후 공장으로 이동시킨다.
*: [[석회석]] 광산에서 채굴된 원석을 여러 번의 분쇄 과정을 거쳐 직경 약 30mm 정도의 덩어리로 만든 후 공장으로 이동시킨다.
*분쇄
*분쇄
*: 주원료인 석회석 알갱이들과 부원료인 점토, 산화철 등을 함께 저장하여 분쇄기로 이동시킨다. 분쇄기에서 약 100㎛ 이하의 가루로 분쇄된 원료들은 소성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 주원료인 석회석 알갱이들과 부원료인 점토, 산화철 등을 함께 저장하여 분쇄기로 이동시킨다. 분쇄기에서 약 100㎛ 이하의 가루로 분쇄된 원료들은 소성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소성
*소성
*: 소성로에서 1500℃의 고온으로 원료를 가열하게 되며 시멘트 생산의 주 공정이라 할 수 있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중간 단계 원료인 [[클링커]]가 나오며 이 구워져 나온 클링커를 100℃이하의 온도로 급랭시키면서 소성 공정이 끝나고 분쇄기로 다시 넘어가게 된다.
*: 소성로에서 1500℃의 고온으로 원료를 가열하게 되며 시멘트 생산의 주 공정이라 할 수 있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중간 단계 원료인 [[클링커]]가 나오며 이 구워져 나온 클링커를 100℃이하의 온도로 급랭시키면서 소성 공정이 끝나고 분쇄기로 다시 넘어가게 된다.
*제품 출하
*제품 출하
*: 소성로에서 나온 클링커를 다시 분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석고]]를 혼합하여 미세한 분말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으로 이 과정이 완료되면 시멘트의 생산공정이 끝나고 사일로에 저장해 두었다가 벌크나 포장 상태로 출하되게 된다.
*: 소성로에서 나온 클링커를 다시 분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석고]]를 혼합하여 미세한 분말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으로 이 과정이 완료되면 시멘트의 생산공정이 끝나고 사일로에 저장해 두었다가 벌크나 포장 상태로 출하되게 된다.
*: 소량 사용자는 시멘트 백을 구매하기 보다는 자갈, 모래 등의 비율을 맞춘 사전혼합 제품(Ready Mix)를 사용하면 편리하며, 대량 사용자도 가루 형태로 받기 보다는 시멘트 회사에서 선혼합한 습식 콘크리트·몰탈을 [[믹서 트럭]](레미콘)이나 BCT(벌크 트레일러)를 통해 받는 것을 선호한다.
*: 소량 사용자는 시멘트 백을 구매하기 보다는 자갈, 모래 등의 비율을 맞춘 사전혼합 제품(Ready Mix)를 사용하면 편리하며, 대량 사용자도 가루 형태로 받기 보다는 시멘트 회사에서 선혼합한 습식 콘크리트·몰탈을 [[믹서 트럭]]통해 받는 것을 선호한다.


==용도==
==용도==
토목이나 건축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기본적인 재료의 접합용도 이외에도 건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며, 건물의 골조를 만드는 [[철근 콘크리트]]의 주 성분이기도 하다. 토목 분야에서는 [[도로]]의 포장, 교량의 주탑이나 교각, 교량 상판 등에도 사용되며, 터널 공사 및 [[항만]]의 [[방파제]]의 건설, [[철도]]의 노반이나 [[침목]]을 건설하는데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외에 현대에 들어서는 시멘트 조각과 같은 예술품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토목이나 건축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기본적인 재료의 접합용도 이외에도 건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며, 건물의 골조를 만드는 [[철근 콘크리트]]의 주 성분이기도 하다. 토목 분야에서는 [[도로]]의 포장, 교량의 주탑이나 교각, 교량 상판 등에도 사용되며, 터널 공사 및 [[항만]]의 [[방파제]]의 건설, [[철도]]의 노반이나 [[침목]]을 건설하는데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외에 현대에 들어서는 시멘트 조각과 같은 예술품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콘크리트]]: 시멘트, 자갈, 모래,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 주재료로 사용한다.
* [[콘크리트]]: 시멘트, 자갈, 모래,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 주재료로 사용한다.
* [[몰탈]]: 시멘트, 모래,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 주로 부재료로 사용한다.
* [[몰탈]]: 시멘트, 모래,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 주로 부재료로 사용한다.
* [[회벽]](Stucco ''스타코''): 시멘트, 석회, 모래,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 외장마감에 주로 사용한다.


==종류==
==종류==
*보통 시멘트(1종)
*포틀랜드 시멘트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공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로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시멘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포틀렌트 시멘트가 이것이며, 여기에 혼합재를 뭘 넣느냐에 따라 다양한 특수 시멘트가 나온다.
**1종 시멘트(보통 시멘트):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공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로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시멘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용열·저열 시멘트(2종·4종)
**2종 시멘트(중용열 시멘트): 초기 수화열을 낮추고 투수 저항성을 높인 시멘트로 [[댐]] 공사나 도로 보수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초기 수화열을 낮추고 투수 저항성을 높인 시멘트로 대형 토목공사나 도로 보수에서 많이 사용된다. 고로슬래그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등이 해당한다.
**3종 시멘트(조강 시멘트): 수화가 신속하며 단기강도가 강한 시멘트로 도로 및 수중공사 혹은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조강 시멘트(3종)
**4종 시멘트(저열 시멘트): 시멘트가 굳어지면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낮춘 시멘트로 2종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온도가 올라가면 곤란한 [[지하철]] 시공 현장 등에 주로 사용된다. 추가 혼합하는 재료가 발전소·보일러의 비산재이기 때문에 '플라이애시 시멘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 수화가 신속하며 단기강도가 강한 시멘트로 도로 및 수중공사 혹은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5종 시멘트(내황산염 시멘트): 보통 시멘트보다 강도가 약간 낮지만 황산염을 많이 포함한 토양이나 지하수가 닿는 지하공간이나 [[터널]], 수로 라이닝, 암거 등에 주로 사용된다.
*내황산염 시멘트(5종)
 
*: 플라이애시를 첨가하여 산성에 강하다. 보통 시멘트보다 강도가 약간 낮지만 황산염을 많이 포함한 토양이나 지하수가 닿는 지하공간이나 [[터널]], 수로 라이닝, 암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알루미나 시멘트
* 백시멘트
*: 경화시 고열이 발생하는 포틀렌트 시멘트의 단점을 해결하고, 고온의 환경에서 포틀렌트 시멘트보다 잘 견디기 때문에 내화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원료를 조정하여 회색을 제거한 하얀색 시멘트를 말한다. 기본적으로 시멘트는 회색이어서 콘크리트나 몰탈도 회색으로 나오나, 회벽미장, 줄눈 시공 등 조색을 통해 색깔을 잡아줘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백시멘트에 염료를 섞어 조색한다.
 
*고로 시멘트
*: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혼합한 제품으로, 수화열이 낮고 수밀성이 우수하다.


==기타==
==기타==
*[[한국철도공사]]의 주요 수입원이기도 하다. 여객 운송에서 주 수입원이 [[KTX]]라면 화물 운송에서 주 수입원이 바로 양회벌크, 즉 시멘트이다. 특히 [[충청북도]] [[단양군]]에는 국내 주요 시멘트 제조공장이 밀집하고 있으며, 인근 [[도담역]]은 여객은 취급하지 않지만 벌크 양회조차 운영상 중임(重任)을 수행하기 때문에 관리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코레일]]의 주요 수입원이기도 하다. 여객 운송에 있어서 주 수입원이 [[KTX]]라면 화물 운송에 있어서의 주 수입원이 바로 양회벌크, 즉 시멘트이다. 특히 [[충청북도]] [[단양군]]에는 국내 주요 시멘트 제조공장이 밀집하고 있으며, 인근 [[도담역]]은 여객취급은 없지만 벌크 양회조차 운영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가고 있기 때문에 관리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공사 현장에 노동하러 가면 운반작업을 배정받기도 한다. 이것을 소위 '곰빵'이라고 하는데 아무나 시킨다는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위험하기 때문에 절대 아무나 할 수 없고 숙련자만 지원할 수 있는 작업이다. 막노동 경험이 없으면 가서 빗자루만 쓸다가 온다. 현장에서 들어보면 알겠지만 돌가루이기 때문에 매우 무겁다. 무게가 40Kg, 거의 성인 여성 한 명을 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요령이 없으면 절대로 들고 다니지도 못한다. 이걸 들고 층계를 오르내리면 오래 못 가 진이 다 빠질 것이다.
*공사현장에 노가다를 하러가면 운반작업을 배정받기도 한다. 이걸 소위 '곰빵'이라고 하는데 아무나 시켜준다는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위험하기 때문에 절대 아무나 시키지 않고 숙련자만 지원할 수 있는 작업이다. 노가다 경험이 없으면 가서 빗자루만 쓸다가 온다. 현장에서 들어보면 알겠지만 돌가루 이기 때문에 장난아니게 무겁다. 무게가 40Kg, 거의 성인 여성 한명을 지고 다니는 거랑 마찬가지다. 요령이 없으면 절대로 들고 다니지도 못한다. 이걸 들고 층계를 오르내리면 정말이지 웬수로 느껴진다.  


{{주석}}
{{주석}}
[[분류:건축]]
[[분류:건축]]
[[분류:재료]]
[[분류:재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