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토론, 어디까지 해봤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토론이 이렇게 쉽다니!|이걸 보고 지금 당장 진중권 교수와 토론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토론이 이렇게 쉽다니!|이걸 보고 지금 당장 진중권 교수와 토론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시리즈:토론, 어디까지 해봤니?/질문|도와주세요! 리브레 토로너들! 코너 바로가기}}
 


== 토론이란 무엇인가? ==  
== 토론이란 무엇인가? ==  
58번째 줄: 59번째 줄:
** 논리를 기반으로 해서 공감을 이끌어내는 방법은 좋지만, 논리도 없이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은 잘 먹히지 않습니다.
** 논리를 기반으로 해서 공감을 이끌어내는 방법은 좋지만, 논리도 없이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은 잘 먹히지 않습니다.
** 간혹 감정에의 호소가 큰 파급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역사적 사례로 [[마이클 듀카키스]]와 [[조지 H. W. 부시]]와의 대선토론이 있습니다. 감정에의 호소 전략은 성공했으나 전문가들로부터 크나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 간혹 감정에의 호소가 큰 파급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역사적 사례로 [[마이클 듀카키스]]와 [[조지 H. W. 부시]]와의 대선토론이 있습니다. 감정에의 호소 전략은 성공했으나 전문가들로부터 크나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 예1) {{인용문2|우리 조상님들이 죽어가며 피땀흘려 나라를 지킨 그 고통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걸 알고 있다면 다시는 한국을 업신여길 수 없을 것입니다. - 애국심이라는 감정을 이용}}
** 예1) {{인용문2|우리 조상님들이 죽어가며 피땀흘려 나라를 지킨 그 고통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걸 알고 있다면 다시는 한국을 업신여길 수 없을 것입니다. - 애국심이라는 감정을 이용}}  
** 예2) {{인용문2|밥도 제대로 못먹고 굶어가는 이 불쌍한 아이들의 사진을 보십시오. 이러고도 대외원조법에 찬성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연민의 감정에 호소}}
** 예2) {{인용문2|밥도 제대로 못먹고 굶어가는 이 불쌍한 아이들의 사진을 보십시오. 이러고도 대외원조법에 찬성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연민의 감정에 호소}}
* 토론 [[예절]]을 지키지 않음
* 토론 [[예절]]을 지키지 않음
66번째 줄: 67번째 줄:
** 상대방을 분노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때로는 자신의 의견을 지지해주는 사람마저 적으로 돌리는 역효과가 생깁니다. 토론에 참여하는 지성인으로서 갖춰야 할 도덕성을 의심하기 때문입니다.
** 상대방을 분노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때로는 자신의 의견을 지지해주는 사람마저 적으로 돌리는 역효과가 생깁니다. 토론에 참여하는 지성인으로서 갖춰야 할 도덕성을 의심하기 때문입니다.
** 예1) {{인용문2|당신 딸이 살인자에게 죽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러고도 사형제를 찬성하지 않을겁니까? - 논리를 가장한 패드립}}
** 예1) {{인용문2|당신 딸이 살인자에게 죽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러고도 사형제를 찬성하지 않을겁니까? - 논리를 가장한 패드립}}
** 예2) {{인용문2|결국 이슬람 사람들은 다들 한패가 되어 테러를 조장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이런 테러 행위들이 알라를 위한 전쟁이라는데, 결국엔 당신들이 믿는다는 알라가 개새끼네요? - 상대방의 신념을 공격}}
** 예2) {{인용문2|결국 이슬람 사람들은 다들 한패가 되어 테러를 조장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이런 테러 행위들이 알라를 위한 전쟁이라는데, 결국엔 당신들이 믿는다는 알라가 개새끼네요? - 상대방의 신념을 공격}}  
* [[잘못된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 [[잘못된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 권위자이긴 하나 해당분야에는 비전문가인 사람의 의견에 호소하는 오류입니다.  
** 권위자이긴 하나 해당분야에는 비전문가인 사람의 의견에 호소하는 오류입니다.  
117번째 줄: 118번째 줄:
** 근거가 빈약하다고 간주될수 있습니다. 위 잘못된 권위 호소, 순환논법,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등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확대형입니다.
** 근거가 빈약하다고 간주될수 있습니다. 위 잘못된 권위 호소, 순환논법,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등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확대형입니다.
** 예) 어떤 위키에서 그러던데, 영국 요리는 뭐든지 맛이 없대. 영국인은 역사적으로 요리에 관심이 없었다던데?
** 예) 어떤 위키에서 그러던데, 영국 요리는 뭐든지 맛이 없대. 영국인은 역사적으로 요리에 관심이 없었다던데?
* 못미더운 가정<ref>김명석, 『두뇌보완계획 100』, 메카네, 2014, p.328</ref>: 숨은 전제의 오류라 하며, 별로 믿기지 않는 주장을 몰래 가정하는 논증입니다.
* 못미더운 가정<ref>김명석, 『두뇌보완계획 100』, 메카네, 2014, p.328</ref> : 숨은 전제의 오류라 하며, 별로 믿기지 않는 주장을 몰래 가정하는 논증입니다.
** [[합성의 오류]]: 부분에게 맞는 것이 전체에도 맞을 것이라 전제하는 것으로 합성의 오류라 불립니다.  
** [[합성의 오류]] : 부분에게 맞는 것이 전체에도 맞을 것이라 전제하는 것으로 합성의 오류라 불립니다.  
*** 예) LGIM은 최고의 선수들로 모였으니까 우승할거야<s>그러나.......</s>
*** 예) LGIM은 최고의 선수들로 모였으니까 우승할거야<s>그러나.......</s>
** [[흑백논리의 오류]]: 모 아니면 도라고, 양자선택의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논리입니다.
** [[흑백논리의 오류]] : 모 아니면 도라고, 양자선택의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논리입니다.
*** 예) 대통령의 지지율이 10%이니 나머지 90%는 대통령을 싫어한다고 할 수 있다.
*** 예) 대통령의 지지율이 10%이니 나머지 90%는 대통령을 싫어한다고 할 수 있다.
** [[복합질문의 오류]]: 복수의 질문을 섞어서 던져놓고 그 중에 맞는 부분이 반드시 있다고 확신하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논리입니다. 대개 부정의 부정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까운 논리라서 자칫 넘어가버리기 쉽습니다. 이 논리에는 [[답정너]]의 상황이나 [[피해의식]]이 자주 들어가곤 하는데 Yes, No 어떤 대답이 나와도 원하는 답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복합질문의 오류]] : 복수의 질문을 섞어서 던져놓고 그 중에 맞는 부분이 반드시 있다고 확신하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논리입니다. 대개 부정의 부정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까운 논리라서 자칫 넘어가버리기 쉽습니다. 이 논리에는 [[답정너]]의 상황이나 [[피해의식]]이 자주 들어가곤 하는데 Yes, No 어떤 대답이 나와도 원하는 답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예1) 너 말야 지금은 야동 안 보지? ▶ 응. (전에도 안 봤고.) ▶ 딱 걸렸군. 전에는 봤다는 거잖아. 이 변태새X.
*** 예1) 너 말야 지금은 야동 안 보지? ▶ 응. (전에도 안 봤고.) ▶ 딱 걸렸군. 전에는 봤다는 거잖아. 이 변태새X.
*** 예2) 너 말야 지금은 야동 안 보지? ▶ 아니. (본 적이 없는데.) ▶ 딱 걸렸군. 지금도 본다는 거잖아. 이 변태새X.
*** 예2) 너 말야 지금은 야동 안 보지? ▶ 아니. (본 적이 없는데.) ▶ 딱 걸렸군. 지금도 본다는 거잖아. 이 변태새X.
167번째 줄: 168번째 줄:
==== 피장파장의 오류 ====
==== 피장파장의 오류 ====
{{인용문2|
{{인용문2|
[[박근혜|대통령]]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1 + 1]]되는 시대에 왜 이건 1 + 1이 아닌거예요!
[[박근혜|대통령]]도 [[최순실|1 + 1]]되는 시대에 왜 이건 1 + 1이 아닌거예요!
빼애애애액!}}
빼애애애액!}}
{{ㅊ|??????????<br />예시 수정 좀}}
{{ㅊ|??????????<br>예시 수정 좀}}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너도 했으니까 나도 한다는 논리.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너도 했으니까 나도 한다는 논리.
197번째 줄: 198번째 줄:
  B: 읭 무슨비리?
  B: 읭 무슨비리?


  A: 몰랑!!!!!!!그냥 나라 자체가 짜증나ㅜㅜ}}
  A: 몰랑!!!!!!!그냥 나라 자체가 짜증나ㅜㅜ}}  


이 주장을 한 사람은 자신의 의견에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자신의 의견에 동조해주기를 바라는 문제가 있다. 당연히 설득력이 떨어질 뿐더러, 뭣도 모르고 비난만하는 사람의 이미지가 성립된다.
이 주장을 한 사람은 자신의 의견에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자신의 의견에 동조해주기를 바라는 문제가 있다. 당연히 설득력이 떨어질뿐더러, 뭣도 모르고 비난만하는 사람의 이미지가 성립된다.


=== 물타기+a ===
=== 물타기+a ===
205번째 줄: 206번째 줄:
  A: 어?이거 측정한 다른 곳에서는 죄다 Very Good이고 제가 측정해도 무조건 Very Good인데 왜 여기만 엑설런트에요?<ref>엑설런트가 더 좋은 등급이다.</ref>측정 디바이스는 문제 없어보이는데... 혹시 오류면 고쳐주세요.
  A: 어?이거 측정한 다른 곳에서는 죄다 Very Good이고 제가 측정해도 무조건 Very Good인데 왜 여기만 엑설런트에요?<ref>엑설런트가 더 좋은 등급이다.</ref>측정 디바이스는 문제 없어보이는데... 혹시 오류면 고쳐주세요.


  B: 글쎄? 이 프로그램은 어떤 기준으로 등급을 매기는 건지도 모르겠는데? 그러니까 너가 지금 쓰는 그거(제너럴 퍼포먼스라고 한다)는 의미 없음.<ref>당연한 말이지만 같은 것을 측정하면 결과는 같아야 한다. 아무리 요상하더라도 기준이 고무줄마냥 바뀌는 게 아니라면 기준과는 하등의 관련이 없다. 같은 것을 측정했는데 결과가 다르다면,우리는 측정치를 신뢰할 수 없다.</ref>  
  B: 글쎄? 이 프로그렘은 어떤 기준으로 등급을 매기는 건지도 모르겠는데? 그러니까 너가 지금 쓰는 그거(제너럴 퍼포먼스라고 한다.)는 의미 없음.<ref>당연한 말이지만 같은 것을 측정하면 결과는 같아야 한다. 아무리 요상하더라도 기준이 고무줄마냥 바뀌는 게 아니라면 기준과는 하등의 관련이 없다. 같은 것을 측정했는데 결과가 다르다면,우리는 측정치를 신뢰할 수 없다.</ref>  


  C: 니가 이 측정 프로그램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뿐이야!
  C : 니가 이 측정 프로그렘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뿐이야!


  D: 저거 측정치에 나온 거 그대로 복붙해야 되는 거잖아. 저거 틀린거 같다고 바꾸면 측정치 주작이야!
  D : 저거 측정치에 나온 거 그대로 복붙해야 되는 거잖아. 저거 틀린거 같다고 바꾸면 측정치 주작이야!


  A: ...?
  A : ...?
}}
}}
일단 여기에는 물타기가 들어가고,여기에 덤으로 역공격의 오류와 확대해석의 오류를 저지르고 있다.
일단 여기에는 물타기가 들어가고,여기에 덤으로 역공격의 오류와 확대해석의 오류를 저지르고 있다.
218번째 줄: 219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MBC 100분 토론]]: 토론계의 본좌급 TV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 토론계의 본좌급 TV 프로그램.


{{주석}}
{{주석}}
{{리브레 시리즈}}
{{리브레 시리즈}}
[[분류: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
[[분류: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