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야한 동영상 은폐와 탐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집단연구}}
<s>은폐와 '''탐지'''라면서 탐지 관련 서술이 중급부턴 없다(...)</s>
<s>은폐와 '''탐지'''라면서 탐지 관련 서술이 중급부턴 없다(...)</s>


23번째 줄: 25번째 줄:
*위험도: ★★★★★  (별 다섯개)
*위험도: ★★★★★  (별 다섯개)


폴더를 우클릭하면 나오는 '속성' 창의 '사용자 지정' 탭에서 아이콘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기본 경로는 %SystemRoot%\system32\shell32.dll인데, 선택 가능한 수많은 아이콘을 찾아보다 보면 사이에 이가 빠진 투명한 칸이 있는데, 이 칸을 선택해서 아이콘으로 지정하고, 폴더 이름을 ' '<ref>{{|ㄱ}}을 치고 {{|한자}}를 누르면 맨 위에 나온다.</ref>'로 설정하면 보이지 않는 투명 폴더가 된다.
폴더를 우클릭하면 나오는 '속성' 창의 '사용자 지정' 탭에서 아이콘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기본 경로는 %SystemRoot%\system32\shell32.dll인데, 선택 가능한 수많은 아이콘을 찾아보다 보면 사이에 이가 빠진 투명한 칸이 있는데, 이 칸을 선택해서 아이콘으로 지정하고, 폴더 이름을 ' '<ref>{{키눌림|ㄱ}}을 치고 {{키눌림|한자}}를 누르면 맨 위에 나온다.</ref>'로 설정하면 보이지 않는 투명 폴더가 된다.
==== 탐지법 ====
==== 탐지법 ====
폴더 내의 파일들을 정렬시켰을 때 사이에 이가 빠진 부분이 있다면 클릭해보자.
폴더 내의 파일들을 정렬시켰을 때 사이에 이가 빠진 부분이 있다면 클릭해보자.
46번째 줄: 48번째 줄: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TrIDNet이라는 프로그램을 쓰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확장자가 바뀐 프로그램의 헤더를 분석하여 어떤 형식의 파일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이다.
TrIDNet이라는 프로그램을 쓰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확장자가 바뀐 프로그램의 헤더를 분석하여 어떤 형식의 파일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이다.
# TrIDNet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로 간다. {{외부링크|http://mark0.net/soft-tridnet-e.html}}
# TrIDNet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로 간다. {{외부링크|http://mark0.net/soft-tridnet-e.html}}
# 페이지에 있는 Download 테이블에 있는 두 개의 ZIP과 RAR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페이지에 있는 Download 테이블에 있는 두 개의 ZIP과 RAR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65번째 줄: 68번째 줄:


===== 파일 검색을 통한 방법 =====
===== 파일 검색을 통한 방법 =====
매우 단순하다. 그냥 탐색기에서 {{|Ctrl}}+{{키|F}}를 눌러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주자.
매우 단순하다. 그냥 탐색기에서 {{키눌림|Ctrl|F}}를 눌러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주자.


<code>*.avi</code>
<code>*.avi</code>
74번째 줄: 77번째 줄:


===== 윈도우 =====
===== 윈도우 =====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보자. {{|Ctrl}}+{{키|F}}를 통한 방법에 비해서는 조금 복잡하지만, 폴더 미로의 구조를 한번에 파악하여 확장자가 바뀐 파일까지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보자. {{키눌림|Ctrl|F}}를 통한 방법에 비해서는 조금 복잡하지만, 폴더 미로의 구조를 한번에 파악하여 확장자가 바뀐 파일까지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우선, {{|Ctrl}}+{{키|R}}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ode>cmd</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 우선, {{키눌림|Ctrl|R}}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ode>cmd</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code>'''CD''' (폴더 미로가 시작되는 폴더의 경로)</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code>'''CD''' (폴더 미로가 시작되는 폴더의 경로)</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예시: <code>'''CD''' C:\Libre Wiki\폴더 미로</code>
## 예시: <code>'''CD''' C:\Libre Wiki\폴더 미로</code>
98번째 줄: 102번째 줄:
일반적인 사람들은 해당 폴더에 들어가기만 해도 큰일나는 줄 아는 경우가 많아 꽤나 효과가 좋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해당 폴더에 들어가기만 해도 큰일나는 줄 아는 경우가 많아 꽤나 효과가 좋다.


물론 맨 처음에 설명했던 이름바꾸기를 수행하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Ctrl}}+{{키|F}} 한 방에 깨지므로 유의.
물론 맨 처음에 설명했던 이름바꾸기를 수행하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키눌림|Ctrl|F}} 한 방에 깨지므로 유의.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111번째 줄: 116번째 줄:
*위험도: ★★★  (별 세개)
*위험도: ★★★  (별 세개)


아예 별도의 저장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CD로 구워서 따로 컬렉션을 만들어서 걸리기 쉬웠지만 [[USB 메모리]]가 점차 대용량화되면서 부피 대비 용량이 상당히 커지게 되었다. 32GB쯤 되는 중간용량의 USB라면 1기가짜리 고화질 동영상 30개 정도는 들어간다. 무슨 블루레이급 화질(...)로 가지고 다니는 것이 아닌 다음에는 상당량의 영상이 보관 가능하다. 자신의 소중한 컬렉션(...)들을 집어넣고 자신만 아는 곳에다가 숨겨놓으면 된다.
아예 별도의 저장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CD로 구워서 따로 컬렉션을 만들어서 걸리기 쉬웠지만 USB가 점차 대용량화 되면서 부피 대비 용량이 상당히 커지게 되었다. 32GB쯤 되는 중간용량의 USB라면 1기가짜리 고화질 동영상 30개 정도는 들어간다. 무슨 블루레이급 화질(...)로 가지고 다니는 것이 아닌 다음에는 상당량의 영상이 보관 가능하다. 자신의 소중한 컬렉션(...)들을 집어넣고 자신만 아는 곳에다가 숨겨놓으면 된다.  


다만 이 방법의 최대 단점은 USB를 잃어버리면 그대로 분실된다는 점이다. 거기에 집안 구석에 잘 두었는데 부모님이 청소를 아주 철두철미하게 하시는 분이라면 USB가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물론 꽂아보기 전에는 알 수 없으니 당장은 보호가 되지만 만일 부모님이 이걸 그대로 자신이 쓰시겠다면서 가져가 버리신다면 끝장.
다만 이 방법의 최대 단점은 USB를 잃어버리면 그대로 분실된다는 점이다. 거기에 집안 구석에 잘 두었는데 부모님이 청소를 아주 철두철미하게 하시는 분이라면 USB가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물론 꽂아보기 전에는 알 수 없으니 당장은 보호가 되지만 만일 부모님이 이걸 그대로 자신이 쓰시겠다면서 가져가 버리신다면 끝장.


이외에 마이크로 SD 카드 같은 것을 활용할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핸드폰에다가 보관이 가능해진다. 여기에 폴더 미로 같은 간단한 것을 더 추가해 둔다면 더 좋다. 폰을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나 시청이 가능한 것은 덤(...)
이외에 마이크로 SD카드 같은 것을 활용할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핸드폰에다가 보관이 가능해진다. 여기에 폴더 미로 같은 간단한 것을 더 추가해 둔다면 더 좋다. 폰을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나 시청이 가능한 것은 덤(...)


==== 탐지법 ====
==== 탐지법 ====
이건 소지품 검사를 해서 하나하나 알아보기 전에는 답이 없다. 다만 보안 USB 메모리가 아닌 일반 USB 메모리라면 걸리는 순간 끝장... 핸드폰도 폰 자체는 안전하기는 한데 이는 핸드폰에 암호를 별도로 설정하고 패턴인식과 같은 보안설정을 해 둔 것이 아니라면 걸렸을 때는 깔끔하게 포기하는 것이 이롭다. USB 메모리를 컴에 연결하는 순간 [[망했어요]] 당첨. {{ㅊ|왠지 이 글을 본 부모님들이 소지품 검사를 할 것 같단 말이지}}
이건 소지품 검사를 해서 하나하나 알아보기 전에는 답이 없다. 다만 보안 USB가 아닌 일반 USB라면 걸리는 순간 끝장... 핸드폰도 폰 자체는 안전하기는 한데 이는 핸드폰에 암호를 별도로 설정하고 패턴인식과 같은 보안설정을 해 둔 것이 아니라면 걸렸을 때는 깔끔하게 포기하는 것이 이롭다. USB를 컴에 연결하는 순간 [[망했어요]] 당첨. {{ㅊ|왠지 이 글을 본 부모님들이 소지품 검사를 할 것 같단 말이지}}


== 중급자 ==
== 중급자 ==
130번째 줄: 135번째 줄:
프로그램을 알아서 잘 구해 요긴하게 사용해보자. 몇몇 프로그램은 폴더 숨김기능도 지원한다.
프로그램을 알아서 잘 구해 요긴하게 사용해보자. 몇몇 프로그램은 폴더 숨김기능도 지원한다.


단점은 본인이 비밀번호를 까먹었을 경우. 생각이 나면 해프닝이요 완전히 까먹으면 비극. 다만,아래의 탐지 방법에 의해 완전히 비극인 것만은 아니다.
단점은 본인이 비밀번호를 까먹었을 경우. 생각이 나면 헤프닝이요 완전히 까먹으면 비극. 다만,아래의 탐지 방법에 의해 완전히 비극인 것만은 아니다.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141번째 줄: 146번째 줄:


*위험도: - (별 0 개)
*위험도: - (별 0 개)
[[VeraCrypt]]와 같은 암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참고로 [[VeraCrypt]]는 공짜다!)<ref>옛날에는 [[TrueCrypt]]를 많이 사용했으나 [[TrueCrypt]]는 [[2014년]]에 어른의 사정으로 개발 중단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후속 프로젝트인 [[VeraCrypt]]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ref> [[매킨토시]]는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된다.
[[TrueCrypt]]와 같은 암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참고로 [[TrueCrypt]]는 공짜다!)<ref>다만 [[TrueCrypt]]는 [[2014년]]에 어른의 사정으로 개발 중단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후속 프로젝트인 [[VeraCrypt]]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ref>


암호화는 AES-256에 해시알고리즘은 SHA-512를 선택하고 키파일 방식을 사용하여 키파일을 마이크로SD 카드 등에 넣어서 키파일이 없음 암호화 해제가 되지 않도록 한다. 키파일의 경우 512비트(64자리)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풀릴 일이 없다. 키파일이 날라갈 경우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으니 여러 곳에 백업해놔야 한다. 데이터 파일 확장자는 .iso나 .exe .dat 등으로 위장하면 된다.
암호화는 AES-256에 해시알고리즘은 SHA-512를 선택하고 키파일 방식을 사용하여 키파일을 마이크로SD 카드 등에 넣어서 키파일이 없음 암호화 해제가 되지 않도록 한다. 키파일의 경우 512비트(64자리)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풀릴 일이 없다. 키파일이 날라갈 경우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으니 여러 곳에 백업해놔야 한다. 데이터 파일 확장자는 .iso나 .exe .dat 등으로 위장하면 된다.


단지 보안이 강력해질수록 파일을 여는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정말 말도 안 될 정도로 느려지는 것은 아니니, 한 번쯤 테스트해 보는 것으로도 문제는 없다.
단지 보안이 강력해질수록 파일을 여는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151번째 줄: 156번째 줄:


정 뚫고 싶다면 모든 경우의 수의 암호를 자동으로 일일이 대입해서 뚫는 방법인 [[브루트 포스]] 방법이 있다. 쉽게 말해서 '암호가 네자리이고 숫자다!'라는 걸 알면 0000부터 9999까지 일일이 대입해보면서 뚫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호의 보안 수준과 뚫리는 시간이 비례한다. 즉, 암호가 쉬울 경우 빨리 뚫리고, 암호가 어려울 경우 심하면 뚫는 시간이 '''10억 년'''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
정 뚫고 싶다면 모든 경우의 수의 암호를 자동으로 일일이 대입해서 뚫는 방법인 [[브루트 포스]] 방법이 있다. 쉽게 말해서 '암호가 네자리이고 숫자다!'라는 걸 알면 0000부터 9999까지 일일이 대입해보면서 뚫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호의 보안 수준과 뚫리는 시간이 비례한다. 즉, 암호가 쉬울 경우 빨리 뚫리고, 암호가 어려울 경우 심하면 뚫는 시간이 '''10억 년'''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
요즘 나오는 툴들은 암호를 찾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입해 볼 암호의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 (암호는 [[숫자]]다! 라는 걸 알면 숫자로 된 암호들만 대입해볼 수 있다)이 있는 경우도 있다.
요즘 나오는 툴들은 암호를 찾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입해 볼 암호의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 (암호는 숫자다! 라는 걸 알면 숫자로 된 암호들만 대입해볼 수 있다)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파일을 탐지하지는 못해도 썸네일을 통해 파일의 존재를 감지해낼 수 있다. 윈도우 썸네일 DB를 열어 등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동영상이나 이미지인경우 파일이 있었다는 것 또는 어딘가 저장되어 있다는걸 알아낼 수 있다. 다만 썸네일을 만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파일을 탐지하지는 못해도 썸네일을 통해 파일의 존재를 감지해낼 수 있다. 윈도우 썸네일 DB를 열어 등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동영상이나 이미지인경우 파일이 있었다는 것 또는 어딘가 저장되어 있다는걸 알아낼 수 있다. 다만 썸네일을 만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163번째 줄: 168번째 줄:


번외법으로, 파일을 분할압축하는 것까지는 같으나 그 파일들을 분산시켜 놓는 방법이 있다. 파일 미로를 만들어 분산할 수도 있고 다른 저장장치에 분산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름과 확장자까지 바꿔 놓으면 본인 외에는 이게 야동이 담긴 건지 아닌지 알 수 없으며 설령 열어본다고 해도 순순히 열리지 않을 것이다. 단, 파일을 저장해 놓은 위치를 잊어버리거나 분할압축된 파일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번외법으로, 파일을 분할압축하는 것까지는 같으나 그 파일들을 분산시켜 놓는 방법이 있다. 파일 미로를 만들어 분산할 수도 있고 다른 저장장치에 분산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름과 확장자까지 바꿔 놓으면 본인 외에는 이게 야동이 담긴 건지 아닌지 알 수 없으며 설령 열어본다고 해도 순순히 열리지 않을 것이다. 단, 파일을 저장해 놓은 위치를 잊어버리거나 분할압축된 파일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windows 폴더나 게임 내 파일들로 위장시키는 방법도 있다. 확장자가 바뀌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열람 할 수 없는데다 거기까지 확인하는 사람은 매우 적기 때문에 숨기기에도 좋다.<ref>예를들어 '직박구리.ALZ'라는 파일이 있다 가정할때 .ALZ 확장자를 .DLL로 변경하고 파일의 이름을 'D3D11'로 바꾼 뒤 게임 폴더 내에 넣어버리면 게임 폴더를 유심히 살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알 수가 없게 된다.</ref>


== 고급 ==
== 고급 ==
198번째 줄: 201번째 줄:
{{--|하지만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가 놀러와서 물어본다면....아,엑티브X가 너무 드러워서 XP 깔아줬어}}
{{--|하지만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가 놀러와서 물어본다면....아,엑티브X가 너무 드러워서 XP 깔아줬어}}


아니면 [[시리즈:내 리눅스가 이렇게 쉬울 리 없어!]]를 들먹이면서 '''나 리눅스 하려는데 그냥 설치하기엔 좀 그래서...'''라고 해봐라.
아니면 [[쉬운 리눅스]]를 들먹이면서 '''나 리눅스 하려는데 그냥 설치하기엔 좀 그래서...'''라고 해봐라.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248번째 줄: 251번째 줄:


diskpart 같은 파티션 툴의 SetID를 이용해서 파티션 형식을 조작해서 파티션을 숨긴다. 참고로 NTFS 숨김 파티션의 SetID는 MBR기준 "0x17".
diskpart 같은 파티션 툴의 SetID를 이용해서 파티션 형식을 조작해서 파티션을 숨긴다. 참고로 NTFS 숨김 파티션의 SetID는 MBR기준 "0x17".


만약 HxD와 같은 툴을 능숙하게 다룬다면  직접 오프셋을 찾아 고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HxD와 같은 툴을 능숙하게 다룬다면  직접 오프셋을 찾아 고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264번째 줄: 268번째 줄:


*위험도: ☆(별 반 개)
*위험도: ☆(별 반 개)
웹하드에 파일을 업로드 하고, 이를 비공개로 돌림으로서 개인만 열람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기능이 제공되지 않은 웹 하드이거나 정부기관이 열람하기 쉬운 회사의 웹 하드인 경우에는 오히려 [[성범죄|진짜 별 맛]]을 볼 수 있으므로 주의. 더불어 XX디스크, XX다운과 같은 파일을 공유하는 곳에도 절대 올리지 말자. 가장 보편적이고 숨기기 쉬운 구글 드라이브가 추천된다.
웹하드에 파일을 업로드 하고, 이를 비공개로 돌림으로서 개인만 열람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기능이 제공되지 않은 웹 하드이거나 정부기관이 열람하기 쉬운 회사의 웹 하드인 경우에는 오히려 [[성범죄|진짜 별 맛]]을 볼 수 있으므로 주의. 더불어 XX디스크, XX다운과 같은 파일을 공유하는 곳에도 절때 올리지 말자. 가장 보편적이고 숨기기 쉬운 구글 드라이브가 추천된다.


쓰지 않는 구글 부계정을 이용하거나 구글 계정은 만들되 접속 사이트와 휴대폰 기록을 말끔히 지움으로써 오로지 '자신만' 아는 계정을 만든다. 이 계정의 구글 드라이브에 파일을 압축해 올리거나 편집하여 업로드 하면 되는데, 문제는 대용량 파일의 경우 업로드 시간이 길며 업로드 중 단독주택이나 빌라의 경우 인터넷 속도가 감지되기에 적발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을 여러 개로 쪼개버리거나 하나로 만들되 필요없는 부분은 과감히 삭제하는 것이 좋다. 이후 최대 압축으로 업로드 하여 올려놓거나 영상 그대로 올려놓으면 Profit...라고 할 줄 알았겠지만, 그렇게 되면 성인물을 대놓고 풀어버리게 되므로 [[경찰차|삐뽀차]]가 올 수 있으므로, 폴더를 생성하고 '비공개' 설정을 한 다음 넣어놓자.
쓰지 않는 구글 부계정을 이용하거나 구글 계정은 만들되 접속 사이트와 휴대폰 기록을 말끔히 지움으로써 오로지 '자신만' 아는 계정을 만든다. 이 계정의 구글 드라이브에 파일을 압축해 올리거나 편집하여 업로드 하면 되는데, 문제는 대용량 파일의 경우 업로드 시간이 길며 업로드 중 단독주택이나 빌라의 경우 인터넷 속도가 감지되기에 적발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을 여러 개로 쪼개버리거나 하나로 만들되 필요없는 부분은 과감히 삭제하는 것이 좋다. 이후 최대 압축으로 업로드 하여 올려놓거나 영상 그대로 올려놓으면 Profit...라고 할 줄 알았겠지만, 그렇게 되면 성인물을 대놓고 풀어버리게 되므로 [[경찰차|삐뽀차]]가 올 수 있으므로, 폴더를 생성하고 '비공개' 설정을 한 다음 넣어놓자.
274번째 줄: 278번째 줄:


== 해탈(...) ==
== 해탈(...) ==
해탈: 속세의 속박·번뇌를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심경에 이르는 것.
=== [[금딸|야동을 끊기]] ===
=== [[금딸|야동을 끊기]] ===
*난이도: ★∞ (별 무한대)
*난이도: ★∞ (별 무한대)
282번째 줄: 284번째 줄:


<s>그 좋은걸 왜 힘들게 끊으려고 하시나요?</s>
<s>그 좋은걸 왜 힘들게 끊으려고 하시나요?</s>
야동을 끊는 행위. 이 세계의 몇 없는 전문가들만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del>{{사용자|어떤 위키러}}는 차라리 '똥을 끊는 쪽이 편하다'고 여길지 모를 정도로</del> 매우 어렵지만, 누구에게도 탐지 당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완벽한 은폐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야동을 끊는 행위. 이 세계의 몇 없는 전문가들만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del>{{사용자|어떤 위키러}}는 차라리 '똥을 끊는 쪽이 편하다'고 여길지 모를 정도로</del> 매우 어렵지만, 누구에게도 탐지 당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완벽한 은폐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가능성 검증 ====
==== 가능성 검증 ====
298번째 줄: 300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리브레 시리즈]]
[[분류:영상]]
[[분류:포르노그래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