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야한 동영상 은폐와 탐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3번째 줄: 23번째 줄:
*위험도: ★★★★★  (별 다섯개)
*위험도: ★★★★★  (별 다섯개)


폴더를 우클릭하면 나오는 '속성' 창의 '사용자 지정' 탭에서 아이콘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기본 경로는 %SystemRoot%\system32\shell32.dll인데, 선택 가능한 수많은 아이콘을 찾아보다 보면 사이에 이가 빠진 투명한 칸이 있는데, 이 칸을 선택해서 아이콘으로 지정하고, 폴더 이름을 ' '<ref>{{|ㄱ}}을 치고 {{|한자}}를 누르면 맨 위에 나온다.</ref>'로 설정하면 보이지 않는 투명 폴더가 된다.
폴더를 우클릭하면 나오는 '속성' 창의 '사용자 지정' 탭에서 아이콘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기본 경로는 %SystemRoot%\system32\shell32.dll인데, 선택 가능한 수많은 아이콘을 찾아보다 보면 사이에 이가 빠진 투명한 칸이 있는데, 이 칸을 선택해서 아이콘으로 지정하고, 폴더 이름을 ' '<ref>{{키눌림|ㄱ}}을 치고 {{키눌림|한자}}를 누르면 맨 위에 나온다.</ref>'로 설정하면 보이지 않는 투명 폴더가 된다.
==== 탐지법 ====
==== 탐지법 ====
폴더 내의 파일들을 정렬시켰을 때 사이에 이가 빠진 부분이 있다면 클릭해보자.
폴더 내의 파일들을 정렬시켰을 때 사이에 이가 빠진 부분이 있다면 클릭해보자.
65번째 줄: 65번째 줄:


===== 파일 검색을 통한 방법 =====
===== 파일 검색을 통한 방법 =====
매우 단순하다. 그냥 탐색기에서 {{|Ctrl}}+{{키|F}}를 눌러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주자.
매우 단순하다. 그냥 탐색기에서 {{키눌림|Ctrl|F}}를 눌러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주자.


<code>*.avi</code>
<code>*.avi</code>
74번째 줄: 74번째 줄:


===== 윈도우 =====
===== 윈도우 =====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보자. {{|Ctrl}}+{{키|F}}를 통한 방법에 비해서는 조금 복잡하지만, 폴더 미로의 구조를 한번에 파악하여 확장자가 바뀐 파일까지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보자. {{키눌림|Ctrl|F}}를 통한 방법에 비해서는 조금 복잡하지만, 폴더 미로의 구조를 한번에 파악하여 확장자가 바뀐 파일까지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우선, {{|Ctrl}}+{{키|R}}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ode>cmd</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 우선, {{키눌림|Ctrl|R}}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ode>cmd</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code>'''CD''' (폴더 미로가 시작되는 폴더의 경로)</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code>'''CD''' (폴더 미로가 시작되는 폴더의 경로)</code>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예시: <code>'''CD''' C:\Libre Wiki\폴더 미로</code>
## 예시: <code>'''CD''' C:\Libre Wiki\폴더 미로</code>
98번째 줄: 98번째 줄:
일반적인 사람들은 해당 폴더에 들어가기만 해도 큰일나는 줄 아는 경우가 많아 꽤나 효과가 좋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해당 폴더에 들어가기만 해도 큰일나는 줄 아는 경우가 많아 꽤나 효과가 좋다.


물론 맨 처음에 설명했던 이름바꾸기를 수행하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Ctrl}}+{{키|F}} 한 방에 깨지므로 유의.
물론 맨 처음에 설명했던 이름바꾸기를 수행하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키눌림|Ctrl|F}} 한 방에 깨지므로 유의.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141번째 줄: 141번째 줄:


*위험도: - (별 0 개)
*위험도: - (별 0 개)
[[VeraCrypt]]와 같은 암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참고로 [[VeraCrypt]]는 공짜다!)<ref>옛날에는 [[TrueCrypt]]를 많이 사용했으나 [[TrueCrypt]]는 [[2014년]]에 어른의 사정으로 개발 중단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후속 프로젝트인 [[VeraCrypt]]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ref> [[매킨토시]]는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된다.
[[TrueCrypt]]와 같은 암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참고로 [[TrueCrypt]]는 공짜다!)<ref>다만 [[TrueCrypt]]는 [[2014년]]에 어른의 사정으로 개발 중단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후속 프로젝트인 [[VeraCrypt]]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ref>


암호화는 AES-256에 해시알고리즘은 SHA-512를 선택하고 키파일 방식을 사용하여 키파일을 마이크로SD 카드 등에 넣어서 키파일이 없음 암호화 해제가 되지 않도록 한다. 키파일의 경우 512비트(64자리)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풀릴 일이 없다. 키파일이 날라갈 경우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으니 여러 곳에 백업해놔야 한다. 데이터 파일 확장자는 .iso나 .exe .dat 등으로 위장하면 된다.
암호화는 AES-256에 해시알고리즘은 SHA-512를 선택하고 키파일 방식을 사용하여 키파일을 마이크로SD 카드 등에 넣어서 키파일이 없음 암호화 해제가 되지 않도록 한다. 키파일의 경우 512비트(64자리)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풀릴 일이 없다. 키파일이 날라갈 경우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으니 여러 곳에 백업해놔야 한다. 데이터 파일 확장자는 .iso나 .exe .dat 등으로 위장하면 된다.


단지 보안이 강력해질수록 파일을 여는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정말 말도 안 될 정도로 느려지는 것은 아니니, 한 번쯤 테스트해 보는 것으로도 문제는 없다.
단지 보안이 강력해질수록 파일을 여는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151번째 줄: 151번째 줄:


정 뚫고 싶다면 모든 경우의 수의 암호를 자동으로 일일이 대입해서 뚫는 방법인 [[브루트 포스]] 방법이 있다. 쉽게 말해서 '암호가 네자리이고 숫자다!'라는 걸 알면 0000부터 9999까지 일일이 대입해보면서 뚫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호의 보안 수준과 뚫리는 시간이 비례한다. 즉, 암호가 쉬울 경우 빨리 뚫리고, 암호가 어려울 경우 심하면 뚫는 시간이 '''10억 년'''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
정 뚫고 싶다면 모든 경우의 수의 암호를 자동으로 일일이 대입해서 뚫는 방법인 [[브루트 포스]] 방법이 있다. 쉽게 말해서 '암호가 네자리이고 숫자다!'라는 걸 알면 0000부터 9999까지 일일이 대입해보면서 뚫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호의 보안 수준과 뚫리는 시간이 비례한다. 즉, 암호가 쉬울 경우 빨리 뚫리고, 암호가 어려울 경우 심하면 뚫는 시간이 '''10억 년'''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
요즘 나오는 툴들은 암호를 찾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입해 볼 암호의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 (암호는 [[숫자]]다! 라는 걸 알면 숫자로 된 암호들만 대입해볼 수 있다)이 있는 경우도 있다.
요즘 나오는 툴들은 암호를 찾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입해 볼 암호의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 (암호는 숫자다! 라는 걸 알면 숫자로 된 암호들만 대입해볼 수 있다)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파일을 탐지하지는 못해도 썸네일을 통해 파일의 존재를 감지해낼 수 있다. 윈도우 썸네일 DB를 열어 등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동영상이나 이미지인경우 파일이 있었다는 것 또는 어딘가 저장되어 있다는걸 알아낼 수 있다. 다만 썸네일을 만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파일을 탐지하지는 못해도 썸네일을 통해 파일의 존재를 감지해낼 수 있다. 윈도우 썸네일 DB를 열어 등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동영상이나 이미지인경우 파일이 있었다는 것 또는 어딘가 저장되어 있다는걸 알아낼 수 있다. 다만 썸네일을 만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198번째 줄: 198번째 줄:
{{--|하지만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가 놀러와서 물어본다면....아,엑티브X가 너무 드러워서 XP 깔아줬어}}
{{--|하지만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가 놀러와서 물어본다면....아,엑티브X가 너무 드러워서 XP 깔아줬어}}


아니면 [[시리즈:내 리눅스가 이렇게 쉬울 리 없어!]]를 들먹이면서 '''나 리눅스 하려는데 그냥 설치하기엔 좀 그래서...'''라고 해봐라.
아니면 [[쉬운 리눅스]]를 들먹이면서 '''나 리눅스 하려는데 그냥 설치하기엔 좀 그래서...'''라고 해봐라.


==== 탐지 방법 ====
==== 탐지 방법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