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살아남기/일상 속의 준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리브레 시리즈]]
[[분류:생존주의|일상 속의 준비]]
== 개요 ==
[[재난]]을 극복하려면, 평소에 준비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일상 속의 준비는 건물의 기초와 같다.
[[재난]]을 극복하려면, 평소에 준비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일상 속의 준비는 건물의 기초와 같다.


== 이주 준비 ==
== 이주 준비 ==
재난이 왔다면, 있는 곳에서 최대한 빨리 이탈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 시스템이 작동한다면 [[대피소]] 등으로 유도되겠지만, 주요 물자는 부족할 공산이 크고 대피소조차 없을 수 있다. [[생존 배낭]]을 구비할 것을 강력하게 권장하며, 집과 주요 생활 지점의 거리가 멀다면 [[생환 가방]]를 소지하거나 주요 생활 지점에 비치하면 도움이 된다.
재난이 왔다면, 있는 곳에서 최대한 빨리 이탈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 시스템이 작동한다면 [[대피소]] 등으로 유도되겠지만, 주요 물자는 부족할 공산이 크고 대피소조차 없을 수 있다. [[생존 배낭]]을 구비할 것을 강력하게 권장하며, 집과 주요 생활 지점의 거리가 멀다면 [[Get-home Bag]]를 소지하거나 주요 생활 지점에 비치하면 도움이 된다.


== 물자 비축 ==
== 물자 비축 ==
18번째 줄: 21번째 줄:


* 끓이기
* 끓이기
*: 단순히 끓이기만 해도 많은 병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1분 이상 끓였을 시 제거된다. 단순하지만 이 과정을 거친다면 수많은 질병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만약 물을 끓일 수 없는 상황이면 최소한 60도 이상에서 5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ref>파스퇴르법 참고</ref>
** 단순히 끓이기만 해도 많은 병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1분 이상 끓였을 시 제거된다. 단순하지만 이 과정을 거친다면 수많은 질병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만약 물을 끓일 수 없는 상황이면 최소한 60도 이상에서 5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ref>파스퇴르법 참고</ref>
* 증류
* 증류
*: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확실하게 물의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여러 가지 물품을 조합하면 단순한 증류기를 만들 수 있고, 이를 미리 준비하려면 저렴한 가격에 간이 증류기를 구입할 수 있다. 보통의 물을 증류한다면 순수한 물만 남게 되므로, 병원성 미생물이나 물에 녹아 있는 중금속 등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사태가 장기화되었을 시, 이러한 증류 장치는 물 외에 다른 물질을 분리할 때도 응용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확실하게 물의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여러 가지 물품을 조합하면 단순한 증류기를 만들 수 있고, 이를 미리 준비하려면 저렴한 가격에 간이 증류기를 구입할 수 있다. 보통의 물을 증류한다면 순수한 물만 남게 되므로, 병원성 미생물이나, 물에 녹아 있는 중금속 등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사태가 장기화되었을 시, 이러한 증류 장치는 물 외에 다른 물질을 분리할 때도 응용할 수 있다.
* 필터 사용
* 필터 사용
*: 비록 미생물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필터를 사용하면 중금속이나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모래와 활성탄([[]])등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도 있다. 단 [[브리타]] 정수기와 같은 상수도용 정수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원하는 효과를 얻기 힘드니, 재난 대비용으로 제조되거나, 분쟁 지역에 구호품으로 공급되는 제품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라고 해도 미생물은 남아 있으니 이를 끓인다면 탁월한 정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비록 미생물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필터를 사용하면 중금속이나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모래와 활성탄(숯)등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도 있다. 단 [[브리타]] 정수기와 같은 상수도용 정수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원하는 효과를 얻기 힘드니, 재난 대비용으로 제조되거나, 분쟁 지역에 구호품으로 공급되는 제품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라고 해도 미생물은 남아 있으니 이를 끓인다면 탁월한 정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정수용 화학약품 사용
* 정수용 화학약품 사용
*: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정수는 예전부터 많이 있어 왔다. 재난 대비용이나 분쟁 지역 구호용으로 간단한 정수 알약 등이 제조되고 있지만, 가정에서 사용하기 가장 편한 방법은 [[락스]]이다. 락스와 같은 하이포아염소산을 물에 일정한 비율로 희석하면 살균작용을 하여 간단히 정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기구를 세척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안심.
**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정수는 예전부터 많이 있어 왔다. 재난 대비용이나 분쟁 지역 구호용으로 간단한 정수 알약 등이 제조되고 있지만, 가정에서 사용하기 가장 편한 방법은 [[락스]]이다. 락스와 같은 하이포아염소산을 물에 일정한 비율로 희석하면 살균작용을 하여 간단히 정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기구를 세척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안심.


=== 식량 ===
=== 식량 ===
[[통조림]] 같이 보관이 편리하고 유통기한이 긴 보존 식품 위주로 마련하는 것이 좋다. 시류의 경중에 따라 3일 ~ 14일 분을 비축해두는 것이 좋다. 한번에 준비하고 한번에 폐기하기보다는, 조금씩 준비하면서 평소 먹고 싶을 때 혹은 유통기한이 다 되어간다 싶을 때 먹은 다음 새로 준비하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먹어보면서 보존이 잘 되면서 그나마 입맛에 맞는 식품을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통조림]] 같이 보관이 편리하고 유통기한이 긴 보존 식품 위주로 마련하는 것이 좋다. 시류의 경중에 따라 3일 ~ 14일 분을 비축해두는 것이 좋다. 한번에 준비하고 한번에 폐기하기보다는 조금씩 준비하면서 유통기한이 다 되어간다 싶으면 먹은 다음, 새로 준비하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준비를 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먹어보면서 보존이 잘 되면서 그나마 입맛에 맞는 식품을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주식====
====주식====
*라면: 조리시에 물과 연료가 많이 필요하고, 맵고 짠 한국라면 특성상 섭취 후에 물을 더 찾게 된다. 게다가 유통기한도 '''6개월''' 내외. 라면을 자주 먹으며 2주 이내분을 비축해 두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마실 물이 넉넉한 상황이 아니라면 권장하는 식품은 아니다.  
*라면: 조리시에 물과 연료가 많이 필요하고, 맵고 짠 한국라면 특성상 섭취 후에 물을 더 찾게 된다. 게다가 유통기한도 '''6개월''' 내외. 라면을 자주먹으며 2주 이내분을 비축해 두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마실 물이 넉넉한 상황이 아니라면 권장하는 식품은 아니다.  
*즉석밥: 식은 것을 먹어도 문제가 없으며<ref>[http://www.cj.co.kr/cj-kr/cj/cscenter/faq/381 CJ 제일제당 고객센터 ],''[제품] 햇반을 조리하지 않고 그냥 먹어도 되나요.'', 2015.03.11</ref>(물론 식은 밥이니 맛이 조금 없겠지만) 유통기한도 9개월로 라면보다 조금 길다. [https://www.youtube.com/watch?v=26ju-mS8f9M 10년된 즉석밥이 괜찮은 경우도 존재한다(...).]
*즉석밥: 식은 것을 먹어도 문제가 없으며<ref>[http://www.cj.co.kr/cj-kr/cj/cscenter/faq/381 CJ 제일제당 고객센터 ],''[제품] 햇반을 조리하지 않고 그냥 먹어도 되나요.'', 2015.03.11</ref>(물론 식은 밥이니 맛이 조금 없겠지만) 유통기한도 9개월로 라면보다 조금 길다.
*민수용 전투식량: 발열팩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조리시 연료가 따로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며, 기타 다른 식품을 데우는 것도 가능하다. 국내에서 민수용으로 나온 [http://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27060078&search.menuid=49&search.boardtype=L 프랑스 전투식량 패키지]를 사면 정수 알약과 고체 연료를 동봉해준다.
*민수용 전투식량: 발열팩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조리시 연료가 따로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며, 기타 다른 식품을 데우는 것도 가능하다. 국내에서 민수용으로 나온 [http://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27060078&search.menuid=49&search.boardtype=L 프랑스 전투식량 패키지]를 사면 정수 알약과 고체 연료를 동봉해준다.
*비스킷 : 주식에 뭔 과자냐고 할지도 모르지만 오랜 시간동안 해외에선 선원, 병사들에게 지급되는 역사깊은 비상 식량이다. 소금을 첨가해 구하기 힘든 소금을 같이 섭취하거나 이동 중에 편하게 취식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슈퍼에서 파는 비스킷들은 비상용으로 쌓아두기 그렇고, 소금, 밀가루 의외의 무첨가 비스킷이나 비상식량용 비스킷을 구매하도록 하자.
*비스킷 : 주식에 뭔 과자냐고 할지도 모르지만 오랜 시간동안 해외에선 선원, 병사들에게 지급되는 역사깊은 비상 식량이다. 소금을 첨가해 구하기 힘든 소금을 같이 섭취하거나 이동 중에 편하게 취식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슈퍼에서 파는 비스킷들은 비상용으로 쌓아두기 그렇고, 소금, 밀가루 의외의 무첨가 비스킷이나 비상식량용 비스킷을 구매하도록 하자.
42번째 줄: 45번째 줄:


====간식 및 음료====
====간식 및 음료====
*[[설탕]]: (제대로 보관을 하면) 유통기한 표기가 없는 불멸의 음식. 영양소라고는 당밖에 없지만, 설탕 같은 감미료는 스트레스 투성이인 위기 상황에서 큰 위안이 된다. 빠른 열량 보급도 장점.
*설탕: (제대로 보관을 하면) 유통기한 표기가 없는 불멸의 음식. 영양소라고는 당밖에 없지만, 설탕 같은 감미료는 스트레스 투성이인 위기 상황에서 큰 위안이 된다. 빠른 열량 보급도 장점.
*초코바, 시리얼바, [[사탕]]: 설탕 같이 단맛이 나는 식품이지만, 이쪽은 유통기한이 1~2년 정도이다. 설탕보다는 다양한 맛이 나니, 열량 보급과 기분전환용으로는 좋은편.
*초코바, 시리얼바, 사탕: 설탕 같이 단맛이 나는 식품이지만, 이쪽은 유통기한이 1~2년 정도이다. 설탕보다는 다양한 맛이 나니, 열량 보급과 기분전환용으로는 좋은편.
*음료: 당분이 많이 들어가는지라 갈증 해소보다는 당분 섭취용에 가깝다, 유통기한 1년.
*음료: 당분이 많이 들어가는지라 갈증 해소보다는 당분 섭취용에 가깝다, 유통기한 1년.
*꿀: 보관성이나 보급은 쉽지 않지만 그저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기 의외에도 여러 가지에 활용할 수 있는 식품. 유통기한도 매우 길다.
*꿀: 보관성이나 보급은 쉽지 않지만 그저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기 의외에도 여러 가지에 활용할 수 있는 식품. 유통기한도 매우 길다.
50번째 줄: 53번째 줄:
의약품, 청결용품을 구비한다. 여성은 [[생리대]]를 쟁여놓는 것이 좋다. 헝겊등을 이용해 만든 붕대를 활용할 때에는 물파스와 조합함으로써 수제 파스를 제작할 수 있다. 의외로 의료용 종이테이프가 사용되는 빈도가 잦으니 최소 두세롤 정도는 구비하도록 하자.
의약품, 청결용품을 구비한다. 여성은 [[생리대]]를 쟁여놓는 것이 좋다. 헝겊등을 이용해 만든 붕대를 활용할 때에는 물파스와 조합함으로써 수제 파스를 제작할 수 있다. 의외로 의료용 종이테이프가 사용되는 빈도가 잦으니 최소 두세롤 정도는 구비하도록 하자.
==== 목록 ====
==== 목록 ====
<!-- 설명 추가 예정-->
<!-- 설명 추가 예정>
* [[바셀린]]
* [[바셀린]]
* [[소독]]용 [[알코올]]
* [[소독]]용 [[알코올]]
58번째 줄: 61번째 줄:
* [[소화제]]
* [[소화제]]
* [[지사제]]
* [[지사제]]
* [[화상]] 연고
* [[화상 연고]]
* [[일회용 반창고]]
* [[일회용 반창고]]


122번째 줄: 125번째 줄:
===무전기===
===무전기===
생활 [[무전기]]나 [[HAM]]을 구비하고 있다면 P2P 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하다. 특히 HAM은 수십 킬로미터 이상 송수신 권역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평시에 HAM 사용(송신)에 있어서는 관련 자격증 취득 후 전파관리소에 무선국 개설 허가를 받아야한다.
생활 [[무전기]]나 [[HAM]]을 구비하고 있다면 P2P 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하다. 특히 HAM은 수십 킬로미터 이상 송수신 권역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평시에 HAM 사용(송신)에 있어서는 관련 자격증 취득 후 전파관리소에 무선국 개설 허가를 받아야한다.
{{각주}}
{{각주}}
[[분류:리브레 시리즈]]
[[분류:생존주의|일상 속의 준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