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리눅스 서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아파치 mysql php ===
=== 아파치 mysql php ===
==== 우분투에서 설치 ====
{{#ifeq:{{{1|}}}|LAMP|<onlyinclude><noinclude>}}</noinclude><!-- LAMP 서버 문단만 출력 -->
{{#ifeq:{{{1|}}}|LAMP|<onlyinclude><noinclude>}}</noinclude><!-- LAMP 서버 문단만 출력 -->
<includeonly><small>이 문단은 [[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리눅스 서버]] 여기에서 편집해 주세요.</small></includeonly>
<includeonly><small>이 문단은 [[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리눅스 서버]] 여기에서 편집해 주세요.</small></includeonly>
25번째 줄: 24번째 줄: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date
-- 우분투 패키지 저장소의 업데이트 된 목록을 내려받는다.
#우분투 패키지 저장소의 업데이트 된 목록을 내려받는다.
$ sudo apt upgrade -y
$ sudo apt upgrade -y
-- 패키지 업데이트
#패키지 업데이트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를 각각 입력하면 됩니다.
를 각각 입력하면 됩니다.


sudo 명령어 입력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표시될 거에요. 이는 터미널에 내가 최고 사용자의 권리로 명령을 허가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이에요.<ref>SUperuserDO</ref> 윈도우에서 권한 승인 창이 뜨는 것도 같은 겁니다. 이 권한 체제는 유닉스 기반 OS들의 가장 단순하면서 핵심적인 보안 장치의 역할을 합니다.
SUDO구문을 입력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표시될 거에요. 이는 터미널에 내가 최고 사용자의 권리로 명령을 허가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이에요.<ref>SUperuserDO</ref> 이 권한 체제는 유닉스 기반 OS들의 가장 단순하면서 핵심적인 보안 장치의 역할을 합니다.


업데이트가 모두 완료됐다는 문구가 표시되면 바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업데이트가 모두 완료됐다는 문구가 표시되면 바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44번째 줄: 43번째 줄:
설치가 모두 완료됐으면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0.0.0.0 0.0.0.0]이나 [http://localhost localhost]를 입력하세요. <br />
설치가 모두 완료됐으면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0.0.0.0 0.0.0.0]이나 [http://localhost localhost]를 입력하세요. <br />
[[파일:apache-it-works.png|500px]]<br />
[[파일:apache-it-works.png|500px]]<br />
위와 같이 기본 apache의 페이지가 표시됐다면 계속 진행하고, 아니라 한다면 내가 설치한 OS가 PHP8.0을 비롯한 최신 LAMP스택의 설치를 지원하는지 확인해보세요. OS의 문제가 아니라면 모든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보세요.
위와 같이 기본 apache의 페이지가 표시됐다면 계속 진행하고, 아니라 한다면 내가 설치한 OS가 PHP7.0을 비롯한 최신 LAMP스택의 설치를 지원하는지 확인해보세요. OS의 문제가 아니라면 모든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보세요.


명령어 창으로 들어가
명령어 창으로 들어가
50번째 줄: 49번째 줄:
$ cd /var/www/html
$ cd /var/www/html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을 입력해 웹 사이트의 루트 경로로 들어가보세요.
을 입력해 웹 사이트의 루트 경로로 들어가보세요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pc@pc-desktop:/var/www/html$ ll
pc@pc-desktop:/var/www/html$ ll
129번째 줄: 128번째 줄:


하지만 대부분의 웹 서버는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합니다. 취미로 웹 서버를 구축한다면 저 복잡한 SQL 구문을 외울 필요는 없는데 데이터베이스 관련 개발자를 꿈꾼다면 외워봐야 나쁠 것 없지요.
하지만 대부분의 웹 서버는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합니다. 취미로 웹 서버를 구축한다면 저 복잡한 SQL 구문을 외울 필요는 없는데 데이터베이스 관련 개발자를 꿈꾼다면 외워봐야 나쁠 것 없지요.
PHP는 아까 아파치랑 같이 설치해서 추가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아래에는 필요한 추가 설정을 나열했습니다.


{{완료}} LAMP 서버 스택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완료}} LAMP 서버 스택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아래는 워드프레스나 미디어위키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아래는 워드프레스나 미디어위키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아까처럼 아래를 입력해 주세요.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sudo mysql -u root -p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SQL" style="">
<syntaxhighlight lang="SQL" style="">
151번째 줄: 143번째 줄:


<noinclude>{{#ifeq:{{{1|}}}|LAMP|</noinclude></onlyinclude>}} <!-- LAMP 서버 문단만 출력 -->
<noinclude>{{#ifeq:{{{1|}}}|LAMP|</noinclude></onlyinclude>}} <!-- LAMP 서버 문단만 출력 -->
우선 기초 웹 서버 설치법이 소개되었습니다. apache2 세부 설정, 속도가 더 빠른 php-fpm 설치, 설정법과 php, mysql 최적화 등은 추후 작성할 예정입니다.
===== apache 설정 =====
===== php 설정 =====
===== mysql 설정 =====
===== php-fpm 설치 =====


==== 아치 리눅스에서 설치 ====
==== 아치 리눅스에서 설치 ====
아치 리눅스는 설치까지는 무난하지만 설정이 까다롭습니다. 기다려주세요!
아치는 좀 복잡해집니다..
 
=== [[NGINX]] ===


=== [[Caddy 서버]] ===
=== [[Node.js]] 기반 서버 ===
[https://caddyserver.com/ 공식 사이트]


Go 언어로 개발된 웹 서버입니다. 매우 가볍고 설정이 간단합니다. 기본으로 [[HTTP/3]]도 지원합니다. 도메인만 있다면 [[HTTPS]]도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설정 변수 별로 문서화가 이루어져 입문하기 쉽습니다. 최초의 웹 서버인 [[아파치]]보다 역사가 매우 짧아 아직 데이터가 쌓이지 않아 복잡한 설정은 참고할 문서가 적은 단점이 있습니다.
=== Caddy 서버 ===
 
Caddyfile이라는 설정 파일 하나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공식 사이트에 소개된 설정 파일입니다. [https://caddyserver.com/docs/caddyfile caddyfile 설명 문서]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pre>
example.com
 
root * /var/www/wordpress
php_fastcgi unix//run/php/php-version-fpm.sock
file_server
</pre>
 
[https://caddyserver.com/docs/install 설치 방법]


=== flask, django ===
=== flask, django ===
가벼운 웹 백엔드 라이브러리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구글 앱 엔진]]에 올려 웹 앱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여기에 [[미디어위키]]나 [[워드프레스]] 설치는 좀 머리를 써야한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구글 앱 엔진]]에 올려서 웹 앱을 만들 수 있다.


* [[flask]]: 간단히 웹 앱을 만들 수 있는 마이크로 프레임워크. 확장이 쉽다. 초보자에게 적합. 가볍고 자유롭다.
* [[flask]]: 간단한 웹 앱을 만드는 마이크로 프레임워크. 확장이 쉽다. 초보자에게 적합.
* [[django]]: flask와는 정반대로 무거운 프레임워크. 하지만 기능이 막강하고 편리하다. 입문자에게는 뭔가 좀 많아서 복잡할 수 있다.
* [[django]]: flask와는 정반대로 무거운 프레임워크. 하지만 기능이 막강하다. 입문자에게는 뭔가 좀 많아서 복잡할 수 있다.


== 메일 서버 ==
== 메일 서버 ==
193번째 줄: 163번째 줄:
== 파일 서버 ==
== 파일 서버 ==
=== FTP/SFTP ===
=== FTP/SFTP ===
FTP는 파일을 서버로 올리는 한 수단이다. 이걸 파일 서버로 활용해도 된다.
여기에 암호화가 들어간 것이 FTPS이고 SFTP는 ssh 기반이며 ssh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 NFS ===
=== NFS ===
=== Samba ===
=== Samba ===
== 자작 Nas ==
=== 헤놀로지 ===
=== nextcloud ===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