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레이 더 스파이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8번째 줄: 28번째 줄:


한 명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선택해서, 카드를 모아 덱을 구성하며 매번 구조가 달라지는 첨탑을 공략하는 게임으로, [[로그라이크]]와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을 섞은 듯한 게임성을 가지고 있다.
한 명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선택해서, 카드를 모아 덱을 구성하며 매번 구조가 달라지는 첨탑을 공략하는 게임으로, [[로그라이크]]와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을 섞은 듯한 게임성을 가지고 있다.
2022년 11월 3일 [[보드게임]] [[크라우드펀딩]]을 시작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news/app/646570/view/3394051799827442547]


== 줄거리 ==
== 줄거리 ==
48번째 줄: 46번째 줄:


;와처 (The Watcher)
;와처 (The Watcher)
:네 번째로 해금되는 여성 캐릭터. 추월마요가 갖춰지기 전까지 드로우 카드의 효과 발동이 현재 턴보다 한 턴 뒤라는 약점이 있다.
:네 번째로 해금되는 여성 캐릭터.


===== 다운폴 =====
===== 다운폴 =====
64번째 줄: 62번째 줄:


;청동 자동인형 (The Automaton)
;청동 자동인형 (The Automaton)
:고승천으로 갈수록 생각보다 덱을 짜기 어려운 상급자용 캐릭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렘린 군단 (The Gremlins)
;그렘린 군단 (The Gremlins)
77번째 줄: 74번째 줄:
;압축&사서
;압축&사서
:압축은 드로우 미스를 방지하기 위해 덱 장수를 얇게, 사서는 딜과 방어도가 모자라 압축이 불가능하여 두껍게 짜는 것이다.
:압축은 드로우 미스를 방지하기 위해 덱 장수를 얇게, 사서는 딜과 방어도가 모자라 압축이 불가능하여 두껍게 짜는 것이다.
;도르마무
:세이브 로드


;불가침
;불가침
85번째 줄: 79번째 줄:


;가지타락 혹은 타락가지
;가지타락 혹은 타락가지
:소멸 카드가 많은 아이언클래드의 성능을 벽덱화시킨다. 타락은 어느 정도 얻기 쉬우나 말라죽은 가지를 얻기 매우 어렵다.
:아이언클래드의 승률 약 100%를 보장해주는 궁극의 조합. 타락은 어느 정도 얻기 쉬우나 말라죽은 가지를 얻기 매우 어렵다.


;붕팅
;붕팅
97번째 줄: 91번째 줄:


== 덱 ==
== 덱 ==
=== 아이언클래드 ===
;대검
:초반을 넘기는 데에 활용된다. '대검'은 코스트 2로서 약점 분석, 한계 돌파와 병행하면 같은 코스트의 기본 카드 '강타'보다 딜링 증가치가 높다. '강타'는 <nowiki>'최소 8~10+(9/8 기본 딜)+힘'</nowiki>이며, '대검'은 <nowiki>'(14+힘의 3~5배)x(9/8 기본 딜)'</nowiki>이다. 단순 증가치로 약 5배의 차이가 난다. 공격적 카드를 집느라 수비적 카드를 집을 기회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대검 덱의 핵심 카드가 마련되고 나면 방어도를 효율적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 사일런트 ===
;흐릿함
:덱이라기보다 1장 정도 넣는 필수 카드. 코스트 1. 방어도를 5 올린 후 한 턴만 턴 종료 시 남은 방어도를 사라지지 않게 한다. 사일런트의 물몸을 오래 버티게 해주는 효자 카드다.
=== 자동 사냥 ===
=== 자동 사냥 ===
종류가 너무 많다.
종류가 너무 많다.
126번째 줄: 112번째 줄:
=== 적 ===
=== 적 ===
;귀족 그렘린(Gremlin Nob)
;귀족 그렘린(Gremlin Nob)
:3턴째에 취약&힘 버프로 10턴 미만 내에 플레이어를 황천길로 보내는 엘리트로 유명하다. 덱이 잘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만났을 경우 모험이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다.
:3턴째에 취약&힘 버프로 10턴 미만 내에 플레이어를 황천길로 보내는 엘리트로 유명하다. 덱이 잘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만났을 경우 모험이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어진다.


;선택받은 자(Chosen)
;선택받은 자(Chosen)
136번째 줄: 122번째 줄:
=== 유물 ===
=== 유물 ===
;금강저
;금강저
:힘을 1 올려주는 일반 유물. 범용성 좋은 무난한 유물이라 빌드를 짜기 편하다. 등급이 낮아 드랍율이 높아 상점에서 사는 것은 손해일 때도 있다.
:힘을 1 올려주는 일반 유물. 범용성 좋은 무난한 유물이라 빌드를 짜기 편하다. 등급이 낮아 드랍율이 높아 상점에서 사는 것은 손해일 떄도 있다.
 
;[[팬터그래프]]
:보스전 돌입 시 체력 25 회복.


;석재 달력
;석재 달력
145번째 줄: 128번째 줄:


=== 이벤트 ===
=== 이벤트 ===
;운명의 돌림판
{{빈 문단}}
:룰렛을 돌려 6가지 효과 중 하나를 받는다. 효과로 피(체력 감소), X(덱에서 카드 1장 제거), 하트(체력 완전 회복), 상자(유물 보상), 보라색 불 카드(저주 부패 획득: 턴 종료시 2대미지), 골드 획득이 있다.


=== 점수 ===
=== 점수 ===
153번째 줄: 135번째 줄:
== 모드 ==
== 모드 ==
;[[나루토|우치하 사스케]](The Crimson-Eyed)
;[[나루토|우치하 사스케]](The Crimson-Eyed)
:디펙트 기반. 덱 테마로 뇌둔 구체, 염둔 구체&스사노오 등이 있다. 뇌둔 구체 양민학살형 덱을 짜면 딜이 부족해지고 스사노오 염둔 덱을 짜면 양민학살을 하기 어려우므로 덱의 밸런스를 잡아야 한다.<br />염둔 구체와 스사노오로 공방일체를 이루는 덱을 짜려면 코스트가 4 이상이 되어야 하며, 화둔 호화구의 술로 덱을 압축해야 하는 편인데, 한 번 짜면 스사노오의 절대방어로 버티다 스택이 쌓인 염둔으로 한방딜을 날리게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기본 카드로 주어지는 치도리를 소멸시키는 식으로 압축하면 2개의 구체 슬롯 중 보통 오른쪽에 머문 염둔 구체를 밀어내듯 발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br />잠영사수 독뱀 도트 대미지 덱을 구축할 순 있지만 사스케의 술법들 중 가장 약하다는 점까지 원작재현되고 말았다.
:디펙트 기반. 덱 테마로 뇌둔 구체, 염둔 구체&스사노오 등이 있다. 뇌둔 구체 양민학살형 덱을 짜면 딜이 부족해지고 스사노오 염둔 덱을 짜면 양민학살을 하기 어려우므로 덱의 밸런스를 잡아야 한다.<br>염둔 구체와 스사노오로 공방일체를 이루는 덱을 짜려면 코스트가 4 이상이 되어야 하며, 화둔 호화구의 술로 덱을 압축해야 하는 편인데, 한 번 짜면 스사노오의 절대방어로 버티다 스택이 쌓인 염둔으로 한방딜을 날리게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기본 카드로 주어지는 치도리를 소멸시키는 식으로 압축하면 2개의 구체 슬롯 중 보통 오른쪽에 머문 염둔 구체를 밀어내듯 발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The Packmaster
:69개의 테마 중 일곱 테마의 카드군으로 덱을 조합하는 모드 캐릭터. 기존 캐릭터와 다운폴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의 카드도 포함된다. 밸런스 조절을 위해 다운폴 카드군의 성능이 하향되었다.


== 평가 ==
== 평가 ==
175번째 줄: 154번째 줄:
[[분류:로그라이크]]
[[분류:로그라이크]]
[[분류:판타지 게임]]
[[분류:판타지 게임]]
[[분류:보드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