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플랫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team 2016 logo black.svg|섬네일]]
[[파일:Steam-Logo.jpg|섬네일]]
'''스팀'''(Steam)은 [[미국]]의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운영하는 [[게임]] 플랫폼 또는 온라인 게임 유통 시스템(ESD)이다. [[2015년]] 4월 기준, 약 4500개가 넘는 게임들이 있고, 활동 유저는 1억 명을 돌파하였다.
'''스팀'''(Steam)은 [[미국]]의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운영하는 [[게임]] 플랫폼 또는 온라인 게임 유통 시스템(ESD)이다. [[2015년]] 4월 기준, 약 4500개가 넘는 게임들이 있고, 활동 유저는 1억 명을 돌파하였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2015년 11월 11일, 대한민국 계정에 원화 결제가 도입되어 모든 게임의 가격이 원화로 표시되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게 [[DCC]]라서 환전 수수료를 이중으로 문다는 모양. 문화상품권을 통한 결제는 수수료를 물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저렴하게 게임을 구입할 수 있다.
2015년 11월 11일, 대한민국 계정에 원화 결제가 도입되어 모든 게임의 가격이 원화로 표시되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게 [[DCC]]라서 환전 수수료를 이중으로 문다는 모양. 문화상품권을 통한 결제는 수수료를 물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저렴하게 게임을 구입할 수 있다.
== 서드파티 리테일러 ==
스팀은 십수 년에 걸쳐 여러 가지 유통 관련 정책과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초창기의 단순 자사제품 온라인 판매처에서 PC 게임의 전자유통망 자체로 기능하게 되었다. 해당 정책들 중에는 파트너(개발자, 퍼블리셔 등)에게 자신의 게임에 대한 게임키를 생성시킬 권한을 부여해주는 것이 있는데, 이를 이용해 개발자는 제품키를 생성해서 다른 퍼블리셔나 리테일러에게 도매로 판매하는 행위가 가능하다.
재미있는 점은 스팀은 해당 키를 생성할 때 어떠한 댓가도 요구하지 않으며, 스팀 외적으로 팔린 거래에 대해 일부 예외{{*|예를 들어 생성한 키들을 스팀에 올려놓은 자기 게임 가격보다 훨씬 싼 가격으로 후려쳐서 도매가로 팔아먹고 다니면 스팀 이용자 차별 건으로 제제를 먹을 수 있는 식.}}를 제외하면 간섭도 일체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단순히 생각하면 돈 한 푼 못먹고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스팀 서비스만 제공하는 꼴이니 뭐하는 짓인가 싶지만 플랫폼 사업이라는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기존 유통사들을 적으로 돌리는 대신 약간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아서 스팀 플랫폼 파이를 키우게 만드는 큰 그림으로 해석할 수 있다.{{*|실제로도 스팀은 매년 대작이 나올 때마다 자연히 유저수가 같이 불어나는 스노우볼이 굴러가서 2020년 7월 기준으로는 최대동접 2천만을 꾸준히 찍는 사실상 준독점 유통망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18년도부터 이어진 에픽 게임즈의 공격적인 마케팅에도 굳건히 정상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기존 유통업체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테일샵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스팀의 파격적이던 자체 세일율이 조금 누그러지고 개발/유통사 자율에 맡기게 된 2015년 이후부터는 스팀과는 별도의 세일을 진행하거나 약간 싼 가격으로 상시구매가 가능하다는 강점을 내세우며 스팀 유저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리테일러를 가장하거나 아예 대놓고 유저간 거래장터를 열어버리는 소위 말하는 '그레이 마켓'이 생기는 부작용이 생겼는데, 이로 인해 범죄자들이 훔친 신용카드 등 부정하게 얻은 자금원으로 스팀 키를 잔뜩 사서 그레이 마켓에 파는 방식으로 돈세탁을 하거나, 갖은 수단{{*|대표적인 것이 리뷰어나 인플루언서를 사칭하여 메일을 보내서 리뷰키, 경품키 등을 빌미로 수십 개 정도의 키를 얻어내는 사기 이메일링이 있다.}}으로 개발자에게 키를 뜯어내 돈을 벌기 시작했다.
물론 스팀도 바보는 아니라서 적발되는 즉시 족족 키 자체를 리보크(발행 취소)해버리고, 큐레이터 제도를 런칭하는 등 대처를 하고 있지만 원천봉쇄는 힘들다보니 피해자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니 만약 수상하게 싼 가격의 제품이 보인다면 해당 업체가 제대로 된 업체인지 먼저 조사하는 것이 안전하다.
한국 기준으로 합법적으로 키 유통을 하는 곳은 [[다이렉트 게임즈]], [[플레이원스토어]], [[포게임]] 정도이며 각자 기존 피지컬 게임 유통사를 끼고 있는 것이 공통점이다.


== 원하는 게임 찾기 ==
== 원하는 게임 찾기 ==
53번째 줄: 40번째 줄:
*: [[2010년#3월|2010년 3월]] 초 Mac [[OS X]]용 스팀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스팀에 있는 모든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맥 용 버전이 있는 게임만 플레이할 수 있다.
*: [[2010년#3월|2010년 3월]] 초 Mac [[OS X]]용 스팀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스팀에 있는 모든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맥 용 버전이 있는 게임만 플레이할 수 있다.
* Linux
* Linux
*: [[리눅스]]용 스팀이 출시되기 이전에는 와인(WINE)을 이용해서 스팀을 설치해 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2년#4월|2012년 4월]], [[게이브 뉴웰]]이 [[우분투]]에서 [[레프트 4 데드 2]]를 실행하는 것을 공개했고, 이후 [[2012년]] [[7월 18일]] 밸브는 리눅스용 스팀을 출시했다. 현재 개발중인 독자적 운영체제 [[Steam OS]] 역시 리눅스 기반이라고 한다. [[Steam OS]]는 원래 데비안 기반이었다가 스팀 덱(3.0) 버전부터는 아치 리눅스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 [[리눅스]]용 스팀이 출시되기 이전에는 와인(WINE)을 이용해서 스팀을 설치해 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2년#4월|2012년 4월]], [[게이브 뉴웰]]이 [[우분투]]에서 [[레프트 4 데드 2]]를 실행하는 것을 공개했고, 이후 {{날짜/출력|2012-7-18}} 밸브는 리눅스용 스팀을 출시했다. 현재 개발중인 독자적 운영체제 SteamOS 역시 리눅스 기반이라고 한다.
* 모바일  
* 모바일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와 [[iOS]]용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모바일 버전은 게임 실행을 제외한 스팀의 기능이 대부분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2015년 10월을 전후하여 스팀 로그인에 필요한 보안코드를 전송하는 OTP 기능도 추가되었다.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와 [[iOS]]용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모바일 버전은 게임 실행을 제외한 스팀의 기능이 대부분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2015년 10월을 전후하여 스팀 로그인에 필요한 보안코드를 전송하는 OTP 기능도 추가되었다.
150번째 줄: 137번째 줄:
출시한지 얼마 되지 않아 높은 할인율을 보이는 게임들이 있다. 이런 게임들은 소위 말하는 망겜일 가능성이 크다. 팬들은 물론 신규 유저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은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은 [[2011년]]에 출시되어 4년이나 지나 모든 DLC들을 통합한 레전더리 에디션이 나온 [[2015년]]에도 60% 까지가 최고 할인율인 반면, 그보다 1년 뒤에 나왔음에도 팬들의 평가가 안좋았던 [[히트맨: 앱솔루션]]은 이미 2년 후인 [[2014년]]부터 75%의 할인율로 내려갔다.
출시한지 얼마 되지 않아 높은 할인율을 보이는 게임들이 있다. 이런 게임들은 소위 말하는 망겜일 가능성이 크다. 팬들은 물론 신규 유저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은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은 [[2011년]]에 출시되어 4년이나 지나 모든 DLC들을 통합한 레전더리 에디션이 나온 [[2015년]]에도 60% 까지가 최고 할인율인 반면, 그보다 1년 뒤에 나왔음에도 팬들의 평가가 안좋았던 [[히트맨: 앱솔루션]]은 이미 2년 후인 [[2014년]]부터 75%의 할인율로 내려갔다.


원하는 게임의 출시일 언저리에 대규모 세일이 예상될 경우 예약구매 특전을 노리는 게 아니라면 세일때까지 기다려보자 경우에 따라서는 갓 나온 따끈따끈한 신상에 20%대 언저리라도 세일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좋은 예가 레고 쥬라기 공원으로 [[2015년]] [[6월 11일]]에 출시되기 무섭게 여름세일이 시작되었고 25% 세일 딱지가 붙었다.
원하는 게임의 출시일 언저리에 대규모 세일이 예상될 경우 예약구매 특전을 노리는 게 아니라면 세일때까지 기다려보자 경우에 따라서는 갓 나온 따끈따끈한 신상에 20%대 언저리라도 세일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좋은 예가 레고 쥬라기 공원으로 {{날짜/출력|2015-6-11}}에 출시되기 무섭게 여름세일이 시작되었고 25% 세일 딱지가 붙었다.


결제가능한 카드 등록을 한번 해 놓으면 그 뒤의 추가구매는 너무나 쉬워진다. [[액티브 X]]나 각종 EXE 프로그램들로 떡칠을 해 놓은 한국과는 완전히 비교된다. 대신 그만큼 구매 자체가 쉬워지기 때문에 클릭 몇 번 만으로 바로 구매완료가 이루어져서 정작 하는 게임은 몇 없는데 하지도 않는 게임 목록이 라이브러리를 잔뜩 차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구매 전에는 한번 더 생각해 보도록 하자.
결제가능한 카드 등록을 한번 해 놓으면 그 뒤의 추가구매는 너무나 쉬워진다. [[액티브 X]]나 각종 EXE 프로그램들로 떡칠을 해 놓은 한국과는 완전히 비교된다. 대신 그만큼 구매 자체가 쉬워지기 때문에 클릭 몇 번 만으로 바로 구매완료가 이루어져서 정작 하는 게임은 몇 없는데 하지도 않는 게임 목록이 라이브러리를 잔뜩 차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구매 전에는 한번 더 생각해 보도록 하자.
159번째 줄: 146번째 줄:


== 인디 게임의 천국 ==
== 인디 게임의 천국 ==
스팀은 인디 개발자에 대한 대우가 매우 후한 편이며 [[굶지마]], [[언더테일]], [[스타듀 밸리]] 등의 인디게임이 판매량 상위권을 기록한 일도 많다. 개발자가 게임을 판매할 경우 스팀은 구글플레이처럼 세금을 제하기 전 3할을 가져가며 개발자는 7할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후 세금은 떼야한다.
스팀은 인디 개발자에 대한 대우가 매우 후한 편이며 굶지마, 언더테일, 스타듀밸리 등의 인디게임이 판매량 상위권을 기록한 일도 많다. 개발자가 게임을 판매할 경우 스팀은 구글플레이처럼 세금을 제하기 전 3할을 가져가며 개발자는 7할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후 세금은 떼야한다.


세일 기간과 세일 폭도 개발자와의 협의를 통해 진행된다. 대부분의 개발자는 여름이나 연말 등의 세일 기간에 세일하는 것에 동의한다.
세일 기간과 세일 폭도 개발자와의 협의를 통해 진행된다. 대부분의 개발자는 여름이나 연말 등의 세일 기간에 세일하는 것에 동의한다.  


=== 스팀 다이렉트 ===
=== 스팀 다이렉트 ===
175번째 줄: 162번째 줄:
스팀 다이렉트가 등장한 후로 몇천여개 였던 스팀 게임이 게임 외 소프트웨어 포함 2만여개 이상으로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 등록 방법은 그린라이트 때와 마찬가지로 간소하지만, 그게 문제를 키우는 꼴이 되었다. 전작과 큰 차이가 없는 쇼블웨어들이 늘어서 퀄리티 미달 게임들이 훨씬 많아졌다. 그 결과, 스팀 전체 게임 평균 판매량은 줄어들었다. 물론 인기 게임들과 좋은 게임들의 판매량은 이전과 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늘어났다. 100$의 심의비는 인디 게임 개발자의 부담을 덜어주지만, 쇼블웨어를 제대로 막아주진 못하고 있다.
스팀 다이렉트가 등장한 후로 몇천여개 였던 스팀 게임이 게임 외 소프트웨어 포함 2만여개 이상으로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 등록 방법은 그린라이트 때와 마찬가지로 간소하지만, 그게 문제를 키우는 꼴이 되었다. 전작과 큰 차이가 없는 쇼블웨어들이 늘어서 퀄리티 미달 게임들이 훨씬 많아졌다. 그 결과, 스팀 전체 게임 평균 판매량은 줄어들었다. 물론 인기 게임들과 좋은 게임들의 판매량은 이전과 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늘어났다. 100$의 심의비는 인디 게임 개발자의 부담을 덜어주지만, 쇼블웨어를 제대로 막아주진 못하고 있다.


오리진, Epic Games, 유플레이, GOG, Stadia, Microsoft Store 등의 다른 ESD도 존재하지만, 스팀이 대부분의 인디 게임 시장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모드 유료화나 인디 게임의 스팀 종속 등 독점에 따른 부작용이 존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오리진이나 GOG등의 다른 ESD도 존재하지만, 스팀이 대부분의 인디 게임 시장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모드 유료화나 인디 게임의 스팀 종속 등 독점에 따른 부작용이 존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사건 및 사고 ==
== 사건 및 사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