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유니버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border: 2px solid #060064"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border: 2px solid #060064"
|- style="background: #060064;"
|- style="background: #060064;"
| colspan="2" |[[파일:Steven Universe logo.svg.png]]
| colspan="2" |[[파일:Steven_Universe_logo.svg.png]]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colspan="2" | '''STEVEN UNIVERSE'''
| colspan="2" | '''STEVEN UNIVERSE'''
14번째 줄: 14번째 줄:
| [[카툰네트워크]]
| [[카툰네트워크]]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방영 시작일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방영일자
| [[2013년]] [[11월 4일]]
| [[2013년]] [[11월 4일]] ~ 현재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방영 종료일
| [[2020년]] [[3월 27일]]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방영방식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방영방식
| 시즌제<ref>시즌 1부터 시즌 5까지, 극장판, 퓨처로 마무리했다.</ref>
| 시즌제, 현재 시즌 4 방영 중
|-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장르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060064; color: #ff5f81;" | 장르
28번째 줄: 25번째 줄:
|}
|}
[[파일:스티븐 유니버스.jpg|섬네일]]
[[파일:스티븐 유니버스.jpg|섬네일]]
《'''스티븐 유니버스'''》(Steven Universe)는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자는 레베카 슈거(Rebecca Sugar)로, 카툰네트워크 첫 여성 제작자이자 [[어드벤처 타임]]의 스토리보드 작가 및 작곡가 출신이다.{{ref|[[어드벤처 타임]]에서 Fry Song을 만든 분이며 이 만화에서도 많은 노래를 작곡했다.}} [[2013년]] 시즌1이 방영된 이후 [[2018년]] 시즌5까지 방영했다. [[2019년]]에는 극장판이 개봉했고, [[2020년]]에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로 마무리를 지었다.
《'''스티븐 유니버스'''》(Steven Universe)는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하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자는 카툰네트워크 첫 여성 제작자이자 어드벤처 타임의 스토리보드 작가 및 작곡가였던 레베카 슈거(Rebecca Sugar)이다.{{ref|[[어드벤처 타임]]에서 Fry Song을 만든 분이며 이 만화에서도 많은 노래를 작곡했다.}}


== 특징 ==
== 특징 ==
인간과 젬의 혼혈인 스티븐이 크리스탈 젬스와 함께 살면서 지구를 멸망시키고 식민지로 삼으려는 외계 젬들과 지구의 위협이 되는 젬 괴물들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내용으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바로 '화합', '가족', '사랑'이다. 작화에 분홍색이나 보라색을 자주 사용하고 전체적으로 파스텔 톤의 부드러운 색감과 아름다운 배경이 호평을 받는다.{{ref|반대로 파일럿 판은 더 어둡고 펑크 분위기가 강한 색감이었다.}}
인간과 젬의 혼혈인 스티븐이 크리스탈 젬스와 함께 살면서 지구를 멸망시키고 식민지로 삼으려는 외계 젬들과 지구의 위협이 되는 젬 괴물들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내용으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바로 '화합', '가족', '사랑'이다.


실제 광물을 모티브로 한 젬이 주요 설정으로 나오는데, 여기서는 실제 광물의 구성 물질이나 생성 과정, 대표 키워드 등을 가져다가 캐릭터들의 기술이나 성격 등을 설정하고, 크리스탈 젬스의 인물 관계 역시 정서 발달 과정에서 따오는 등 설정이 장난 아니게 세세하고 디테일 있는 게 특징이다.
실제 광물을 모티브로 한 젬이 주요 설정으로 나오는데, 여기서는 실제 광물의 구성 물질이나 생성 과정, 대표 키워드 등을 가져다가 캐릭터들의 기술이나 성격 등을 설정하고, 크리스탈 젬스의 인물 관계 역시 정서 발달 과정에서 따오는 등 설정이 장난 아니게 세세하고 디테일 있는 게 특징.


스토리도 대부분 가볍고 아이들이 즐길만한 내용이고 [[어드벤처 타임]]처럼 예상치 못한 전개를 펼치기도 하지만, 스토리 전개나 주제가 좀 더 명확하다. 게다가 캐릭터 간의 갈등을 현실적이고 어른들도 이해할 수 있게 풀어나가고 있다. 또한 전쟁이나 사상 간의 충돌 같은 무거운 소재도 잘 다루는데, 그런 소재를 아이들도 알기 쉽게 풀어나간다.
스토리도 대부분 가볍고 아이들이 즐길만한 내용이고 [[어드벤처 타임]]처럼 예상치 못한 전개를 펼치기도 하지만, 스토리 전개나 주제가 좀 더 명확하다. 게다가 캐릭터 간의 갈등을 현실적이고 어른들도 이해할 수 있게 풀어나가고 있다. 또한 전쟁이나 사상 간의 충돌 같은 무거운 소재도 잘 다루는데, 그런 소재를 아이들도 알기 쉽게 풀어나간다.


특히 퓨처에서 두드러지는데, 인물 구성이나 설정 등이 트라우마나 무의식, 심리학과 연관이 깊다. 실제로 다이아몬드의 위계 관계는 [[프로이트]]의 이드, 자아, 초자아 이론에서 따왔다고 하며,<ref>핑크가 이드, 옐로와 블루가 자아(Ego), 화이트가 초자아에서 따왔다고 한다. 실제로 우주선 역시 핑크는 하반신, 옐로와 블루는 양팔, 화이트가 머리를 비롯한 상반신의 형태를 띠고 있다.</ref> 에피소드 "A Single Pale Rose"에서도 펄의 젬 속에 있는 또다른 나를 통해 무의식에 가둬둔 트라우마를 묘사하기도 했다. 퓨처에서는 본격적으로 스티븐이 그동안 겪어온 트라우마를 시즌 내내 다루고 있다. 이렇듯 레베카 슈거나 크루니버스가 정신이나 심리학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고, 이게 세계관이나 스토리, 설정에서 적용되고 있다.
작화에 분홍색이나 보라색을 자주 사용하고 전체적으로 파스텔 톤의 부드러운 색감과 아름다운 배경이 호평을 받는다.{{ref|반대로 파일럿 판은 더 어둡고 펑크 분위기가 강한 색감이었다.}}


== 방영 ==
== 방영 ==
시리즈가 시즌 1부터 5까지 있으며, 극장판, 퓨처까지가 전체 시리즈이다. 극장판은 시즌 5 결말로부터 2년 뒤를 배경으로 하며,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는 극장판 이후 시점을 다룬 에필로그 시즌이다. 그 외에도 파일럿, 단편 에피소드들이 있다.
2013년 7월 27일 파일럿이 공개되었으며, 11월 4일부터 시즌 1이 본격적으로 방영되기 시작했다. 시즌 1이 52화로 종영되자 2015년 3월 13일부터 시즌 2, 2016년 5월 12일부터 시즌 3{{ref|단, 시즌 3은 25화이다.}}이 26화로 방영되었다. 이후 8월 11일부터 시즌 4가 방영되고 있고 시즌 5도 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시즌제로 나누고 있긴 하지만 보통 한 시즌이 끝나자마자 다음 시즌이 시작해서 사실상 쉼 없이 방영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시즌제로 방영을 하긴 하나, 가면 갈수록 방영 시기가 불규칙적으로 바뀌면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다음 에피소드가 나온다는 떡밥도 없이 몇 개월 동안 공백기를 갖기도 하고, 매주 방영을 보장하는 프로그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텀이 너무 길다보니까 스토리를 보면서 맥이 끊긴다는 말도 많았다.
초반에는 인기가 어드벤처 타임에 밀리고 있었지만 앞서 말한 장점이나 호평으로 인해 인기가 점차 상승했다. 특히 레베카 슈거가 나가고 나서 어드벤처 타임이 점점 매너리즘에 빠지기 시작해서 더 그랬다.


초반에는 비슷한 스타일과 스토리인 [[어드벤처 타임]]과 비교를 많이 당했으나, 앞서 말한 장점들로 인해 인지도가 급격히 상승했다. 또한 젬과 퓨전이라는 설정으로 인해 2차 창작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팬들이 독자적인 세계관과 스토리를 구축한 AU<ref>Alternate Universe의 약자.</ref>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스티븐 유니버스의 히트로 인해 본작과 비슷한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며,<ref>[[그래비티 폴즈]], [[검볼]], [[숨겨진 숲의 비밀]] 등이 있다.</ref> 커뮤니티 등지에서 [[칼아츠 스타일]]의 시초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내에서도 카툰 네트워크를 통해 2014년 2월 14일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연출은 [[레귤러 쇼]]를 맡은 바가 있는 장석붕 PD. 그럭저럭 괜찮았던 [[레귤러 쇼]]와는 달리 좋은 성우진을 미스캐스팅하고 날번역이 난무해서 평가가 안 좋다. 여기서도 삽입곡을 번역했는데 삽입곡도 날번역.(...)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직역을 고수해서 노래가 매우 부자연스러워졌다.{{ㅊ|사랑! 어! 어! 어!}} 아무래도 원판보다 더빙의 인기가 떨어진 탓인지 조금 묻혔다가 인터넷을 통해 스티븐 유니버스의 인기가 상승하면서 다시 방영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카툰 네트워크]]를 통해 2014년 2월 14일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연출은 [[레귤러 쇼]]를 맡은 바가 있는 장석붕 PD. 번역이나 더빙이나 호평이 많았던 [[레귤러 쇼]]와는 달리 좋은 성우진을 미스캐스팅하고 날번역이 난무해서 평가가 안 좋다. [[레귤러 쇼]]와 번역가가 같은데도 말이다. 여기서도 삽입곡을 번역했는데 삽입곡도 날번역.(...)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직역을 고수해서 노래가 매우 부자연스러워졌다.{{ㅊ|사랑! 어! 어! 어!}} 아무래도 원판보다 더빙의 인기가 떨어진 탓인지 조금 묻혔다가 인터넷을 통해 스티븐 유니버스의 인기가 상승하면서 다시 방영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왓챠, 넷플릭스 등지에서 더빙판을 VOD 서비스하고 있다.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57번째 줄: 52번째 줄:
* 페리도트 (Peridot)
* 페리도트 (Peridot)
* 비스무트 (Bismuth): 크리스탈 젬 원년 멤버. 본인의 신념과 가치관에 대해 로즈 쿼츠와 분쟁이 일어났고, 결국 오랜 세월동안 방울 안에 봉인된 채로 있었다.
* 비스무트 (Bismuth): 크리스탈 젬 원년 멤버. 본인의 신념과 가치관에 대해 로즈 쿼츠와 분쟁이 일어났고, 결국 오랜 세월동안 방울 안에 봉인된 채로 있었다.
* 라이언 (Lion): 로즈 쿼츠가 키우던 사자로 핑크빛을 띠고 있다. 갈기 안에 또다른 차원이 있어 이걸 이용해서 공간 이동을 할 수 있다. 고양이과라서인지 박스 안에 들어가는 걸 좋아하며, 라이언 리커즈(Lion Lickers)라는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 스티븐의 반려동물이자 친구.
* 라이언 (Lion): 로즈 쿼츠가 키우던 사자로 핑크빛을 띠고 있다. 갈기 안에 또다른 차원이 있어 이걸 이용해서 공간 이동을 할 수 있다. 고양이과라서인지 박스 안에 들어가는 걸 좋아하며, 라이언 리커즈(Lion Lickers)라는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 스티븐의 반려동물이자 친구.


=== 인간 ===
=== 인간 ===
* 그렉 유니버스 (Greg Universe): 스티븐의 아빠. 현재는 세차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가수로도 활동했었다.
* 그렉 유니버스 (Greg Universe): 스티븐의 아빠. 현재는 세차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가수로도 활동했었다.
* 코니 마헤스와란 (Connie Maheswaran): 스티븐과 가장 가까운 친구.
* 코니 마헤스와란 (Connie Maheswaran): 스티븐과 가장 가까운 친구.  


=== 젬 ===
=== 젬 ===
77번째 줄: 73번째 줄:


== 설정 ==
== 설정 ==
{{참고|스티븐 유니버스/설정}}
{{참조|스티븐 유니버스/설정}}


== 게임 ==
== 게임 ==
인기에 힘입어 게임으로도 나왔다. 안드로이드, iOS용 RPG 게임 "Attack the Light"로, 스티븐 유니버스 제작진들이 실제로 참여했다고 한다. 스토리는 고대의 프리즘 젬에서 풀려나 세계로 흩어져버린 빛들(Lights)을 하나하나 잡아다 다시 젬에다 가두는 내용이다. 게임은 포켓몬같은 JRPG 방식. 본편에 나왔던 치즈버거 백팩같은 아이템들을 하나하나 스킬로 집어넣었고, 캐릭터의 스킬도 잘 구현해냈다. 난이도도 어렵지 않아 금방 깰 수 있지만 리플레이 가치는 없는 게 흠이다. 하지만 높은 완성도, 저렴한 가격때문에 호평을 받고 있다.
인기에 힘입어 게임으로도 나왔다. 안드로이드, iOS용 RPG 게임 "Attack the Light"로, 스티븐 유니버스 제작진들이 실제로 참여했다고 한다. 스토리는 고대의 프리즘 젬에서 풀려나 세계로 흩어져버린 빛들(Lights)을 하나하나 잡아다 다시 젬에다 가두는 내용이다. 게임은 포켓몬같은 JRPG 방식. 본편에 나왔던 치즈버거 백팩같은 아이템들을 하나하나 스킬로 집어넣었고, 캐릭터의 스킬도 잘 구현해냈다. 난이도도 어렵지 않아 금방 깰 수 있지만 리플레이 가치는 없는 게 흠이다. 하지만 높은 완성도, 저렴한 가격때문에 호평을 받고 있다.  


2016년 7월 21일에는 무료 리듬 게임이 나왔다. 제목은 "Soundtrack Attack". 줄거리는 홈월드에서 탈출한 젬이 지구로 내려와 같이 살려고 하는데 홈월드 젬스가 쫓아오는 바람에 크리스탈 젬스가 그에 맞서서 음악의 힘으로 싸워간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쿼츠, 펄, 루비 중 하나를 정해서 젬을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고 그에 대해 활용을 많이 하는 것이다. 게임 자체는 리듬에 맞춰 터치를 하면 캐릭터가 점프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게임. 확실히 게임에 나오는 음악은 비트감이 있지만, 이런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더군다나 용량을 많이 잡아먹는 편이기도 해서 사양이 떨어지는 휴대폰으로 플레이하면 렉이 걸리거나 아예 꺼져버리는 수도 있는 게 단점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퀄리티는 괜찮은 편이다.
2016년 7월 21일에는 무료 리듬 게임이 나왔다. 제목은 "Soundtrack Attack". 줄거리는 홈월드에서 탈출한 젬이 지구로 내려와 같이 살려고 하는데 홈월드 젬스가 쫓아오는 바람에 크리스탈 젬스가 그에 맞서서 음악의 힘으로 싸워간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쿼츠, 펄, 루비 중 하나를 정해서 젬을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고 그에 대해 활용을 많이 하는 것이다. 게임 자체는 리듬에 맞춰 터치를 하면 캐릭터가 점프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게임. 확실히 게임에 나오는 음악은 비트감이 있지만, 이런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더군다나 용량을 많이 잡아먹는 편이기도 해서 사양이 떨어지는 휴대폰으로 플레이하면 렉이 걸리거나 아예 꺼져버리는 수도 있는 게 단점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퀄리티는 괜찮은 편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