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루가츠키 형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trugatsky.jpg|thumb|아르까지의 모스크바 아파트에서. 뒤에서 팔짱끼는 안경잡이가 보리스다]]
[[파일:Strugatsky.jpg|thumb|아르까지의 모스크바 아파트에서. 뒤에서 팔짱끼는 안경잡이가 보리스다]]


'''스트루가츠키 형제'''({{러시아어=|Братья Стругацкие}})는 [[소비에트 연방]]/[[러시아]]의 [[사이언스 픽션|SF]] 소설가이다. 장르 소설을 써냈지만, 노어노문학과에서 중요시 여기는 형제들이다.
'''스트루가츠키 형제'''({{llang|ru|Братья Стругацкие}})는 [[소비에트 연방]]/[[러시아]]의 두 형제는 [[사이언스 픽션|SF]] 소설가였다.


* '''아르까지 나타노비치 스뚜르가츠끼'''({{러시아어=|Арка́дий Ната́нович Струга́цкий}}, Arkady Natanovich Strugatsky, 1925년 8월 28일 [[조지아 (나라)|조지아]] [[바투미]]~1991년 10월 12일 [[모스크바]])
* '''아르까지 나타노비치 스뚜르가츠끼'''({{llang|ru|Арка́дий Ната́нович Струга́цкий}}, Arkady Natanovich Strugatsky, 1925년 8월 28일 [[조지아 (나라)|조지아]] [[바투미]]~1991년 10월 12일 [[모스크바]])
* '''보리스 나타노비치 스뚜르가츠끼'''({{러시아어=|Бори́с Ната́нович Струга́цкий}}, Boris Natanovich Strugatsky, 1933년 4월 14일 [[레닌그라드]]~2012년 11월 19일 [[상트페테르부르크]])
* '''보리스 나타노비치 스뚜르가츠끼'''({{llang|ru|Бори́с Ната́нович Струга́цкий}}, Boris Natanovich Strugatsky, 1933년 4월 14일 [[레닌그라드]]~2012년 11월 19일 [[상트페테르부르크]])


1958년 당시 형인 아르까지는 에디터와 기자를 하고 있었고, 동생인 보리스는 레닌그라드 대학을 나와 근처의 풀코보 천문대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 겸 천체물리학자로 일했다.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성인 스뚜르가츠키는 [[유대인|유태계]] 성씨다.
1958년 당시 형인 아르까지는 에디터와 기자를 하고 있었고, 동생인 보리스는 레닌그라드 대학을 나와 근처의 풀코보 천문대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 겸 천체물리학자로 일했다.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성인 스뚜르가츠키는 [[유대인|유태계]] 성씨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들 형제는 1920~1930년대 발달했다 사라진 러시아 안티 유토피아 문학, 즉 [[디스토피아]] 문학의 맥을 다시 이었다. 또한 '이데올로기'<ref>당시 소련은 과학적 사회주의, 즉 [[공산주의]]를 프로파간다 하기 위해 과학 소설을 후원했었다.</ref>의 프로파간다였던 '환상'을 문학의 위치에 끌여내렸다.''' 처음엔 [[스타니슬라프 렘]]과 더불어 《안드로메다 성운》을 쓴 이반 예프레모프의 영향을 받았지만 곧 자신들만의 스타일을 찾게 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들 형제는 1920~1930년대 발달했다 사라진 러시아 안티 유토피아 문학, 즉 [[디스토피아]] 문학의 맥을 다시 이었다. 또한 '이데올로기'<ref>당시 소련은 과학적 사회주의, 즉 [[공산주의]]를 프로파간다 하기 위해 과학 소설을 후원했었다.</ref>의 프로파간다였던 '환상'을 문학의 위치에 끌여내렸다.''' 처음엔 [[스타니슬라프 렘]]과 더불어 《안드로메다 성운》을 쓴 이반 예프레모프의 영향을 받았지만 곧 자신들만의 스타일을 찾게 된다.


이들이 속한 시기는 러시아 문학사에서 보면 소비에트 합리주의 시절인데, 이들은 이 합리주의 시절에 사회비판도 좀 넣어주는 그런 SF 소설을 짓기 시작한다. 즉, [[유토피아]]를 주장하는 소련체제에 대항하여 안티유토피아를 주장하게 되었다. 정확하겐, 이전부터 갈구는 소설을 짓다 [[프라하의 봄]]을 기점으로 인간의 섬(Обитаемый остров)부터 제대로 날 세웠다.
이들이 속한 시기는 러시아 문학사에서 보면 소비에트 합리주의 시절인데, 이들은 이 합리주의 시절에 사회비판도 좀 넣어주는 그런 SF 소설을 짓기 시작한다. 즉, [[유토피아]]를 주장하는 소련체제에 대항하여 안티유토피아를 주장하게 되었다.


이 형제가 지은 소설중에는 여러 작품에 차용된 [[클리셰]]를 만든 소설이 있는데, 바로 《[[노변의 피크닉]]》(Roadside Picnic, Пикник на обочине)이 있다. 이 《노변의 피크닉》은 여러 매체에 인용되었고 [[오마주]]되었는데, 일단 메트로 유니버스의 기반 설정, 그리고 [[스토커 시리즈]]와 더불어 영화화<ref>안드레이 타르콥스키가 영화화했으며, 《''Stalker''》라는 제목으로 나왔지만, 한국에서는 그 말대로 적긴 뭐하니 《잠입자》라는 제목으로 DVD가 나왔다.</ref>로 나왔다. 간단하게 '구역'(Zone) 안에는 이상한 현상들이 존재하고 있고, 누군가는 계속 들어간다는 클리셰를 이 형제가 거진 처음 작성한 것<ref>물론 《노변의 피크닉》의 '구역'은 외계인들이 만들고 간다지만...</ref>이다. 그것 말고도 《''Noon Universe''》(정오 세계관)이라는 연작 시리즈도 있다. 《노변의 피크닉》의 경우 소설이 나오기도 전에 [[한국어]]로 된 분석 논문이 나올 정도로<ref>이희원. (2017). SF와 이솝의 언어,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소설 『노변의 피크닉』. 외국문학연구, (68), 91–111.</ref> 유명하다.
이 형제가 지은 소설중에는 여러 작품에 차용된 [[클리셰]]를 만든 소설이 있는데, 바로 《[[노변의 피크닉]]》(Roadside Picnic, Пикник на обочине)이 있다. 이 《노변의 피크닉》은 여러 매체에 인용되었고 [[오마주]]되었는데, 일단 메트로 유니버스의 기반 설정, 그리고 [[스토커 시리즈]]와 더불어 영화화<ref>안드레이 타르콥스키가 영화화했으며, 《''Stalker''》라는 제목으로 나왔지만, 한국에서는 그 말대로 적긴 뭐하니 《잠입자》라는 제목으로 DVD가 나왔다.</ref>로 나왔다. 간단하게 '구역'(Zone) 안에는 이상한 현상들이 존재하고 있고, 누군가는 계속 들어간다는 클리셰를 이 형제가 거진 처음 작성한 것<ref>물론 《노변의 피크닉》의 '구역'은 외계인들이 만들고 간다지만...</ref>이다. 그것 말고도 《''Noon Universe''》(정오 세계관)이라는 연작 시리즈도 있다. 《노변의 피크닉》의 경우 소설이 나오기도 전에 [[한국어]]로 된 분석 논문이 나올 정도로<ref>이희원. (2017). SF와 이솝의 언어,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소설 『노변의 피크닉』. 외국문학연구, (68), 91–111.</ref> 유명하다.
32번째 줄: 32번째 줄:


그리고 형제가 사망하고 얼마 뒤,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이 형제가 오랜 기간 동안 살았으며 작품을 만드는데 기여했다는 이유로 이 형제를 기리는 광장을 만드는데 동의했고, 형제를 기리는 공원이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시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형제가 사망하고 얼마 뒤,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이 형제가 오랜 기간 동안 살았으며 작품을 만드는데 기여했다는 이유로 이 형제를 기리는 광장을 만드는데 동의했고, 형제를 기리는 공원이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시에 자리하고 있다.
== 대표작 ==
* 진홍빛 구름의 땅 ('''Страна багровых туч''', 1959)
* 아말테아로 향하는 길 ('''Путь на Амальтею''', 1960)
* 트로이카 이야기 ('''Сказка о Тройке''', 1968)
* [[죽은 등산가의 호텔]] ('''У Погибшего Альпиниста''', 1970)<ref>이 제목 또한 검열받은 제목. 원제는 '살인 사건, 추리 장르에 바치는 또 하나의 임종 기도'(''Дело об убийстве, или отель „У Погибшего Альпиниста“ (ещё одна отходная детективному жанру)'') 였다. 그때 돈 문제가 있어서 그러려니 했다.</ref>
* [[노변의 피크닉]] ('''Пикник на обочине''', 1972) - 평론가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이 형제의 책을 한권만 뽑아야 한다면? 에서 이 책을 꼽았다
* 세상이 끝날때까지 아직 10억년 ('''За миллиард лет до конца света''', 1977) - 열린책들에서 1988년 종말전 10억년이란 제목으로 형제를 한국에 소개했다. 그후 세계문학전집에서 지금 제목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출판된 책들 ===
다음 목록의 순서는 정발본 순서로 정렬했다.
* 세상이 끝날때까지 아직 10억년 (''За миллиард лет до конца света'', 1977) - 열린책들, 1988년
* [[노변의 피크닉]] (''Пикник на обочине'', 1972) - 현대문학, 2017년
* 신이 되기는 어렵다 (''Трудно быть богом'', 1964) - 현대문학, 2020년
* [[죽은 등산가의 호텔]] (''У Погибшего Альпиниста'', 1970) - 현대문학, 2021년
* 월요일은 토요일에 시작된다 (Понедельник начинается в субботу) - 현대문학, 2022년
* 저주받은 도시 (Град обреченный) - 현대문학, 2022년


{{각주}}
{{각주}}
[[분류:러시아의 소설가]]
[[분류:러시아의 소설가]]
[[분류:SF 소설가]]
[[분류:SF 소설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