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015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4번째 줄: 104번째 줄:
=== 도전과제 및 수집품 ===
=== 도전과제 및 수집품 ===
싱글 미션, 코옵 미션, 멀티플레이 모드 등 다양한 [[도전과제]]와 수집 요소들이 존재한다. 도전과제를 통해 추가적인 크레딧과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고,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계정을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수집품들이 제공된다.
싱글 미션, 코옵 미션, 멀티플레이 모드 등 다양한 [[도전과제]]와 수집 요소들이 존재한다. 도전과제를 통해 추가적인 크레딧과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고,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계정을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수집품들이 제공된다.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015년)/챌린지]]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015년)/챌린지]]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015년)/도전과제]]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015년)/도전과제]]
111번째 줄: 112번째 줄:
=== 등장 행성 ===
=== 등장 행성 ===
본편 기준으로 4개의 행성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본편 기준으로 4개의 행성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 [[타투인]]
* [[타투인]]
: [[아나킨 스카이워커]]의 고향이자 [[루크 스카이워커]]가 성장한 [[스타워즈]] 세계관의 핵심 지역이다. [[사막]] 및 [[황무지]] 지형이 주를 이루며 토착종족인 [[터스켄 약탈자]]<ref>오픈 베타의 서바이벌 미션에서는 터스켄 약탈자와 관련된 [https://www.youtube.com/watch?v=J_CYzzSj_O0 이스터 에그]도 존재했다.</ref>나 [[자와]]족의 독특한 주거지인 [[샌드 크롤러]] 등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또한 [[보바 펫]]을 집어삼켰던 식인 괴물인 [[살락]]이 배경으로 등장하는 등 영화 속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지역.
: [[아나킨 스카이워커]]의 고향이자 [[루크 스카이워커]]가 성장한 [[스타워즈]] 세계관의 핵심 지역이다. [[사막]] 및 [[황무지]] 지형이 주를 이루며 토착종족인 [[터스켄 약탈자]]<ref>오픈 베타의 서바이벌 미션에서는 터스켄 약탈자와 관련된 [https://www.youtube.com/watch?v=J_CYzzSj_O0 이스터 에그]도 존재했다.</ref>나 [[자와]]족의 독특한 주거지인 [[샌드 크롤러]] 등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또한 [[보바 펫]]을 집어삼켰던 식인 괴물인 [[살락]]이 배경으로 등장하는 등 영화 속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지역.
* [[설러스트]]
* [[설러스트]]
: 은하제국의 비밀 기지가 존재하는 용암지대 행성이다. 이 행성의 토착종족인 [[설러스탄]]은 저항연합측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언락으로 등장한다. 독특한 외모의 설러스탄 대표 캐릭터는 [[제다이의 귀환]]에서 [[랜도 칼리시안]]과 함께 [[밀레니엄 팰콘]]을 몰았던 파일럿인 [[니엔 넌브]]가 대표적이다.
: 은하제국의 비밀 기지가 존재하는 용암지대 행성이다. 이 행성의 토착종족인 [[설러스탄]]은 저항연합측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언락으로 등장한다. 독특한 외모의 설러스탄 대표 캐릭터는 [[제다이의 귀환]]에서 [[랜도 칼리시안]]과 함께 [[밀레니엄 팰콘]]을 몰았던 파일럿인 [[니엔 넌브]]가 대표적이다.
* [[호스 (스타워즈)|호스]]
* [[호스 (스타워즈)|호스]]
: [[제국의 역습]] 초반 무대였던 혹한의 얼음행성이다. 오픈 베타에서는 제국의 [[AT-AT]]에 맞서 방어막 발생기를 방어하는 워커 어썰트 모드가 구현되었다. 저항연합이 제국의 추적을 피해 호스 행성에 건설한 비밀기지인 [[에코 기지]]가 주요한 배경이다. 이 행성에 사는 [[설인]], [[왐파]]가 등장하는 지의 여부는 불명.
: [[제국의 역습]] 초반 무대였던 혹한의 얼음행성이다. 오픈 베타에서는 제국의 [[AT-AT]]에 맞서 방어막 발생기를 방어하는 워커 어썰트 모드가 구현되었다. 저항연합이 제국의 추적을 피해 호스 행성에 건설한 비밀기지인 [[에코 기지]]가 주요한 배경이다. 이 행성에 사는 [[설인]], [[왐파]]가 등장하는 지의 여부는 불명.
* [[엔도]]
* [[엔도]]
: [[제다이의 귀환]]에 등장한 행성이다. 수목이 울창한 배경으로 이 지역 토착종족인 [[이워크]]의 마을이 등장하며, [[데스스타]]의 방어막 기지도 등장한다. 하늘을 보면 데스스타의 웅장한 실루엣이 비쳐진다.
: [[제다이의 귀환]]에 등장한 행성이다. 수목이 울창한 배경으로 이 지역 토착종족인 [[이워크]]의 마을이 등장하며, [[데스스타]]의 방어막 기지도 등장한다. 하늘을 보면 데스스타의 웅장한 실루엣이 비쳐진다.
143번째 줄: 148번째 줄:
== 평가 ==
== 평가 ==
* 정식 발매 이전 웹진 《''Videogamer''》에서 [[Xbox One]] 버전으로 [http://www.videogamer.com/reviews/nextgen_battlefront_review.html 첫 리뷰]를 했다. 종합적인 평점은 70점으로 스타워즈 네임밸류를 생각하면 상당히 낮은 점수이다. 미려한 그래픽이나 특이한 게임 모드 등은 호평을 받았으나, 전체적인 게임 볼륨이 큰 단점으로 지적받은 것이다. 이 리뷰가 나온 후, [[루리웹]] 게시판에서는 싱글 캠페인, 우주전의 부재를 거론하는 측과 스타워즈 팬덤의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 정식 발매 이전 웹진 《''Videogamer''》에서 [[Xbox One]] 버전으로 [http://www.videogamer.com/reviews/nextgen_battlefront_review.html 첫 리뷰]를 했다. 종합적인 평점은 70점으로 스타워즈 네임밸류를 생각하면 상당히 낮은 점수이다. 미려한 그래픽이나 특이한 게임 모드 등은 호평을 받았으나, 전체적인 게임 볼륨이 큰 단점으로 지적받은 것이다. 이 리뷰가 나온 후, [[루리웹]] 게시판에서는 싱글 캠페인, 우주전의 부재를 거론하는 측과 스타워즈 팬덤의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 게임이 발매되고 [[엠바고]]가 풀리면서 리뷰어들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메타크리틱]] 점수 기준 평균 70점 언저리를 기록하면서 '''스타워즈 네임밸류를 생각하면 다소 부족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전문 리뷰어들과 유저 평점이 비슷한 것으로 증명이 된다. 장점은 스타워즈 분위기를 제대로 구현했고, 미려한 그래픽, 사운드 효과 등을 거론하는 반면, 단점으로는 싱글 캠페인의 부재, 쉽사리 질리는 멀티플레이 모드, 전반적인 컨텐츠 부족이 발목을 잡는 모양새.
* 게임이 발매되고 [[엠바고]]가 풀리면서 리뷰어들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메타크리틱]] 점수 기준 평균 70점 언저리를 기록하면서 '''스타워즈 네임밸류를 생각하면 다소 부족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전문 리뷰어들과 유저 평점이 비슷한 것으로 증명이 된다. 장점은 스타워즈 분위기를 제대로 구현했고, 미려한 그래픽, 사운드 효과 등을 거론하는 반면, 단점으로는 싱글 캠페인의 부재, 쉽사리 질리는 멀티플레이 모드, 전반적인 컨텐츠 부족이 발목을 잡는 모양새.


== 여담 ==
== 여담 ==
* 배틀필드 제작사 답지 않게 [[배틀로그]]를 미지원한다. 멀티플레이는 서버 브라우저 없이 게임 내 매치 매이킹으로 이뤄진다.
* 배틀필드 제작사 답지 않게 [[배틀로그]]를 미지원한다. 멀티플레이는 서버 브라우저 없이 게임 내 매치 매이킹으로 이뤄진다.
* 일부 유저들은 [[배틀필드 시리즈]]에 스타워즈 스킨만 씌운 아류작이 아니냐며 평가절하하는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지만 오픈베타 및 공개된 게임 플레이 영상을 보면 배틀프론트만의 독자적인 색깔을 잘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엔진이 [[프로스트바이트]]로 동일한 것을 제외하면 배틀필드 시리즈와의 연관성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 일부 유저들은 [[배틀필드 시리즈]]에 스타워즈 스킨만 씌운 아류작이 아니냐며 평가절하하는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지만 오픈베타 및 공개된 게임 플레이 영상을 보면 배틀프론트만의 독자적인 색깔을 잘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엔진이 [[프로스트바이트]]로 동일한 것을 제외하면 배틀필드 시리즈와의 연관성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 다운로드 용량은 [[PS4]] 버전이 약 23GB, [[XBOX ONE]] 버전이 약 19GB, [[Windows]] 버전은 27GB로 [http://attackofthefanboy.com/news/star-wars-battlefront-file-size-officially-revealed-for-ps4-xbox-one-and-pc/ 발표]되었다.
* 다운로드 용량은 [[PS4]] 버전이 약 23GB, [[XBOX ONE]] 버전이 약 19GB, [[Windows]] 버전은 27GB로 [http://attackofthefanboy.com/news/star-wars-battlefront-file-size-officially-revealed-for-ps4-xbox-one-and-pc/ 발표]되었다.
* XBOX ONE에서 EA 얼리엑세스를 구매한 유저들은 [[11월 12일]] 오후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가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19/read?articleId=1902951&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32&sortKey=depth&searchValue=%EB%B0%B0%ED%8B%80%ED%94%84%EB%A1%A0%ED%8A%B8&pageIndex=1 해제]되었다. 얼리엑세스는 게임 정발까지 10시간 한도로 게임 진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 XBOX ONE에서 EA 얼리엑세스를 구매한 유저들은 [[11월 12일]] 오후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가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19/read?articleId=1902951&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32&sortKey=depth&searchValue=%EB%B0%B0%ED%8B%80%ED%94%84%EB%A1%A0%ED%8A%B8&pageIndex=1 해제]되었다. 얼리엑세스는 게임 정발까지 10시간 한도로 게임 진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 배틀프론트 PS4 한정판이 공개되었다. 아래는 한정판 개봉영상.
* 배틀프론트 PS4 한정판이 공개되었다. 아래는 한정판 개봉영상.
{{youtube|RhpQxkcpKJI}}
{{youtube|RhpQxkcpKJI}}


독특한 색상의 게임패드와 [[다스 베이더]]가 프린팅된 PS4 본체가 핵심이다. 하지만 일부 팬들은 스타워즈 한정판 치고 디자인이나 색감이 영 별로라는 의견도 제법 보인다.
독특한 색상의 게임패드와 [[다스 베이더]]가 프린팅된 PS4 본체가 핵심이다. 하지만 일부 팬들은 스타워즈 한정판 치고 디자인이나 색감이 영 별로라는 의견도 제법 보인다.
* [[PS4]] 버전의 경우 제작사에서 언급한 것 처럼 거의 모든 상황에서 60 FPS가 유지되는 최적화를 자랑한다. 다만 해상도가 1080P가 아닌 낮은 해상도를 선택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확보한 것으로 여겨진다.
* [[PS4]] 버전의 경우 제작사에서 언급한 것 처럼 거의 모든 상황에서 60 FPS가 유지되는 최적화를 자랑한다. 다만 해상도가 1080P가 아닌 낮은 해상도를 선택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확보한 것으로 여겨진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