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기 정보
{{무기 정보
|이름     =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 이름=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원어이름 =
| 그림= [[File:300px-Ray_Flying_Legends_2005-1.jpg|400px]]
|그림     = [[파일:Ray Flying Legends 2005-1.jpg|400px]]
| 설명=
|그림설명 =  
| 국가= {{국기|영국}}
|종류     = 전투기
| 종류= 전투기
|제조    = 슈퍼마린
<!-- 종류 -->
|설계    = 슈퍼마린
| 비행기= yes
|운영    = {{나라|영국}}
<!-- 역사 -->
|첫비행  =  
| 개발= 슈퍼마린
|생산연도 =  
| 개발년도= 1936년
|사용연도 =  
| 생산= 슈퍼마린
|생산량  =  
| 생산년도=  
|정원    = 1명
| 가격=  
|엔진    = 롤스로이스 멀린
| 생산개수=  
|출력    =  
| 사용년도=  
|속도    = 고도 6km 기준으로 시속 590km(Mk la)/596km(Mk Vb)/656km(Mk IVX)/727km(Mk XIVe)
| 실전= [[#실전|하단 참조]]
|무장     = Mk.la: 30구경 브라우닝 기관총 4정
<!-- 일반 제원 -->
Mk Vb. Mk IVX: HS404 20mm 기관포 2정, 30구경 브라우닝 기관총2정,
| 제원_파생형=  
Mk XIVe: HS404 20mm기관포2정,  M2 중기관총1정<br />Mk Vb, Mk IVS: 250파운드 폭탄 2발, 500파운드 폭탄 1발
| 중량= Mk la:1935kg,Mk Vb: 2251kg,Mk IVX: 2309kg, Mk XIVe: Mk3034kg
|길이    = 9.12m,9.47m,9.96m (Mk la, Mk Vb, Mk IVX, Mk XIVe )
| 길이= 9.12m,9.47m,9.96m (Mk la, Mk Vb, Mk IVX, Mk XIVe )
|폭      = 11.23m(Mk la, MkVb, Mk XIVe,), 9.9m(Mk IVX HS)
| 폭= 11.23m(Mk la, MkVb, Mk XIVe,), 9.9m(Mk IVX HS)
|높이    =  
| 높이=
|비고    =  
| 승무원= 1명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Mk.la: 30구경 브라우닝 기관총 4정
Mk Vb. Mk IVX: HS404 20mm 기관포 2정, 30구경 브라우닝 기관총2정,  
Mk XIVe: HS404 20mm기관포2정,  M2 중기관총1정
| 부무장= Mk Vb, Mk IVS: 250파운드 폭탄 2발, 500파운드 폭탄 1발
| 엔진=롤스로이스 멀린
| 엔진출력=
| 출력비=
| 작전반경=680~760km
| 최고속도=고도 6km 기준으로 시속 590km(Mk la)/596km(Mk Vb)/656km(Mk IVX)/727km(Mk XIVe)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
'''슈퍼마린 스핏파이어'''(Supermarine Spitfire)는 [[영국]]의 단엽 프롭 [[전투기]]다.
'''슈퍼마린 스핏파이어'''(Supermarine Spitfire)는 [[영국]]의 단엽 프롭 [[전투기]]다. 이름인 스핏파이어는 영어로 불똥이란 뜻이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 운용된 전투기인 스핏파이어는 [[나치 독일]]의 [[루프트바페]]에 맞서 불리했던 전쟁 초반기 영국과 유럽을 구한 전투기로 알려져 있으며 전쟁 기간동안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그만큼 영국인들에게 있어 각별한 의미가 있는 전투기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 운용된 전투기인 스핏파이어는 [[나치 독일]]의 [[루프트바페]]에 맞서 불리했던 전쟁 초반기 영국과 유럽을 구한 전투기로 알려져 있으며 전쟁 기간동안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그만큼 영국인들에게 있어 각별한 의미가 있는 전투기다.
31번째 줄: 55번째 줄: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는 1930년대 중반 영국 공군의 차기 단엽 금속제 전투기 도입 사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시대가 금속제 단엽 전투기의 개발이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에서 개발되기 시작되었고 영국은 당시 보유하고 있던 비금속제 복엽기와는 세대 자체가 다른 이들 전투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의 필요성에 차기 전투기 도입을 추진한다.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는 1930년대 중반 영국 공군의 차기 단엽 금속제 전투기 도입 사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시대가 금속제 단엽 전투기의 개발이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에서 개발되기 시작되었고 영국은 당시 보유하고 있던 비금속제 복엽기와는 세대 자체가 다른 이들 전투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의 필요성에 차기 전투기 도입을 추진한다.


이 계획으로 영국의 요구 사항 E7 /30의 속도 시속 400킬로미터 이상에 4정의 기관총을 장착한 전금속 주야간 능력 확보 등의 사항을 확인한 슈퍼마린사의 [[레지날드 미첼]]은 이전 슈니이더 트로피 항공대회에 출전한 자사의 경주용 비행기를 기반으로 슈퍼마린 224식의 항공기를 시험기로 제조한다. 224기는 롤스로이스 고쇼크 엔진을 사용하는 갈매기 날개 형식의 기체로 전체적인 외형은 스핏파이어와 유사했지만 조종석의 캐노피 부분이 생략되어 있었다. 미첼은 건강이 악화되서 1937년에 세상을 떠났고 그의 사후 스핏파이어의 개발과 개량은 [[조셉 스미스]]가 책임지고 이끌게 된다.
이 계획으로 영국의 요구 사항 E7 /30의 속도 시속 400킬로미터 이상에 4정의 기관총을 장착한 전금속 주야간 능력 확보 등의 사항을 확인한 슈퍼마린사의 레지날드 미첼은 이전 슈니이더 트로피 항공대회에 출전한 자사의 경주용 비행기를 기반으로 슈퍼마린 224식의 항공기를 시험기로 제조한다. 224기는 롤스로이스 고쇼크 엔진을 사용하는 갈매기 날개 형식의 기체로 전체적인 외형은 스핏파이어와 유사했지만 조종석의 캐노피 부분이 생략되어 있었다.


[[파일:Supermarine 224.JPG|240픽셀|슈퍼마린224식|섬네일]]
[[File:Supermarine_224.JPG|240픽셀|슈퍼마린224식|섬네일]]


224는 후에 슈퍼마린 300식으로 발전되면서 영국 공군은 계약을 체결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300을 기반으로 스핏파이어의 개발이 진행된다.
224는 후에 슈퍼마린 300식으로 발전되면서 영국 공군은 계약을 체결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300을 기반으로 스핏파이어의 개발이 진행된다.
51번째 줄: 75번째 줄:
그 후 [[런던 대공습]]과 70일간의 야간 폭격으로 영국을 밀어붙이던 독일의 선전 속에서도 스핏파이어는 폭격기 호위에 치중하느라 공세적 입장을 취하기 힘든 Bf109E를 상대로 전과를 꾸준히 올렸다 그리고 9월 15일, 마침내 전황을 바꿀 날인 베틀 오브 브리튼 데이가 왔다. 바다사자 작전이 21일에 예정되어 있었던 만큼 시간은 촉박했고 괴링은 결국 주간폭격을 재개시키면서 1100대의 항공기를 출격시켰다. 영국은 630대의 전투기를 출격시켜 대응에 나섰고 이 전투에서 스핏파이어가 Bf109E를 상대하는 사이 호커 허리케인이 폭격기 요격에 나서는 팀플레이를 보여줬고 스핏파이어는 요격 임무를 수행하는 허리케인을 엄호하였다. 스핏파이어는 전투기 12대를 이날 격추했고 호커 허리케인의 폭격기 격추는 56대에 달하는 영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번 전투에서 스핏파이어의 역할은 폭격기를 호위하는 방어막을 뚫어 요격작전에 요격기들이 나설 수 있도록 해준 것이며 영국 본토 항공전 내내 스핏파이어의 중요 임무 중 하나였다. 괜히 스핏파이어가 영국 본토 항공전의 승리에 가장 큰 기여자가 아닌 셈이다. 이 전투 이후 독일은 사실상 영국 공격을 단념한다.
그 후 [[런던 대공습]]과 70일간의 야간 폭격으로 영국을 밀어붙이던 독일의 선전 속에서도 스핏파이어는 폭격기 호위에 치중하느라 공세적 입장을 취하기 힘든 Bf109E를 상대로 전과를 꾸준히 올렸다 그리고 9월 15일, 마침내 전황을 바꿀 날인 베틀 오브 브리튼 데이가 왔다. 바다사자 작전이 21일에 예정되어 있었던 만큼 시간은 촉박했고 괴링은 결국 주간폭격을 재개시키면서 1100대의 항공기를 출격시켰다. 영국은 630대의 전투기를 출격시켜 대응에 나섰고 이 전투에서 스핏파이어가 Bf109E를 상대하는 사이 호커 허리케인이 폭격기 요격에 나서는 팀플레이를 보여줬고 스핏파이어는 요격 임무를 수행하는 허리케인을 엄호하였다. 스핏파이어는 전투기 12대를 이날 격추했고 호커 허리케인의 폭격기 격추는 56대에 달하는 영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번 전투에서 스핏파이어의 역할은 폭격기를 호위하는 방어막을 뚫어 요격작전에 요격기들이 나설 수 있도록 해준 것이며 영국 본토 항공전 내내 스핏파이어의 중요 임무 중 하나였다. 괜히 스핏파이어가 영국 본토 항공전의 승리에 가장 큰 기여자가 아닌 셈이다. 이 전투 이후 독일은 사실상 영국 공격을 단념한다.
====후반====
====후반====
지중해에서의 몰타 항공전에서도 [[이탈리아 공군]]과 이를 지원하는 독일 루프트바페와도 재접전을 벌였고 몰타에 가해지는 독일의 공격을 저지하는데 운용되었다.그중 함재형 시파이어 편대는 영국 항공모함 HMS 이글에서 이함해 900킬로미터의 거리를 비행하며 작전을 펼쳤다.
지중해에서의 몰타 항공전에서도 [[이탈리아 공군]]과 이를 지원하는 독일 루프트바페와도 재접전을 벌였고 몰타에 가해지는 독일의 공격을 저지하는데 운용되었다.그중 함재형 시파이어 편대는 영국 항공모함 HMS 이글에서 이함해 900킬로미터의 거리를 비행하며 작전을 펼쳤다.  


이들은 일부가 유럽 전선 외에도 먼 태평양 전선에서도 독일기들이 아닌 [[일본제국]]의 [[0식 함상전투기]](통칭 제로센)들과 교전을 벌이기도 했는데, 이들은 동남아시아 주둔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의 전투기였다. [[태평양 전쟁]] 초반 일본의 동남아 침공 과정에서 스핏파이어는 제로센에 크게 고전하며 체면을 구겼다. 그러나 스핏파이어에겐 사정이 있었다. 동남아 전선에 투입된 스핏파이어들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보크스 필터라는 모래 유입 방지용 필터를 달아 놓았는데 이게 워낙 돌출되어 있어 항력이 크게 증가해 속도를 40km 이상 저하시키고 운동성에 큰 제약이 걸린 것이다. 게다가 엔진 성능이 저하되는 악재도 있었고 제일 큰 문제는 조종사들이 막 훈련 마치고 투입된 초짜들이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일부가 유럽 전선 외에도 먼 태평양 전선에서도 독일기들이 아닌 [[일본제국]]의 [[0식 함상전투기]](통칭 제로센)들과 교전을 벌이기도 했는데, 이들은 동남아시아 주둔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의 전투기였다. [[태평양 전쟁]] 초반 일본의 동남아 침공 과정에서 스핏파이어는 제로센에 크게 고전하며 체면을 구겼다. 그러나 스핏파이어에겐 사정이 있었다. 동남아 전선에 투입된 스핏파이어들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보크스 필터라는 모래 유입 방지용 필터를 달아 놓았는데 이게 워낙 돌출되어 있어 항력이 크게 증가해 속도를 40km 이상 저하시키고 운동성에 큰 제약이 걸린 것이다. 게다가 엔진 성능이 저하되는 악재도 있었고 제일 큰 문제는 조종사들이 막 훈련 마치고 투입된 초짜들이었다는 점이다.
67번째 줄: 91번째 줄:
==변형==
==변형==
===계열기===
===계열기===
은근히 족보가 복잡하다. 여기서는 계통도가 아니라 제식 번호 순서로 정렬하였다.
====전기형====
<sup>T</sup>는 양산되지 않은 버전.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사용했던 초기형과 이 초기형을 개량한 사항인 중기형은 전쟁 초, 중반까지 영국 공군의 주력기로 활약하였다.
====멀린 엔진 계통====
====후기형====
본래 사용하기로 했던 멀린 엔진을 사용한 형식으로 전간기부터 2차대전 종전까지 생산되어 영국 공군의 주력을 담당한 기체들이다.
*Mk.I : 최초 양산버전. 초기 생산분은 768kW의 멀린 Mk.II 엔진을 사용하였고 2엽 목재 프로펠러를 사용하였으며 후기 생산분은 3엽 금속재 프로펠러를 도입하고 멀린 Mk.III 엔진으로 교체하였다.
*Mk.II : Mk.I에서 엔진을 876kW의 멀린 Mk.XII로 교체한 버전. 일부 버전은 20mm 기관포를 탑재하기도 하였으나 기관포의 신뢰성에 다소 문제가 있었다.
*Mk.III<sup>T</sup> : 처음으로 기체 전반을 손본 버전으로 기존에 운영중이던 Mk.I과 Mk.II를 대체할 예정이었으나 이 기체에 사용하기로 예정되었던 롤스로이스 멀린 Mk.XX 엔진을 [[호커 허리케인]] 계열 기체에 우선 공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취소되었다. 그러나 이 기체에 적용되었던 다양한 기술적 개선은 이후 기체의 개량에 영향을 주었다.
*Mk.V : 가장 많이 생산된 버전. 초기형의 엔진 문제를 해결하여 급강하시 엔진이 꺼지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북아프리카 전선]]이 열리면서 북아프리카에도 배치되었으며 사막 공군 예하 비행대대의 기체들은 모래먼지 때문에 보크스 필터를 장착하여 독특한 기수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 필터를 장착할 경우 이리저리 성능 저하가 컸던지라 현지에서 개조한 필터로 갈아타는 경우도 많았다고. 이후 Mk.IX가 배치되면서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지만 생산대수가 워낙 많다보니 저강도 전선이나 후방에서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Mk.VI
*Mk.VII
*Mk.VIII
*Mk.IX : 두번째로 많이 생산된 버전.
*Mk.X
*Mk.XI
*Mk.XIII
*Mk.XVI
====그리폰 엔진 계통====
본래는 영국 해군을 위해서 개발되어 저공 성능이 우수한 그리폰 엔진을 미첼 사후 스핏파이어의 개량을 주도했던 조셉 스미스가 주목하면서 1939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계통이다. 배치 자체는 1941년부터 소량이나마 이루어졌으나 이런저런 문제가 있어서 본격적으로 전선에 투입된 것은 이를 어느정도 손을 본 Mk.XIV가 배치되는 1943년 10월 이후에나 이루어지게 된다. 멀린 엔진 계통과 구분되는 특징이라면 엔진 카울링의 좌우 상단에 11자로 뻗은 돌출부가 있다는 것.
*Mk.IV<sup>T</sup> : Mk.XX로 나중에 다시 명명되는 초창기 그리폰 엔진 장착 버전.
*Mk.XII : 그리폰 스핏파이어로는 처음으로 양산된 버전.
*Mk.XIV
*Mk.21
*Mk.22
*Mk.23<sup>T</sup> : 주익 개량모델. 기대에 못미치는 성능으로 양산 계획이 취소됨.
*Mk.24 : 스핏파이어의 마지막 양산형
===파생기===
===파생기===
* [[슈퍼마린 시파이어]]
'''시파이어'''
* [[슈퍼마린 스피이트풀]]
==운용 국가==
==운용 국가==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소련]]
{{각주}}
{{각주}}
[[분류:전투기]]
[[분류:전투기]]
[[분류:영국의 군용기]]
[[분류:영국의 군용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