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쉔, 황혼의 눈<br />
쉔, 황혼의 눈<br/>
Shen, Eye of Twilight
Shen, Eye of Twilight
{{인용문|훌륭한 판단의 표본이로군.}}
{{인용문|훌륭한 판단의 표본이로군.}}
'''쉔'''은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이다.


==개요==
==개요==
17번째 줄: 15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파일:Shen P.png|100px]]
| rowspan="2" |  [[파일:Shen_P.png|64px]]
|-
|-
|  스킬을 시전하면 10초에 2.5초 동안 피해를 50~101(+14%추가 체력)만큼 흡수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아군 또는 적 챔피언에게 스킬로 영향을 미칠 때마다 쿨타임이 감소합니다.
|  스킬을 시전하면 10초에 2.5초 동안 피해를 50~101(+14%추가 체력)만큼 흡수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아군 또는 적 챔피언에게 스킬로 영향을 미칠 때마다 쿨타임이 감소합니다.
26번째 줄: 24번째 줄:
6.2 버전에 리메이크가 되면서 바뀐 쉔의 패시브로, 쉔의 탱킹력을 책임지는 스킬 중 하나다. 리메이크 전 쉔의 보호막 스킬인 w를 패시브로 옮겼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전의 패시브는 쉔 자신의 체력에 비례하는 추가 마뎀을 입히는 평타 강화형 패시브였다.
6.2 버전에 리메이크가 되면서 바뀐 쉔의 패시브로, 쉔의 탱킹력을 책임지는 스킬 중 하나다. 리메이크 전 쉔의 보호막 스킬인 w를 패시브로 옮겼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전의 패시브는 쉔 자신의 체력에 비례하는 추가 마뎀을 입히는 평타 강화형 패시브였다.


리메이크 이후로 기본 스펙이 크게 칼질당한 쉔에게 있어서는 중요한 탱킹 스킬이다. 리메이크 이전의 보호막은 액티브 스킬이었기에 원하는 타이밍에 켜는 것이 가능했지만, 패시브로 옮긴 지금에는 발동하는 타이밍을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해졌다. 정작 필요한 순간에 패시브가 쿨타임이면 쉔 입장에서는 피눈물이 난다.
리메이크 이후로 기본 스펙이 크게 칼질당한 쉔에게 있어서는 중요한 탱킹 스킬이다. 리메이크 이전의 보호막은 액티브 스킬이었기에 원하는 타이밍에 켜는 것이 가능했지만, 패시브로 옮긴 지금에는 발동하는 타이밍을 잘 맞추는것이 중요해졌다. 정작 필요한 순간에 패시브가 쿨타임이면 쉔 입장에서는 피눈물이 난다.


다만, 이전에 비해서 좋은 점도 분명히 있다. 이전의 보호막은 주문력 계수이기에 사실상 후반가면 그 효과가 미미한 편이었지만, 지금의 패시브로 생겨나는 보호막은 주문력 계수가 아닌 추가 체력 계수를 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탱템을 두르는 쉔의 입장에서는 꽤나 반가운 점. 후반에 잘 성장한 쉔이 타이밍 맞춰서 패시브를 발동 시키면 상대방 입장에서는 혈압이 올라간다.
다만, 이전에 비해서 좋은 점도 분명히 있다. 이전의 보호막은 주문력 계수이기에 사실상 후반가면 그 효과가 미미한 편이었지만, 지금의 패시브로 생겨나는 보호막은 주문력 계수가 아닌 추가 체력 계수를 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탱템을 두르는 쉔의 입장에서는 꽤나 반가운 점. 후반에 잘 성장한 쉔이 타이밍 맞춰서 패시브를 발동 시키면 상대방 입장에서는 혈압이 올라간다.
36번째 줄: 34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파일:Shen q.png|100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8/7.25/6.5/5.75/5초
| rowspan="2" | [[파일:Shen_q.png|64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8/7.25/6.5/5.75/5초
|-
|-
|쉔이 기의 검을 불러내 뽑습니다. 기의 검에 부딪히는 적들은 2초 동안 쉔으로부터 멀어지려 할 때 35% 둔화됩니다.
|쉔이 기의 검을 불러내 뽑습니다. 기의 검에 부딪히는 적들은 2초 동안 쉔으로부터 멀어지려 할 때 35% 둔화됩니다.
44번째 줄: 42번째 줄:
기의 검이 적 챔피언에게 부딪힌 경우, 강화된 공격은 4/4.5/5/5.5/6(+0.0AP)% + 5/10/15/20/25/30의 추가 피해를 입히며, 50%의 추가 공격 속도가 적용됩니다.
기의 검이 적 챔피언에게 부딪힌 경우, 강화된 공격은 4/4.5/5/5.5/6(+0.0AP)% + 5/10/15/20/25/30의 추가 피해를 입히며, 50%의 추가 공격 속도가 적용됩니다.


각 공격은 미니언과 몬스터에게 75 / 100 / 125 / 150 / 175 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각 공격은 미니언과 몬스터에게 75 / 100 / 125 / 150 / 175 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기력 소모 : 140/130/120/110/100
|기력 소모 : 140/130/120/110/100
|}
|}
63번째 줄: 60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파일:Shen w.png|100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18 / 16.5 / 15 / 13.5 / 11초
| rowspan="2" | [[파일:Shen_w.png|64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18 / 16.5 / 15 / 13.5 / 11초
|-
|-
|쉔의 기의 검이 1.75초 동안 지속되는 보호 결계를 생성합니다. 쉔이나 결계 안의 아군 챔피언에 대한 기본 공격이 차단됩니다.
|쉔의 기의 검이 1.75초 동안 지속되는 보호 결계를 생성합니다. 쉔이나 결계 안의 아군 챔피언에 대한 기본 공격이 차단됩니다.
85번째 줄: 82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파일:shen e.png|100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16/14/12/10/8초
| rowspan="2" | [[파일:shen_e.png|64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16/14/12/10/8초
|-
|-
|쉔이 한 방향으로 돌진하여 챔피언들에게 50/75/100/125/150(+12% 추가 체력)만큼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부딪친 챔피언들을 1.5초 동안 도발합니다.
|쉔이 한 방향으로 돌진하여 챔피언들에게 50/75/100/125/150(+12% 추가 체력)만큼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부딪친 챔피언들을 1.5초 동안 도발합니다.


도발 당한 챔피언당 30~40의 기력을 회복됩니다.
도발 당한 챔피언당 30~40의 기력을 회복됩니다.  
 
(사정거리: 600, 범위: 120)  
(사정거리: 600, 범위: 120)  


118번째 줄: 114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파일:shen r.png|100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200/180/160초
| rowspan="2" | [[파일:shen_r.png|64px]] ||설명|| 재사용 대기시간 : 200/180/160초
|-
|-
|3초동안 정신 집중을 한 후 쉔이 대상 챔피언의 위치로 순간이동합니다.
|3초동안 정신 집중을 한 후 쉔이 대상 챔피언의 위치로 순간이동합니다.
139번째 줄: 135번째 줄:
초기에는 1레벨 궁 쿨타임이 200초나 되는, 그야말로 한 번 쓸때 진짜 이득을 봐야하는 정도로 신중히 써야 했다.하지만 5.7 패치 이후로 궁 쿨타임이 전 구간에서 줄어들었다. 물론 지금도 길지만, 이전보다 쿨이 짧아졌고, 3레벨 궁 쿨타임은 이전보다 크게 줄었기에 상당히 의미가 있는 버프였다.
초기에는 1레벨 궁 쿨타임이 200초나 되는, 그야말로 한 번 쓸때 진짜 이득을 봐야하는 정도로 신중히 써야 했다.하지만 5.7 패치 이후로 궁 쿨타임이 전 구간에서 줄어들었다. 물론 지금도 길지만, 이전보다 쿨이 짧아졌고, 3레벨 궁 쿨타임은 이전보다 크게 줄었기에 상당히 의미가 있는 버프였다.


리메이크 이후에도 이 스킬은 그대로 유지되는 듯 했으나…… 7.8 패치에서 쉔이 무난하다는 점 때문에 프로씬에서 사랑을 받기 시작하자 궁 쿨타임을 다시 예전처럼 증가시켰다. 1렙 궁은 예전처럼 200초로 회귀. 이전보다 궁 사용으로 인한 이득을 얻지 못했을 시에 돌아오는 리스크가 커진 셈이다.
리메이크 이후에도 이 스킬은 그대로 유지되는 듯 했으나...7.8 패치에서 쉔이 무난하다는 점 때문에 프로씬에서 사랑을 받기 시작하자 궁 쿨타임을 다시 예전처럼 증가시켰다. 1렙 궁은 예전처럼 200초로 회귀. 이전보다 궁 사용으로 인한 이득을 얻지 못했을 시에 돌아오는 리스크가 커진 .


==평가==
==평가==
평타 기반의 AD 챔프와 암살자들을 카운터치는 운영형 탱커. 기본 스탯만 놓고보면 웬만한 브루저, 심지어 일부 암살자들 보다도 뒤쳐지는 저열한 스탯을 가지고 있지만, 도발이라는 하드 CC와 체력 계수를 받는 보호막, 일정 시간동안 평타를 무시하는 스킬 등 꽤나 좋은 탱킹 스킬들로 그 단점을 커버한다. 거기다가 순간이동+보호막 효과를 자랑하는 궁극기로 인해서 상대 암살자에게 리스크를 안겨주는 챔프다. 자체 캐리력은 전무하지만, 아군 챔프의 캐리력에 힘을 보태거나, 상대방의 캐리를 방해하는 안티캐리 능력이 꽤나 좋은 챔프.
 
평타 기반의 AD 챔프와 암살자들을 카운터치는 운영형 탱커. 기본 스탯만 놓고보면 웬만한 브루저, 심지어 일부 암살자들 보다도 뒤쳐지는 저열한 스탯을 가지고 있지만, 도발이라는 하드 cc와 체력 계수를 받는 보호막, 일정 시간동안 평타를 무시하는 스킬 등 꽤나 좋은 탱킹 스킬들로 그 단점을 커버한다. 거기다가 순간이동+보호막 효과를 자랑하는 궁극기로 인해서 상대 암살자에게 리스크를 안겨주는 챔프다. 자체 캐리력은 전무하지만, 아군 챔프의 캐리력에 힘을 보태거나, 상대방의 캐리를 방해하는 안티캐리 능력이 꽤나 좋은 챔프.


===장점===
===장점===
쉔의 장점은 초중반 라인전 단계에서, 특히 근접 챔프들을 상대로 강력한 라인전을 자랑한다는 점이다. 탱커 역할을 맡는데다가, 기본 스팩도 좋지 못해서 라인전 약챔이라고 여기기 쉽지만, 스킬셋의 특성상 근접전에서 정말 강하다. 체력 비례 대미지를 입히는데다 스킬 쿨타임마저 짧은 Q와 일시적으로 평타를 무시해버리는 W,  조건만 되면 수시로 발동되는 패시브 보호막이 서로 시너지를 일으켜서 근접 챔프 상대로는 깡패 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거기다가 기의 검에 맞아서 Q 스킬이 강화되기라도 하면 쉔을 맞상대하는 입장에선 엄청난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쉔의 장점은 초중반 라인전 단계에서, 특히 근접 챔프들을 상대로 강력한 라인전을 자랑한다는 점이다. 탱커 역할을 맡는데다가, 기본 스팩도 좋지 못해서 라인전 약챔이라고 여기기 쉽지만, 스킬셋의 특성상 근접전에서 정말 강하다. 체력 비례 데미지를 입히는데다 스킬 쿨타임 마저 짧은 Q와 일시적으로 평타를 무시해버리는 W,  조건만 되면 수시로 발동되는 패시브 보호막이 서로 시너지를 일으켜서 근접 챔프 상대로는 깡패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거기다가 기의 검에 맞아서 Q스킬이 강화되기라도 하면 쉔을 맞상대하는 입장에선 엄청난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궁극기를 통한 빠른 합류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스플릿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타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경우에는 아무리 1:1 대인전이 강력한 브루저나 암살자도 스플릿을 이어나가는데 부담을 느끼는데, 쉔은 궁극기를 통한 빠른 합류가 가능하기에 큰 부담없이 운영을 펼칠 수 있다.
또한 궁극기를 통한 빠른 합류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스플릿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타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경우에는 아무리 1:1 대인전이 강력한 브루저나 암살자도 스플릿을 이어나가는데 부담을 느끼는데, 쉔은 궁극기를 통한 빠른 합류가 가능하기에 큰 부담없이 운영을 펼칠 수 있다.


위의 요소와 연결되는 쉔의 가장 큰 강점은, 쉔을 가지고 있는 팀이 유리한 게임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쉔은 유리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변수를 차단하는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불리한 팀에서는 최대한 사리다가 혼자 돌아다니는 상대 딜러들을 잘라먹으려는 설계를 하거나, 기습적으로 이니시에이팅을 거는 플레이를 하게 되는데, 이 모든 플레이들이 쉔의 궁극기 하나에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다. 엄청난 양의 보호막과 함께 쉔이 넘어오면서 역으로 받아치면 상대는 역으로 손해를 입게 되고, 이후에는 소극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어진다.
위의 요소와 연결되는 쉔의 가장 큰 강점은, 쉔을 가지고 있는 팀이 유리한 게임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쉔은 유리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변수를 차단하는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불리한 팀에서는 최대한 사리다가 혼자 돌아다니는 상대 딜러들을 잘라먹으려는 설계를 하거나, 기습적으로 이니시에이팅을 거는 플레이를 하게 되는데, 이 모든 플레이들이 쉔의 궁극기 하나에 무력화 되는 경우가 많다. 엄청난 양의 보호막과 함께 쉔이 넘어오면서 역으로 받아치면 상대는 역으로 손해를 입게 되고, 이후에는 소극적으로 나올수 밖에 없어진다.


===단점===
===단점===
쉔의 라인전은 꽤나 강한 편이지만, '''어디까지나 그 챔프가 근접전 말고는 선택지 없는 놈들에 한해서다.''' 만약에 쉔을 쓰는데 상대가 원거리 견제가 악랄한 챔프가 올라온다면 이만큼 무기력한 놈도 없다. 이전의 쉔은 라인 유지력도 더 좋고, 원거리 스킬도 있었기에 어느 정도의 반항을 하면서 타워 허깅을 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그런거 없이 한 번 수세에 몰리면 정글러가 갱으로 풀어주기 전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무너질 수 있다.


쉔의 또 다른 약점은 타 탱커 대비 한타력이 그렇게 강력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다른 탱커들과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뛰어난 어그로 관리와 광역 CC를 자랑하는 마오카이, CC 그 자체인 노틸러스, 궁극기로 강력한 이니시에이팅을 걸어버리는 말파이트나 오른, 엄청난 위력의 광역 CC로 한타를 책임지는 사이온 같은 녀석들과 비교하면 광역 도발 하나만 바라보는 쉔은 그저 눈물이 날 뿐.
쉔의 라인전은 꽤나 강한편이지만, '''어디까지나 그 챔프가 근접전 말고는 선택지 없는 놈들에 한해서다.''' 만약에 쉔을 쓰는데 상대가 원거리 견제가 악랄한 챔프가 올라온다면 이만큼 무기력한 놈도 없다. 이전의 쉔은 라인 유지력도 더 좋고, 원거리 스킬도 있었기에 어느 정도의 반항을 하면서 타워 허깅을 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그런거 없이 한번 수세에 몰리면 정글러가 갱으로 풀어주기 전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무너질 수 있다.


거기다가 라인 클리어 능력이 저조하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목된다. 스플릿 푸셔로 키우기는 하나, 궁극기를 통한 합류가 빨라서 스플릿을 하는거지, 라인 클리어만 놓고 보면 스플릿 푸셔로 키우는 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을 수준으로 느리다. 느린 라인 클리어 능력 때문에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내주기가 쉬운데다가, 후반 가면 이들 상대로 성장에서 앞지르기도 쉽지 않다.
쉔의 또 다른 약점은 타 탱커 대비 한타력이 그렇게 강력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다른 탱커들과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뛰어난 어그로 관리와 광역 cc를 자랑하는 마오카이, cc 그 자체인 노틸러스, 궁극기로 강력한 이니시에이팅을 걸어버리는 말파이트나 오른, 엄청난 위력의 광역 cc로 한타를 책임지는 사이온 같은 녀석들과 비교하면 광역 도발 하나만 바라보는 쉔은 그저 눈물이 날 뿐.
 
거기다가 라인 클리어 능력이 저조하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목된다. 스플릿 푸셔로 키우기는 하나, 궁극기를 통한 합류가 빨라서 스플릿을 하는거지, 라인 클리어만 놓고 보면 스플릿 푸셔로 키우는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을 수준으로 느리다. 느린 라인 클리어 능력 때문에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내주기가 쉬운데다가, 후반 가면 이들 상대로 성장에서 앞지르기도 쉽지 않다.
 
==기타==


{{주석}}
{{주석}}
*관련항목 : [[리그 오브 레전드]]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