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행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건축물 정보
[[분류:사적]]
|건물이름 = 화성행궁
{{문화재
|원어이름 =  
|그림 = 화성행궁.JPG
|그림    = [[파일:화성행궁.JPG|350px]]
|종목 = [[사적]] 제478호
|그림설명 =  
|명칭 = 화성행궁
|종류    =  
|한자 = 華城行宮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6-2번지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소유    =
|수량=
|착공일  =
|면적 = 37,268㎡
|개장일  =
|날짜 = [[2007년]] [[6월 8일]]
|철거일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6-2번지
|건축    =
|시대 = [[조선시대]]
|설계    =
|소유 =
|건설    =
|관리 = [[수원시]]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대지면적 = 81,351 m<sup>2</sup>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사적]] 제478호
|지정일  = [[2007년]] [[6월 8일]]
|해제일  =
}}
}}
}}
==개요==
==개요==
[[파일:화성행궁 광장.jpg|섬네일|행궁 전면에는 약 17,000㎡의 광장이 있다.]]
[[파일:화성행궁 광장.jpg|섬네일|행궁 전면에는 약 17,000㎡의 광장이 있다.]]
조선시대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인 현릉에 행차할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던 곳으로 당시 그 어느 행궁보다 크고 웅장하였으며 활용도도 높아 경복궁의 '부궁'이라는 말까지 생겨난 곳이다. 정조 18~20년에 [[수원 화성|화성]]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쪽에 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유수부(지금의 시청) 관청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조선시대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인 현릉에 행차할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던 곳으로 당시 그 어느 행궁보다 크고 웅장하였으며 활용도도 높아 경복궁의 '부궁'이라는 말까지 생겨난 곳이다. 정조 18~20년에 [[수원 화성|화성]]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쪽에 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유수부(지금의 시청) 관청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건립 당시에는 600여칸으로 정궁 형태를 이루어 상당히 [[크고 아름다운]] 행궁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당시 낙남헌을 제외한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사라졌다가 1980년대 말 지역 주민들이 복원추진위를 구성하여 복원운동을 펼친 결과 1996년 복원공사가 시작되어서 2003년 10월 1단계 복원공사가 완료되면서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후 우화관, 장춘관, 분봉상시, 별주 등의 4개동 94칸의 건물을 복원하는 2단계 복원사업이 추진중에 있다.
==부속건물==
==부속건물==
*신풍루(新豊樓):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참고로 신풍(新豊)이라는 말은 국왕의 새로운 고향이란 뜻으로 정조의 수원사랑을 의미하는 문으로 행궁의 외삼문에 해당한다.
*신풍루(新豊樓) :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참고로 신풍(新豊)이라는 말은 국왕의 새로운 고향이란 뜻으로 정조의 수원사랑을 의미하는 문으로 행궁의 외삼문에 해당한다.
*좌익문(左翊門): 중앙문 앞에 있는 문으로 여기서 좌익은 옆에서 도와준다는 뜻으로 내삼문을 바로 앞에서 도(道)와 행궁을 지키는 중삼문의 역할을 하는 문이다.
*좌익문(左翊門) : {{ㅊ|좌빨이 사용하는 문}} 중앙문 앞에 있는 문으로 여기서 좌익은 옆에서 도와준다는 뜻으로 내삼문을 바로 앞에서 도(道)와 행궁을 지키는 중삼문의 역할을 하는 문이다.
*중양문(中陽門): 궁궐 건축시 3개의 문을 설치하는 3문설치 형식에 따라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을 바로 앞에서 지키는 내삼문의 역할을 하는 문이다.
*중양문(中陽門) : 궁궐 건축시 3개의 문을 설치하는 3문설치 형식에 따라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을 바로 앞에서 지키는 내삼문의 역할을 하는 문이다.
*봉수당(奉壽堂): 화성행궁의 정전으로 이 곳에서 정조의 모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이 열리기도 하였었다.
*봉수당(奉壽堂) : 화성행궁의 정전으로 이 곳에서 정조의 모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이 열리기도 하였었다.
*경룡관(景龍館): 장락당으로 들어가는 누문{{ㅈ|누각이 달린 문}}으로 여기서 경룡은 제왕을 상징한다.
*경룡관(景龍館) : 장락당으로 들어가는 누문{{ㅈ|누각이 달린 문}}으로 여기서 경룡은 제왕을 상징한다.
*장락당(長樂堂): 화성행궁의 침전으로 정조가 직접 편액을 써서 건 건물이기도 하다.
*장락당(長樂堂) : 화성행궁의 침전으로 정조가 직접 편액을 써서 건 건물이기도 하다.
*복내당(福內堂): 화성 행궁의 내당으로 왕이 있을 때는 내당으로 사용하였으며, 평상시에는 화성유수의 가족들이 거처하던 일종의 관사 건물이다.
*복내당(福內堂) : 화성 행궁의 내당으로 왕이 있을 때는 내당으로 사용하였으며, 평상시에는 화성유수의 가족들이 거처하던 일종의 관사 건물이다.
*집사청(執事廳): 말 그대로 궁궐의 각종 비품을 관리하고 잡무를 보던 [[집사]]들이 사용하던 건물이다.
*집사청(執事廳) : 말 그대로 궁궐의 각종 비품을 관리하고 잡무를 보던 [[집사]]들이 사용하던 건물이다.
*낙남헌(落南軒):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기간 중 열린 과거시험과 양로연 등 여러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낙남헌(落南軒) :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기간 중 열린 과거시험과 양로연 등 여러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득중정(得中亭): 정조가 행궁 안에서 활을 쏜 곳으로 모두 명중시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득중정(得中亭) : 정조가 행궁 안에서 활을 쏜 곳으로 모두 명중시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군영/북군영(南軍營/北軍營): 정문인 신풍루 좌우에 위치한 건물로 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기마병에 해당하는 친군위가 좌/우열로 각각 100명씩 들어가 입직하여 숙위하던 건물이다. {{ㅊ|그냥 배럭이네}}
*남군영/북군영(南軍營/北軍營) : 정문인 신풍루 좌우에 위치한 건물로 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기마병에 해당하는 친군위가 좌/우열로 각각 100명씩 들어가 입직하여 숙위하던 건물이다. {{ㅊ|그냥 배럭이네}}
*유여택(維與宅): 정조가 행차중 머물면서 신하들을 접견하던 접견실의 역할을 하던 건물이다.
*유여택(維與宅) : 정조가 행차중 머물면서 신하들을 접견하던 접견실의 역할을 하던 건물이다.
*외정리소(外整理所): 임금이 행차할 때 행궁에서 치러지는 행사 준비를 담당하던 곳이다.
*외정리소(外整理所) : 임금이 행차할 때 행궁에서 치러지는 행사 준비를 담당하던 곳이다.
*서리청(書吏廳): 문서의 기록 및 수발을 담당하던 관리들이 사용하던 건물이다. 단, 1795년 있었던 원행시에는 수라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었다.
*서리청(書吏廳) : 문서의 기록 및 수발을 담당하던 관리들이 사용하던 건물이다. 단, 1795년 있었던 원행시에는 수라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었다.
*노래당(老來堂): 정조가 왕위에서 물러나 수원에서 노후생활을 하고자 지은 건물이다. 원래 목적대로 사용되지 못한 건물
*노래당(老來堂) : 정조가 왕위에서 물러나 수원에서 노후생활을 하고자 지은 건물이다. 원래 목적대로 사용되지 못한 건물
*미로한정(未老閒亭): 행궁의 후원에 있는 정자로 장래 늙어서 한가하게 쉴 정자라는 뜻이다. 원래 정조는 갑자년(1804년)에 세자에게 양위를 하고 화성에서 노후를 보낼 계획이었으며, 이 정자도 그러한 계획으로 세워진 정자였다.
*미로한정(未老閒亭) : 행궁의 후원에 있는 정자로 장래 늙어서 한가하게 쉴 정자라는 뜻이다. 원래 정조는 갑자년(1804년)에 세자에게 양위를 하고 화성에서 노후를 보낼 계획이었으며, 이 정자도 그러한 계획으로 세워진 정자였다.


==관람방법==
==관람방법==
===스탬프 투어===
===스탬프 투어===
스탬프는 다음의 건물들에 자리하고 있다.
*남군영
*집사청과 북군영 연결통로
*좌익문
*중앙문
*봉수당
*경룡관과 장락당 사이
*복내당
*유여택
*비장청 부근
*득중정 부근(가장 구석에 있는 스탬프로 좀 숨어있는 느낌이다.


==기타==
==기타==
78번째 줄: 51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사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