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락산역 탈선 사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 정보
{{사건 정보
|사건이름 = 수락산역 열차 탈선 사고
|사건 = 도봉산역 열차 탈선 사고
|원어이름 =
|그림 = 7호선 탈선 사고.jpg
|그림     = [[파일:7호선 탈선 사고.jpg|150px]]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사고 현장의 모습
|그림설명 = 사고 현장의 모습
|날짜    = [[2019년]] [[3월 14일]]
|시점 = [[2019년]] [[3월 14일]]
|장소    = 장암역 기점 3.575km 상선<br />([[수락산역]]~[[도봉산역]] 구간)
|위치 = [[수락산역]]~[[도봉산역]] 구간
|주최    =
|원인 = [[서울교통공사]]의 레일 관리 부실
|참가    =
|인명 피해=없음
|원인     = [[서울교통공사]]의 레일 관리 부실
|재산 피해=
|목적    =
|결과    =
|인명피해 = 없음
|재산피해 =
|비고    =  
}}
}}


[[2019년]] [[3월 14일]] 오후 7시 18분, [[수락산역]]을 출발하여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장암역|장암행]] 제 7300열차(717편성)가 수락산역 발차 후 533m 지점에서 갑작스레 탈선한 사고이다.
== 개요 ==
[[파일:7호선 탈선 사고-2.jpg|섬네일|사고 당시 열차 내부의 모습]]
당시 열차 내의 모습
[[2019년]] [[3월 14일]] 오후 7시 22분, [[수락산역]]을 출발하여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장암역|장암행]] 제 7300열차(717편성)가 도봉산역 진입 전 500m 지점에서 갑작스레 탈선한 사고이다.


== 과정 ==
== 과정 ==
[[파일:7호선 탈선 사고-2.jpg|섬네일|사고 당시 열차 내부의 모습]]
당시 7300열차는 [[수락산역]] 운행까지만 해도 별 문제 없이 원활하게 운행되고 있었다. 승객들 역시 아무것도 모르고 열차를 이용중이었으며, 잘 운행하던 열차 역시 여느 때와 다름없이 [[수락산역]]을 출발하여 [[도봉산역]]으로 향하는 중이었다.
; 19시 17분 [[수락산역]] 발차
: 7300열차는 도봉산역에서 선행열차가 정차중인 관계로 기관사의 수동운전으로 수락산역을 19시 17분에 발차했다.


; 19시 18분 탈선
그러나 도봉산역을 500m 남겨둔 지점, 2번째 객차의 차륜이 갑자기 레일에서 이탈하였다. 오후 7시 22분, 완벽한 퇴근시간대에 전동차 탈선 사고가 일어난 것이다... 당시 탈선한 객차는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다른 객차와 열결 통로가 심하게 뒤틀려 있었고, 사고 발생 직후에는 차량에서 연기가 나는 상황까지 있었다고 한다.
: 수락산 발차 후 533m를 지난 지점에서 2번째 객차의 차륜이 레일을 타올라 [[탈선]]하고, 기관사가 승객으로부터 1호차 [[연결통로]]가 이상하다는 신고를 받는다.


; 19시 19분 정차
결국 290여명의 승객들은 아무 영문도 모른 채 마음을 바짝 졸여야 했으며, 도봉산역까지 남은 500m를 열차 터널을 따라 '''걸어서 대피하였다.''' 오후 7시 56분, 열차 내에 탑승하고 있었던 290여명의 승객이 모두 대피하였으며, 사고 차량 717편성은 도봉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오후 8시 7분, 열차 복구반이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열차의 복구 작업을 시작하였다.
: 탈선 후 400m를 더 간 뒤 조작 반응이 수상하게 여겨졌던 기관사 판단으로 도봉산역을 900m 가량 앞두고 임시정차했다. 충격으로 인해 분진이 다량 유입되어 객차 내부가 연기처럼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 19시 56분 승객 대피
== 사고 여파 ==
: 열차 내에 탑승하고 있었던 290여명의 승객은 선로변을 따라 수락산역으로 대피했고, 사고 차량 717편성은 도봉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오후 8시 7분, 복구반이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구간의 복구 작업을 시작하였다.
다행히 이번 사고로 발생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승객 1명이 가벼운 통증을 느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덕분에 [[수락산역]]~[[장암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지하철을 대체하기 위해 버스를 연장 운행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었다.  


== 사고 여파 ==
탈선 사고라 완전히 복구하는 데에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보였지만, 다행히 예상보다 빠르게 복구되어 [[2019년]] [[3월 15일]] 다음 날 첫차부터는 정상 운행을 재개할 수 있었다.
다행히 이번 사고로 발생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승객 1명이 가벼운 통증을 느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덕분에 [[수락산역]]~[[장암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지하철을 대체하기 위해 버스를 연장 운행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었다. 사고 구간은 빠르게 복구되어 [[2019년]] [[3월 15일]] 다음 날 첫차부터는 정상 운행을 재개할 수 있었다.


사고 열차인 717편성은 한달여간 사고 조사를 받으며 탈선 충격으로 손상된 차륜, 전동기 등을 교체하고 다시 운행에 투입되어 현재까지도 계속 운행되고 있다.
사고 열차인 717편성은 임시휴차되었고, 차령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구 휴차 가능성을 높게 보는 사람이 많았으나, 약 1개월 뒤인 [[2019년]] [[4월 18일]], 조치가 완료되어 다시 운행에 투입되어 현재까지도 계속 운행되고 있다.


== 원인 ==
== 원인 ==
* [[보선]] 미흡
[[2020년]] [[4월 17일]], [https://www.yna.co.kr/view/AKR20200416167200003?input=1195m| 뒤늦게 사고의 원인이 밝혀졌다.]
*: 당시 [[서울교통공사]]가 레일 마모 상태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레일 형상이 불규칙하게 변하면서 차륜이 돌출된 부위를 타고 타오른 것이 탈선의 원인이다. 사고 구간은 개통 후 사고 시점까지 레일 연마작업을 8번 이상 거쳐야 했으나 1번의 연마작업만 진행되었다.
사고의 원인은 레일 관리 미흡으로, 당시 [[서울교통공사]]가 [[수락산역]] 인근의 레일 간격과 마모 상태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고 한다.{{ㅈ|당시 해당 구간의 레일 최고 간격은 19.1mm로, 규정 14mm를 무려 '''5.1mm나 초과한 상태였다.'''}} 조사위는 중간보고서에서 '''곡선 구간에서 궤간{{ㅈ|선로 간격}}이 확대되어 대차의 회전량이 커지면서 탈선 계수가 증가해 열차가 레일을 타고 올라가 탈선한 것'''이라고 밝혔다.
* 차량정비 미흡
*: 탈선한 대차 완충장치(1차 스프링)의 강도가 설계 기준의 2배에 가까워 차축 양쪽에 걸리는 윤중의 차이가 컸으며, 이로 인해 곡선 안쪽으로 무게가 실리면서 바깥쪽 차륜이 레일을 타고 오르는 원인이 되었다. 이는 제조사 측에서도 별도의 정비 메뉴얼을 제시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점검되지 않았다.


== 같이 보기 ==
* [http://araib.molit.go.kr/USR/BORD0201/m_34513/DTL.jsp?id=araib0306&cate=&mode=view&idx=241417&key=&search=&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order=&desc=asc&srch_prc_stts=&item_num=0&search_dept_id=&search_dept_nm=&srch_usr_nm=N&srch_usr_titl=N&srch_usr_ctnt=N&srch_mng_nm=N&old_dept_nm=&search_gbn=&search_section=&source=&search1=&lcmspage=1    서울교통공사 서울7호선 수락산역~도봉산역간 전동열차 탈선사고 중간보고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2020.03.27.
* [http://araib.molit.go.kr/USR/BORD0201/m_34513/DTL.jsp?id=araib0306&cate=&mode=view&idx=243404&key=&search=&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order=&desc=asc&srch_prc_stts=&item_num=0&search_dept_id=&search_dept_nm=&srch_usr_nm=N&srch_usr_titl=N&srch_usr_ctnt=N&srch_mng_nm=N&old_dept_nm=&search_gbn=&search_section=&source=&search1=&lcmspage=1    서울교통공사 서울7호선 수락산역~도봉산역간 전동열차 탈선사고('19.3.14.) 최종보고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2020.11.25.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사고}}
[[분류:2019년 대한민국]]
[[분류:2019년 대한민국]]
[[분류:철도 사건사고]]
[[분류:철도 사건사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