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 [[2014년]] [[9월]] : A노선(킨텍스~삼성~동탄) 민간사업자의 노선 제안
* [[2014년]] [[9월]] : A노선(킨텍스~삼성~동탄) 민간사업자의 노선 제안
* [[2016년]] [[6월]]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16년]] [[6월]]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21년]] [[6월 29일]]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D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 확정 및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상세==
==상세==
25번째 줄: 24번째 줄:
==특징==
==특징==
===대심도 지하노선===
===대심도 지하노선===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어 기존에 건설된 지상 철도 노선들을 지하로 집어넣어 달라는 민원이 빗발치는 수도권의 막대한 토지보상비용을 생각한다면 지상 노선은 애초에 현실성이 없다. 또한 이미 서울 도심 지하는 1기, 2기 지하철이 구축되어 복잡한 상황이기 때문에 서울 도심에 진입하는 신선은 필수적으로 대심도 지하화 외에는 답이 없다. 대심도 건설이 필수적이라 높은 건설비가 소요되므로 [[민간투자사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민간기업 [[컨소시엄]]이 노선 건설 및 운영권을 가져가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어 기존에 건설된 지상 철도 노선들을 지하로 집어넣어 달라는 민원이 빗발치는 수도권의 막대한 토지보상비용을 생각한다면 지상 노선은 애초에 현실성이 없다. 또한 이미 서울 도심 지하는 1기, 2기 지하철이 구축되어 복잡한 상황이기 때문에 서울 도심에 진입하는 신선은 필수적으로 대심도 지하화 외에는 답이 없다.  


===운행속도 및 차량===
===운행속도 및 차량===
{{유튜브|muhapV79kes|||가운데|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차량 목업}}
급행철도라는 이름에 걸맞게 정차역도 주요 환승거점만 이어주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표정속도]]는 현행 수도권 전철들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계획되었으며 평균 표정속도는 100 Km/h 수준을 유지하도록 건설된다. 또한 최고속도 역시 180 Km/h 수준으로 책정하였다. 표정속도 및 최고속도 등을 감안하면 동력분산식 준고속 이상의 스펙 차량이 투입될 예정<ref>[[EMU-250]]급 스펙의 열차가 유력한다.</ref>이며, 차량은 8량 1편성으로 계획되었다. 궤간은 표준궤, 전기방식은 교류 25,000 V이며 모든 신설 노선은 복선으로 건설된다.
 
급행철도라는 이름에 걸맞게 정차역도 주요 환승거점만 이어주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표정속도]]는 현행 수도권 전철들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계획되었으며 평균 표정속도는 100 Km/h 수준을 유지하도록 건설된다. 또한 최고속도 역시 180 Km/h 수준으로 책정하였다. 표정속도 및 최고속도 등을 감안하면 동력분산식 준고속 이상의 스펙 차량이 투입될 예정<ref>[[EMU-250]]급 스펙의 열차가 유력한다.</ref>이며, 차량은 8량 1편성으로 계획되었다. 궤간은 표준궤, 전기방식은 교류 25 kV이며 모든 신설 노선은 복선으로 건설된다. 좌석은 수도권 전철 전동차와 유사한 크로스시트를 적용하여 많은 승객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운임===
===운임===
[[경기도]]에서 제시하는 요금은 전 구간 3,000 원 수준의 정액요금이며,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10 km까지는 기본요금인 1,800원을 징수하고 이후 1Km 당 40원의 거리비례 요금제를 제시하였다. 신설노선 대부분이 민간자본투자로 건설될 예정이라서 경기도의 안건보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안건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경기도]]에서 제시하는 요금은 전 구간 3,000 원 수준의 정액요금이며,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10 km까지는 기본요금인 1,800원을 징수하고 이후 1Km 당 40원의 거리비례 요금제를 제시하였다. 신설노선 대부분이 민간자본투자로 건설될 예정이라서 경기도의 안건보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안건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노선 목록 ==
==노선현황==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A노선 ===
! 색상
[[일산신도시]]의 킨텍스(현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인근)와 [[동탄신도시]]에 위치한 [[동탄역]]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유사하게 서울의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가로지르는 선형이다. 최초에 제안된 노선으로 실질적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그 자체인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삼성역|삼성]]~[[수서역|수서]]~[[동탄역|동탄]] 구간은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라는 명칭으로 선행 추진<ref>이에 대비하여 현재 [[동탄역]] 승강장 외선은 가벽으로 막혀있긴 하지만 이미 광역급행철도 대응 고상홈이 설치된 상태로, 개통 이후 가벽을 철거하고 환승 게이트를 설치하면 간편하게 [[SRT]]로 환승도 가능하게 된다.</ref>되었고, [[2017년]] [[3월]] 착공하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들 중 가장 먼저 개통하게 될 예정이다. 나머지 구간인 운정~삼성 구간은 [[2018년]] [[12월 27일]] 착공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파주 운정~강남 삼성 ‘GTX-A 노선’ 착공…2023년 개통 목표|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03516&ref=A|출판사=KBS NEWS|날짜=2018-12-27}}</ref>
! 노선명
 
! 기점
[[파주시]]에서도 A노선의 종점을 운정신도시로 연장해 달라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요구했으며, 예비타당성 검토 결과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나서 연장안이 확정되어 계획에 반영되었다.
! 종점
 
! 역 수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 거리
|-
! 운영자
! 노<br>선
! km
! 역 번호
! 역명
! 접속 노선
|-
| rowspan="7" style="width: 1.2em;" | 신설
|
|
| 운정
|
|-
|
|
| 킨텍스
|
|-
|
|
| [[대곡역 (고양)|대곡]]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
|
| [[연신내역|연신내]]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
|
| [[서울역|서울]]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GTX B노선
|-
|
|
| [[삼성역|삼성]]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 />GTX  B노선
|-
| rowspan="2" |
| rowspan="2" | 
| rowspan="2" |  [[수서역|수서]]
| rowspan="2"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GTXA}}; color: white;" | A
| rowspan="4" | [[수서평택고속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A노선]]
| 운정역
| [[동탄역]]
| style="text-align: right;" | 10개
| style="text-align: right;" | 82.1 km
| [[서울교통공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GTXB}}; color: white;" | B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B노선]]
|
| 송도
| [[성남역|성남]]
| [[마석역|마석]]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 style="text-align: right;" | 13개
| style="text-align: right;" | 82.7 km
| 미정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GTXC}}; color: white;" | C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C노선]]
|
| [[덕정역|덕정]]
| 용인
| [[수원역|수원]]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style="text-align: right;" | 10개
| style="text-align: right;" | 74.8 km
| 미정
|-
|-
|
|
| [[동탄역|동탄]]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
|}
|}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D노선) ===
===B노선===
[[문재인 정부]]의 [[3기 신도시]] 건설계획과 연관되어 교통망 확충에 대한 구상을 담은 광역교통 2030 비전 선포<ref>[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02966622658496&mediaCodeNo=257&OutLnkChk=Y GTX D노선 ‘솔솔’…시발점 어디?]</ref>에 언급된 내용이다. 정확한 노선 확정은 아니지만 [[서울 지하철 9호선]]과 유사한 성격으로 [[한강]] 이남 동서축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구상중이다. [[인천광역시]] [[인천 서구|서구]]<ref>해당 지역(김포시 양촌읍 일부도 포함)에 쓰레기 [[수도권 매립지]]가 있어서 지역주민과 인천시는 보상대책의 일환으로 GTX D노선의 유치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ref>, [[김포시]] [[한강신도시]]를 경유하여 서울 [[서울 강서구|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여의도), [[동작구]], [[강남구]], [[강동구]]를 거쳐 [[하남시]]([[미사강변도시]])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생각되었다. 이를 두고 인천광역시 [[청라국제도시]], [[성남시]], [[이천시]] 등 지자체들의 유치전이 상당히 치열한 양상을 보였다.
[[2020년]] 착공 예정인 노선. 경춘선과 중앙선의 [[마석역|마석]]~[[망우역|망우]] 구간을 공용하며, [[청량리역]], [[서울역]], [[용산역]], [[여의도역]]거쳐 [[인천광역시]]의 송도국제도시와 연결되는 노선이다. 서울의 북동쪽에서 진입하여 남서쪽으로 빠져나가는 형태의 노선으로, A선과는 서울역에서 교차할 예정이다. 중앙선의 선로용량 문제로 광역전철 편성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남양주 및 서울 동북부 지역 주민들의 편의성이 증대될 전망.


이후 인천광역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시작하여 청라국제도시 등 인천시가지를 관통하여 김포에서 내려오는 노선과 접속하는 Y자형 노선을 제안하는 등 지자체들간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노선이 제시되었지만...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
! 노<br>선
! km
! 역 번호
! 역명
! 접속 노선
|-
| rowspan="5" style="width: 1.2em;" | [[경춘선]]
|
|
| [[마석역|마석]]
| rowspan="4"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
|
|
| [[평내호평역|평내호평]]
|-
|
|
| [[왕숙역|왕숙]]
|-
|
|
| [[별내역|별내]]
|-
| rowspan="2" |
| rowspan="2" |
| rowspan="2" | [[망우역|망우]]
| rowspan="2"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
| [[중앙선]]
|-
| rowspan="9" | 신설
|
|
| [[청량리역|청량리]]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GTX C노선
|-
|
|
| [[서울역|서울]]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철도]]<br />GTX A노선
|-
|
|
| [[용산역|용산]]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여의도역|여의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
|
| [[신도림역|신도림]]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
|
| 당아래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br /><small>([[부천종합운동장역|부천종합운동장]])</small>
|-
|
|
| [[부평역|부펑]]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
|
| [[인천시청역|인천시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2}}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
|
| 송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br /><small>([[인천대입구역|인천대입구]])</small>
|}


[[2021년]] [[4월 22일]] 진행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 자리에서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D노선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라는 가칭으로 정해졌으며, 서울시는 진입하지 않고 [[김포시|김포]]와 [[부천시|부천]]을 연결하는 지선 형태로 공개되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10422081351065?input=1195m 강남 안가는 GTX-D…인천 청라·검단·영종 일제히 반발], 연합뉴스, [[2021년]] [[4월 22일]]</ref> 부천종합운동장에서 기존에 건설되는 B노선과 접속하는 형태가 유력하다. 최소 평면환승, 최대 B노선 직결 등 두 가지 형태로 노선 접속이 가능할 전망. 계획이 발표된 후 지자체들의 거센 반발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
===C노선===
[[2019년]] 착공 예정인 노선. 고속철도의 소외지역인 서울 북부 연선에 혜택을 주는 목적이 강하며, 원안상 서울 북부의 주요도시인 [[의정부시|의정부]]에 직접적인 고속철도 서비스가 제공된다. 신선 건설에 막대한 예산소요가 예상되어 의정부에서 청량리까지 구간은 기존 [[경원선]] 구간을, 과천에서 금정까지는 기존 [[과천선]] 구간을 공용하는 것으로 예타를 진행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의정부 북쪽 덕정역까지, 금정역 남쪽 수원역까지 기존선을 공용하여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계획대로 건설될 경우 의정부에서 수원까지 일직선으로 이어주는 종단노선이 된다. 다만 A노선, B노선과는 다르게 서울역 등 도심지역은 경유하지 않고, 청량리에서 곧바로 한강을 건너 삼성까지 이어주게 된다.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
|-
! 노<br />선
! 노<br>선
! km
! km
! 역 번호
! 역 번호
! 정거장
! 역명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 rowspan="5" | 신설
| rowspan="5" style="width: 1.2em;"| [[경원선]]
|  
|  
|
|
| [[장기역|장기]]
| [[덕정역|덕정]]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김포}} [[김포골드라인]]
| rowspan="2"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
|
| ''[[검단역|검단]]''
| [[의정부역|의정부]]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2}}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
|
|
|
| [[계양역|계양]]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창동역|창동]]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
|
|
|
| ''[[대장신도시|대장]]''
| [[광운대역|광운대]]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 [[청량리역|청량리]]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GTX B노선
|-
|-
| rowspan="2" | 신설
|  
|  
|
|
| [[부천종합운동장역|부천종합운동장]]
| [[삼성역|삼성]]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 />GTX A노선
|-
|-
! colspan="5"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직결 (미정)
|
|
| [[양재역|양재]]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
|-
|-
| rowspan="2" | [[과천선]]
|
|
| 과천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br /><small>([[정부과천청사역|정부과천청사]])</small>
|-
|
|
| [[금정역|금정]]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경부선]]
|
|
| [[수원역|수원]]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D노선===
[[문재인 정부]]의 [[3기 신도시]] 건설계획과 연관되어 교통망 확충에 대한 구상을 담은 광역교통 2030 비전 선포<ref>[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02966622658496&mediaCodeNo=257&OutLnkChk=Y GTX D노선 ‘솔솔’…시발점 어디?]</ref>에 언급된 내용이다. 정확한 노선 확정은 아니지만 [[서울 지하철 9호선]]과 유사한 성격으로 [[한강]] 이남 동서축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구상중이다. [[인천광역시]] [[서구 (인천광역시)|서구]]<ref>해당 지역(김포시 양촌읍 일부도 포함)에 쓰레기 [[수도권 매립지]]가 있어서 지역주민과 인천시는 보상대책의 일환으로 GTX D노선의 유치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ref>, [[김포시]] [[한강신도시]]를 경유하여 서울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여의도), [[동작구]], [[강남구]], [[강동구]]를 거쳐 [[하남시]]([[미사강변도시]])까지 연결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두고 인천광역시 [[청라국제도시]], [[성남시]], [[이천시]] 등 지자체들의 유치전이 상당히 치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