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전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소녀전선
|게임이름 = 소녀전선<br /><small>少女前线</small>
|원어이름 = {{중국어=|少女前线}}
|글자색  = #fff
|배경색  = #000
|배경색  = #000
|글자색  = #fff
|그림    = <div style="background:black;">[[파일:Girls' Frontline Logo CN.jpg|250px]]<br />[[파일:Girls' Frontline Logo KR.png|250px]]</div>
|그림    = <div style="background:black;">[[파일:Girls' Frontline Logo KR.png|250px]]<br />[[파일:Girls' Frontline Logo CN.jpg|250px]]</div>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배급사   = {{깃발|대만}} Longcheng
|개발사   = {{국기그림|중국}} SUNBORN 네트워크 테크놀러지
|개발사   = {{깃발|중국}} SUNBORN 네트워크 테크놀러지
|배급사   = {{국기그림|대만}} Longcheng
|제작    = [[위종]]
|기획자  = [[위종]]
|작가    =  
|작가    =  
|미술    =  
|미술    =  
|작곡가  =  
|작곡가  =  
|시리즈  =
|출시일  = {{국기그림|중국}} [[2016년]] [[5월 20일]]<br />{{국기그림|대만}}·{{국기그림|홍콩}} [[2017년]] [[1월 18일]]<br />{{국기그림|한국}} [[2017년]] [[6월 30일]]<br />{{국기그림|일본}} [[2018년]] [[8월 1일]]
|종료일  =
|장르    = 전략 시뮬레이션
|장르    = 전략 시뮬레이션
|출시일  = {{깃발|중국}} [[2016년]] [[5월 20일]]<br />{{깃발|대만}}·{{깃발|홍콩}} [[2017년]] [[1월 18일]]<br />{{깃발|한국}} [[2017년]] [[6월 30일]]<br />{{깃발|일본}} [[2018년]] [[8월 1일]]
|종료일  =
|플랫폼  = [[iOS]],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모드    = 싱글플레이
|모드    = 싱글플레이
|언어    =  
|언어    =  
|플랫폼  = [[iOS]],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버전    =
|엔진    =  
|엔진    =  
|시리즈  =  
|이용등급 =  
|이전작  =  
|이전작  =  
|후속작  =  
|후속작  =  
25번째 줄: 26번째 줄:
|비고    =  
|비고    =  
}}
}}
《'''소녀전선'''》({{중국어=|少女前线}})은 중국 SUNBORN 네트워크 테크놀러지에서 개발한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소셜 카드 게임이다. [[총]]을 주제로 하며, 2017년 6월 말 대한민국에도 서비스를 개시했다. 일본에는 중국보다 2년 뒤에 《'''돌즈 프론트라인'''》(ドールズフロントライン)이라는 제목으로 출시했다.
《'''소녀전선'''》(少女前线)은 중국 SUNBORN 네트워크 테크놀러지에서 개발한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소셜 카드 게임이다. [[총]]을 주제로 하며, 2017년 6월 말 대한민국에도 서비스를 개시했다. 일본에는 중국보다 2년 뒤에 《'''돌즈 프론트라인'''》(ドールズフロントライン)이라는 제목으로 출시했다.


__TOC__
__TOC__
37번째 줄: 38번째 줄:


== 줄거리 ==
== 줄거리 ==
{{참고|소녀전선/스토리}}
{{참조|소녀전선/스토리}}
* [http://girlsfrontline.co.kr/preorder/story/ 사전등록 스토리 소개]
* [http://girlsfrontline.co.kr/preorder/story/ 사전등록 스토리 소개]
2045년,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발발한 [[제3차 세계대전]]으로 정부가 쇠락하면서 [[민간군사기업]](PMC)이 치안을 대신 담당하고, 인간의 희생을 대신할 전투 로봇을 생산하고 있었다. 2061년, PMC 중 하나인 철혈공조공단(이하 철혈)에서 미지의 사건이 발생하고, 오퍼레이터가 [[인공지능|AI]]에게 전권을 넘기면서 AI가 시설 내 모든 인간을 죽인다. 이때부터 철혈은 인간의 통제에서 벗어나 주변 PMC의 구역을 침범하며 세력을 넓히기 시작한다.
2045년,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발발한 [[제3차 세계대전]]으로 정부가 쇠락하면서 [[민간군사기업]](PMC)이 치안을 대신 담당하고, 인간의 희생을 대신할 전투 로봇을 생산하고 있었다. 2061년, PMC 중 하나인 철혈공조공단(이하 철혈)에서 미지의 사건이 발생하고, 오퍼레이터가 [[인공지능|AI]]에게 전권을 넘기면서 AI가 시설 내 모든 인간을 죽인다. 이때부터 철혈은 인간의 통제에서 벗어나 주변 PMC의 구역을 침범하며 세력을 넓히기 시작한다.
44번째 줄: 45번째 줄: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지휘관 ({{중국어=|指揮官}})
;지휘관 (指揮官)
:플레이어의 분신. 그리폰&크루거의 신임 전술지휘관이다.
:플레이어의 분신. 그리폰&크루거의 신임 전술지휘관이다.


== 용어 ==
== 용어 ==
;그리폰&크루거 ({{중국어=|格里芬&克魯格}} / GRIFON & KRYUGER)
;그리폰&크루거 (格里芬&克魯格 / GRIFON & KRYUGER)
:플레이어가 소속된 다국적 민간군사기업. 첩보요원 그리폰과 퇴역 군인 크루거가 2053년에 설립했다.
:플레이어가 소속된 다국적 민간군사기업. 첩보요원 그리폰과 퇴역 군인 크루거가 2053년에 설립했다.


;자율인형 ({{중국어=|自律人形}})
;자율인형 (自律人形)
:인간과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로봇]]([[안드로이드]]).
:인간과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로봇]]([[안드로이드]]).


;전술인형 ({{중국어=|戰術人形}})
;전술인형 (戰術人形)
:전투 행동에 특화된 자율인형. 게임 내에서 총기의 이름으로 불리는 캐릭터들이 바로 이 전술인형이다.
:전투 행동에 특화된 자율인형. 게임 내에서 총기의 이름으로 불리는 캐릭터들이 바로 이 전술인형이다.


458번째 줄: 459번째 줄:


==== 군수지원 ====
==== 군수지원 ====
{{참고|소녀전선/군수지원}}
{{참조|소녀전선/군수지원}}
게임 내 자원을 얻기 위한 부분이다.
게임 내 자원을 얻기 위한 부분이다.


483번째 줄: 484번째 줄:


== 이벤트 ==
== 이벤트 ==
{{참고|소녀전선/이벤트}}
{{참조|소녀전선/이벤트}}
《소녀전선》의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소녀전선》의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출석 보너스: 특정 기간동안 출석한 모든 플레이어에게 통상 출석 보너스와 별도로 특별 출석 보너스를 지급하는 것. 대표적인 예시로 한국 서버의 "사전등록 20만 명 돌파 보너스"가 있으며 G36과 "꼬마 메이드" 코스튬을 지급했다.
* 출석 보너스: 특정 기간동안 출석한 모든 플레이어에게 통상 출석 보너스와 별도로 특별 출석 보너스를 지급하는 것. 대표적인 예시로 한국 서버의 "사전등록 20만 명 돌파 보너스"가 있으며 G36과 "꼬마 메이드" 코스튬을 지급했다.
498번째 줄: 499번째 줄:
*: 중국 본토보다 월등한 성적을 기록해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중국 본토보다 월등한 성적을 기록해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한국
* 한국
*: {{참고|소녀전선/한국 서비스}}
*: {{참조|소녀전선/한국 서비스}}
*: 2017년 6월 말 출시를 예고하고 3일간 [[베타 테스트|클로즈드 베타 테스트]](CBT)를 진행했다. 사전등록인원은 20만 명이 넘었으며, 첫 서버 점검 직후에는 플레이어가 순간적으로 쏠려 서버가 마비되어 점검이 연장되는 등 사람이 붐비는 모양새이며, 2017년 7월에 현재 구글 플레이 인기 게임 상위권(5위 이내)을 유지하고 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70721/85469650/1 조광민 기자의 '주간 모바일게임의 맥(脈)' 이 정도면 무섭다 '소녀전선'], 동아일보, 2017.07.21.</ref> 업계 부동의 상위권인 리니지 IP와 맞먹는 매출을 보이면서 업계는 많이 당혹해했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7224006v  '소녀전선', 덕후 게임은 안 된다고요?], 한국경제, 2017.07.22.</ref> 일례로 국가별로 벌어들인 수익을 계산했을 때, 한국이 압도적 1위를 지속할 정도의 수익률이 발생한다.
*: 2017년 6월 말 출시를 예고하고 3일간 [[베타 테스트|클로즈드 베타 테스트]](CBT)를 진행했다. 사전등록인원은 20만 명이 넘었으며, 첫 서버 점검 직후에는 플레이어가 순간적으로 쏠려 서버가 마비되어 점검이 연장되는 등 사람이 붐비는 모양새이며, 2017년 7월에 현재 구글 플레이 인기 게임 상위권(5위 이내)을 유지하고 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70721/85469650/1 조광민 기자의 '주간 모바일게임의 맥(脈)' 이 정도면 무섭다 '소녀전선'], 동아일보, 2017.07.21.</ref> 업계 부동의 상위권인 리니지 IP와 맞먹는 매출을 보이면서 업계는 많이 당혹해했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7224006v  '소녀전선', 덕후 게임은 안 된다고요?], 한국경제, 2017.07.22.</ref> 일례로 국가별로 벌어들인 수익을 계산했을 때, 한국이 압도적 1위를 지속할 정도의 수익률이 발생한다.
*: 세계의 총기가 모인 게임인 만큼 한국 총기 추가를 예고하고,<ref>[http://gamefocus.co.kr/detail.php?number=72586&thread=22r04 '소녀전선'의 흥행 이유와 향후 전개, 퍼블리셔에게 직접 들어봤다], 게임포커스, 2017.07.10.</ref> 첫 타자인 권총 K5를 시작으로 차차 추가되었다.
*: 세계의 총기가 모인 게임인 만큼 한국 총기 추가를 예고하고,<ref>[http://gamefocus.co.kr/detail.php?number=72586&thread=22r04 '소녀전선'의 흥행 이유와 향후 전개, 퍼블리셔에게 직접 들어봤다], 게임포커스, 2017.07.10.</ref> 첫 타자인 권총 K5를 시작으로 차차 추가되었다.
512번째 줄: 513번째 줄:
|이미지 = Girl's Frontline The Song of Dolls main visual zh.png
|이미지 = Girl's Frontline The Song of Dolls main visual zh.png
|이름 = [[소녀전선 인형의 노래]] (少女前线-人形之歌-)
|이름 = [[소녀전선 인형의 노래]] (少女前线-人形之歌-)
|만화 = Ling
|만화 = LING
|설명 = 게임 본편의 만화판. 원작 게임의 메인 스토리를 만화로 재구성했다. [[비리비리]]의 웹코믹 서비스 비리비리 만화에서 2018년 11월 23일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일본어판 또한 [[이치진샤]]의 [[월간 코믹 REX]]에서 2019년 9월호부터 2023년 5월까지 전 35화가 연재되었다.
|설명 = 게임 본편의 만화판. 원작 게임의 메인 스토리를 만화로 재구성했다. 중국의 웹 사이트 빌리빌리 만화에서 2018년 11월 23일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일본어판 또한 [[이치진샤]]의 [[월간 코믹 REX]]에서 2019년 9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중국어판의 단행본은 별도로 출간되지 않았고, 일본어판이 REX 코믹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은 중국어판은 별도로 출간되지 않았고, 일본어판이 REX 코믹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
}}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파일:Dolls Frontline (anime) logo.webp|150px|섬네일|TV 시리즈 로고]]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치유편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KJJ Animation<br />{{배지|방영 기간}} 2019년 7월 28일~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KJJ Animation<br />{{배지|방영 기간}} 2019년 7월 28일~2019년 10월 6일
:쇼트 애니메이션.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광란편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KJJ Animation<br />{{배지|방영 기간}} 2019년 10월 13일~2019년 12월 29일
:쇼트 애니메이션.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치유편 2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KJJ Animation<br />{{배지|방영 기간}} 2020년 10월 7일~2020년 12월 16일
:쇼트 애니메이션.
:쇼트 애니메이션.


;[[소녀전선 (애니메이션)|소녀전선]]
;[[돌즈 프론트라인 (애니메이션)|돌즈 프론트라인]]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아사히 프로덕션]]<br />{{배지|방영 기간}} 2022년 1월~3월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아사히 프로덕션]]<br />{{배지|방영 기간}} 2021년~
:TV 시리즈.
:TV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