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공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집합론]]
<!--{{학술}}[[분류:집합론]]-->
{{인용문|The Axiom of Choice is necessary to select a set from an infinite number of socks, but not an infinite number of shoes.|Bertrand Russell}}
{{인용문|No one will drive us from the '''paradise''' which Cantor created for us.|David Hilbert (1926)}}
{{인용문|The axiom gets its name not because mathematicians prefer it to other axioms.|A. K. Dewdney}}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 동치</ref>, 임의의 [[벡터공간]]의 [[기저]]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ref>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됨|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나 [[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를 가정하는 데에 조심스러운 수학자가 많다.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 동치</ref>, 임의의 [[벡터공간]]의 [[기저]]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ref>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됨|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나 [[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를 가정하는 데에 조심스러운 수학자가 많다.


7번째 줄: 6번째 줄:
큰 상자 안에 작은 상자가 여러 개 있고, 그 각각의 작은 상자에 동전이 한 개 이상씩 들어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각각의 상자에서 동전을 '''하나씩''' 골라 주머니 안에 넣을 수 있을까?
큰 상자 안에 작은 상자가 여러 개 있고, 그 각각의 작은 상자에 동전이 한 개 이상씩 들어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각각의 상자에서 동전을 '''하나씩''' 골라 주머니 안에 넣을 수 있을까?


... 당연하다. 그냥 뽑으면 되지 않는가!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뽑아보면 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상자가 ''유한''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만약 그 작은 상자가 무한 개(?) 있다면, 우리는 그 동전들을 골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사실 현실의 상황으로 생각하는 것은 nonsense이다. 상자가 [[유한론|무한 개 있을 리가 없다!]])
... 당연하다. 그냥 뽑으면 되지 않는가!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뽑아보면 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상자가 ''유한''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만약 그 작은 상자가 무한 개(?) 있다면, 우리는 그 동전들을 골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사실 현실의 상황으로 생각하는 것은 nonsense이다. 상자가 [[유한론|무한 개 있을 리가 없다!]] (?))


==진술==
==진술==
다음 동치인 명제 중 하나를 '''선택 공리'''('''AC''' 또는 '''AoC''')라고 한다:
다음 동치인 명제 중 하나를 '''선택 공리'''('''AC''')라고 한다:
* <math>\mathcal A</math>를 mutually disjoint한 공이 아닌 집합들의 족이라 하자. 그렇다면 <math>\mathcal A</math>의 각각의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원소-씩으로 구성된 집합이 존재한다.
* <math>\mathcal{A}</math>를 mutually disjoint한 공이 아닌 집합들의 족이라 하자. 그렇다면 <math>\mathcal{A}</math>의 각각의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원소-씩으로 구성된 집합이 존재한다.
* <math>\mathcal A = \{A_i\}_{i\in I}</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I\ne \emptyset</math>이면, <math>\prod_{i \in I} A_i \ne \emptyset</math>이다.
* <math>\mathcal{A} = \{A_i\}_{i\in I}</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I\ne \emptyset</math>이면, <math>\prod_{i \in I} A_i \ne \emptyset</math>이다.
* <math>\mathcal A = \{A_i\}_{i\in I}</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I\ne \emptyset</math>이면, 어떤 집합 <math>C</math>가 존재하여 <math>\forall i \in I [C \cap A_i \text{ is a singleton}]</math>이다. 이때 <math>C</math>를 '''선택자'''(selector)라고 하기도 한다.
* <math>\mathcal{A} = \{A_i\}_{i\in I}</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I\ne \emptyset</math>이면, 어떤 집합 <math>C</math>가 존재하여 <math>\forall i \in I [C \cap A_i \text{ is a singleton}]</math>이다.
* '''선택함수'''(choice function)가 존재한다. 더욱 명시적으로, 주어진 집합 <math>A</math>에 대하여, 함수 <math>F:\mathcal P(A) \to A</math>가 존재하여 <math>\forall X \subseteq A[X\ne \emptyset \Rightarrow F(X) \in X]</math>이다.
* '''선택함수'''(choice function)가 존재한다. 더욱 명시적으로, 주어진 집합 <math>A</math>에 대하여, 함수 <math>F:\mathcal P(A) \to A</math>가 존재하여 <math>\forall X \subseteq A[X\ne \emptyset \Rightarrow F(X) \in X]</math>이다.
*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임의의 집합족 <math>\mathcal A</math>에 대하여, <math>\emptyset \notin \mathcal A\implies \exists f\colon \mathcal A\rightarrow \bigcup \mathcal A\left[\forall X\in \mathcal A\,(f(X)\in X)\right]</math>이다.
*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임의의 집합족 <math>\mathcal A</math>에 대하여, <math>\emptyset \notin \mathcal A\implies \exists f\colon \mathcal A\rightarrow \bigcup \mathcal A\left[\forall X\in \mathcal A\,(f(X)\in X)\right]</math>이다.
== 선택 공리의 변형 ==
[[파일:Acchart.gif|섬네일|AC로 올라 갈수록 강한 명제이다.]]
이 목록은 <small>{{서적 인용|저자= Herrlich, Horst|제목= Axiom of Choice|출판사=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1876. Springer|날짜= 2006|isbn= 3-540-30989-6}}</small>에 실려 있다.<ref>[http://midoritetori.tistory.com/51 수학공책 :: 선택공리 목록]</ref>
* CC = AC<sub>ω</sub>: 가산 선택 공리(Axiom of '''C'''ountable '''C'''hoice). 가산 개의 집합의 족에 대한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 AC(fin): 유한집합들의 임의 족에 대한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 AC(n): 원소 <math>n</math> 개인 집합들의 임의 족에 대한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 AMC: 다중 선택 공리('''A'''xiom of '''M'''ultiple '''C'''hoice). 각 집합에서 한 개만 뽑는 거라면 몰라도, 유한 개 정도는 뽑을 수 있다. <math>\{A_i\}_{i\in I}</math>가 집합족일 때, 유한집합들의 족 <math>\{\mathcal F_i\}_{i\in I}</math>이 존재하여 <math>\forall i \in I \; \mathcal F_i \subseteq A_i</math>
* KW: 킨나-바그너 선택 원리(Kinna–Wagner Selection Principle). <math>\{X_i\}_{i\in I}</math>가 원소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한 집합들의 족일 때 집합족 <math>\{Y_i\}_{i\in I}</math>가 있어 <math>Y_i</math>는 <math>X_i</math>의 진부분집합이다.
* CC('''R'''): 실수들로 이뤄진 가산집합들의 족에 대한 선택공리
*CC('''Z'''): <math>(X_n, \le_n)_{n<\omega}</math>가 정수 집합 <math>\mathbb Z</math>과 순서동형인 순서집합들의 족일 때 그 곱 <math>\prod_n X_n</math>은 nonempty하다.
* CC(fin): 유한집합들의 가산 족에 대한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 CC(n): 원소 n개인 집합들의 가산 족에 대한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 CMC: 다중 가산 선택 공리(Axiom of Countable Multiple Choice). <math>\{A_n\}_{n<\omega}</math>가 가산 집합족일 때, 유한집합들의 족 <math>\{\mathcal F_n\}_{n<\omega}</math>가 있어 <math>\mathcal F_n\subseteq A_n</math> for all <math>n<\omega</math>이다.
* DC: 의존 선택 공리(Axiom of Dependent Choice). X가 집합이고 <math>\mathcal R</math>이 X 위의 관계이며 <math>\forall x\exists y (x \mathcal R y)</math>이면 <math>x_n \mathcal R x_{n+1}</math>인 X 위의 수열 <math>(x_n)_{n<\omega}</math>가 존재한다. 대충 말하면, 위로 막혀 있지 않은 집합에서는 증가하는 수열을 고를 수 있다는 것이다. <ref>주어진 관계가 순서 관계일 필요는 없다.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ref>
* PCC: 부분 가산 선택 공리(Axiom of Partial Countable Choice). CC와 동치인 공리로, <math>(X_n)_{n<\omega}</math>가 공집합이 아닌 집합들의 족일 때 무한집합 <math>M\subseteq\omega</math>가 있어 <math>\prod_{m \in M}X_m \ne \emptyset</math>이다. (CC와 동치이다.)
* Fin: 임의의 무한집합은 [[데데킨트 무한]]이다.
*Fin('''R'''): 실수 집합의 임의의 무한 부분집합은 데데킨트 무한이다.
* Fin(lin): 임의의 무한 [[선형 순서 집합]](linearly ordered set)은 데데킨트 무한이다.
* PIT: 불 소 아이디얼 정리(Boolean prime ideal theorem). [[불 대수]]에 대한 [[강한 소 아이디얼 정리]]이다. 불 대수 <math>B</math>와 그 아이디얼 <math>\mathfrak i</math>, <math>B</math>의 [[필터 (수학)|필터]] <math>\mathcal F</math>에 대하여 <math> \mathfrak i</math>와 <math>\mathcal F</math>가 서로 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math>\mathfrak i \subseteq \mathfrak p</math>이고 <math>\mathcal F</math>와 서로 소인 <math>B</math>의 소 아이디얼 <math>\mathfrak p</math>가 존재한다.
* UFT: 초필터 정리(Ultrafilter theorem). 임의의 무한집합 위의 임의의 [[필터]]는 [[초필터]]로 확장될 수 있다. PIT와 동치이다.
* UFT('''N'''): 자연수 집합 위의 임의의 필터는 초필터로 확장될 수 있다.
* WUF: 약한 초필터 원리(Weak ultrafilter principle). 임의의 무한집합은 free ultrafilter를 갖는다.
* WUF('''N'''): 자연수 집합은 free ultrafilter를 갖는다.
* WUF(?): free ultrafilter를 갖는 집합이 존재한다.
* OP: 순서 원리(Ordering principle). 임의의 집합은 전순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 OEP: 순서 확장 원리(Ordering extension principle). 임의의 [[반순서 관계]]는 선형 순서 관계로 확장될 수 있다.
* AH(α): Aleph Hypothesis. <math>\aleph_{\alpha + 1 } = 2^{\aleph_\alpha}</math>. α = 0일 때 [[연속체 가설]](CH)이고, for every ordinal <math>\alpha</math>일 때 [[일반화된 연속체 가설]](GCH)이다.
* CUT: 가산 합집합 정리(Countable Union Theorem). 가산-이하(at most countable)의 집합을 가산-이하 개 합해도 가산-이하인 집합이다.


==선택 공리의 직관적/반직관적인 결과==
==선택 공리의 직관적/반직관적인 결과==
76번째 줄: 45번째 줄:
The first uncountable ordinal \omega_1 can be singular.
The first uncountable ordinal \omega_1 can be singular.
More generally, it can be that every uncountable \aleph_\alpha is singular. Hence, there are no infinite regular uncountable well-ordered cardinals.
More generally, it can be that every uncountable \aleph_\alpha is singular. Hence, there are no infinite regular uncountable well-ordered cardinals.


하지만 선택공리를 가정하게 되면, 실수 <math>\mathbb R</math>의 르벡 비가측인 집합이 생기게  
하지만 선택공리를 가정하게 되면, 실수 <math>\mathbb R</math>의 르벡 비가측인 집합이 생기게  
83번째 줄: 53번째 줄:


There can be graphs all of whose cycles have even length and whose chromatic number is greater than two. In fact, let GG be the graph whose vertices are the real numbers, with xx and yy adjacent if |x−y|=2–√+r|x−y|=2+r, where rr is rational. Then GG has only even length cycles. Assuming that every subset of RR is measurable (which is consistent with ZF), then the chromatic number of GG is uncountable. This is a result of Shelah and Soifer. If we assume the Axiom of Choice, then the chromatic number of GG is two.
There can be graphs all of whose cycles have even length and whose chromatic number is greater than two. In fact, let GG be the graph whose vertices are the real numbers, with xx and yy adjacent if |x−y|=2–√+r|x−y|=2+r, where rr is rational. Then GG has only even length cycles. Assuming that every subset of RR is measurable (which is consistent with ZF), then the chromatic number of GG is uncountable. This is a result of Shelah and Soifer. If we assume the Axiom of Choice, then the chromatic number of GG is two.


-----------이하 AC일 때의 문제
-----------이하 AC일 때의 문제
98번째 줄: 70번째 줄:


My feeling about the axiom of choice is pragmatic; it is useful and doesn't seem to get us in trouble so I have no qualms using it (even though I don't believe in it fully). I have also a picture of sets which could be used to justify this contradictory (I am not trying to formalise it so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 competing model of mathematics). To me all elements of a set are not on equal footing. Taking my cue from algebraic geometry, there are closed points which are "real" elements but also non-closed points. Hence, the set of embeddings of the pp-adic numbers in CC is under the axiom of choice a non-empty set but in my opinion it does not contain any closed points. (In fact all its elements are probably generic, i.e., their closure is the whole set.) As long as you only deal with "concrete" objects (which should be closed in any set in which they are contained but maybe should be something more) the conclusions about them that are obtained by using the axiom of choice should be OK.
My feeling about the axiom of choice is pragmatic; it is useful and doesn't seem to get us in trouble so I have no qualms using it (even though I don't believe in it fully). I have also a picture of sets which could be used to justify this contradictory (I am not trying to formalise it so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 competing model of mathematics). To me all elements of a set are not on equal footing. Taking my cue from algebraic geometry, there are closed points which are "real" elements but also non-closed points. Hence, the set of embeddings of the pp-adic numbers in CC is under the axiom of choice a non-empty set but in my opinion it does not contain any closed points. (In fact all its elements are probably generic, i.e., their closure is the whole set.) As long as you only deal with "concrete" objects (which should be closed in any set in which they are contained but maybe should be something more) the conclusions about them that are obtained by using the axiom of choice should be OK.


The Axiom of Determinacy (AD) fails.
The Axiom of Determinacy (AD) fails.
108번째 줄: 83번째 줄:


There are apparently many set theorists that agree with this assessment, since they try to rescue AD as relativized to L(R). That the relative consistency strength of this statement is equivalent to that of large cardinals is considered good evidence that those large cardinals are, in fact, consistent. More precisely, ZF + AD is consistent iff ZFC + "there are infinitely many Woodin cardinals" is consistent, and ADL(R) is outright provable in ZFC + "there is a measurable cardinal which is greater than infinitely many Woodin cardinals".
There are apparently many set theorists that agree with this assessment, since they try to rescue AD as relativized to L(R). That the relative consistency strength of this statement is equivalent to that of large cardinals is considered good evidence that those large cardinals are, in fact, consistent. More precisely, ZF + AD is consistent iff ZFC + "there are infinitely many Woodin cardinals" is consistent, and ADL(R) is outright provable in ZFC + "there is a measurable cardinal which is greater than infinitely many Woodin cardinals".


공사중
공사중
-->
-->  


==선택 공리와 동치인 유명한 명제들==
==선택 공리와 동치인 유명한 명제들==
누가 뭐래도, 제일 중요한 것은 [[초른의 보조정리|'''Zorn's Lemma''']]와 '''[[정렬 원리]]'''이다. 이와 함께, 다음과 같은 동치인 명제들이 알려져 있다.
누가 뭐래도, 제일 중요한 것은 [[초른의 보조정리|'''Zorn's Lemma''']]와 '''[[정렬 원리]]'''이다. 이와 함께, 다음과 같은 동치인 명제들이 알려져 있다.
이하, '''[[ZF]]를 가정한다.'''


* [[집합론]]
* [[집합론]]
**[[정렬 원리]]: 모든 집합은 정렬될(well-ordered) 수 있다.
**[[정렬 원리]]: 모든 집합은 정렬될(well-ordered) 수 있다.  
**[[타르스키의 선택 정리]]: 임의의 무한집합 <math>A</math>에 대해서, <math>A</math>와 <math>A\times A</math> 사이에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즉 둘은 대등(equipotent)하고, 둘의 [[기수]](cardinality)는 같다. 따라서 다음 명제와 AC가 동치이다: finite <math>\lambda < \kappa := |A|</math>에 대하여, <math>|A| = \kappa = \kappa^\lambda = |A|^\lambda</math>이다.
**[[타르스키의 선택 정리]]: 임의의 무한집합 <math>A</math>에 대해서, <math>A</math>와 <math>A\times A</math> 사이에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즉 둘은 대등(equipotent)하고, 둘의 [[기수]](cardinality)는 같다. 따라서 다음 명제와 AC가 동치이다: finite <math>\lambda < \kappa := |A|</math>에 대하여, <math>|A| = \kappa = \kappa^\lambda = |A|^\lambda</math>이다.
**[[기수]]의 [[삼분성질]]: 기수 사이의 순서 관계는 linear ordering이다. 즉, 임의의 두 집합 <math>A</math>와 <math>B</math>가 있으면, <math>|A| < |B|</math>, <math>|A| = |B|</math>, <math>|A| >|B|</math> 중 하나이다.
**[[기수]]의 [[삼분성질]]: 기수 사이의 순서 관계는 linear ordering이다. 즉, 임의의 두 집합 <math>A</math>와 <math>B</math>가 있으면, <math>|A| < |B|</math>, <math>|A| = |B|</math>, <math>|A| >|B|</math> 중 하나이다.
** 공집합이 아닌 집합들의 카테시언 곱은 공집합이 아니다. (당연해 보이지만 선택 공리와 동치이다!)
** [[쾨니그 정리 (집합론)|쾨니그 정리]]: 작은 것들의 합은 큰 것들의 곱보다 작다. 즉, <math>\kappa_i < \lambda_i</math>이면 <math>\sum_i \kappa_i < \prod_i \lambda_i</math>이다.
** [[쾨니그 정리 (집합론)|쾨니그 정리]]: 작은 것들의 합은 큰 것들의 곱보다 작다. 즉, <math>\kappa_i < \lambda_i</math>이면 <math>\sum_i \kappa_i < \prod_i \lambda_i</math>이다.
** 모든 전사 함수는 우역원을 가진다.
** 모든 전사 함수는 우역원을 가진다.
126번째 줄: 102번째 줄:
**[[초른의 보조정리]]: 모든 사슬(전순서인 부분집합)이 상한을 가지는 poset(반순서집합)은 극대원을 갖는다.
**[[초른의 보조정리]]: 모든 사슬(전순서인 부분집합)이 상한을 가지는 poset(반순서집합)은 극대원을 갖는다.
**[[하우스도르프 극대 원리]]: 모든 poset에 대하여, 극대의 전순서 부분집합이 존재하여 모든 전순서 부분집합이 극대 전순서 부분집합에 포함된다. 극대 전순서 부분집합의 존재성만을 진술한 것은 ZF 위에서 AC와 동치이다.
**[[하우스도르프 극대 원리]]: 모든 poset에 대하여, 극대의 전순서 부분집합이 존재하여 모든 전순서 부분집합이 극대 전순서 부분집합에 포함된다. 극대 전순서 부분집합의 존재성만을 진술한 것은 ZF 위에서 AC와 동치이다.
**[[투키-타이히뮐러 보조정리]](Tukey-Teichmüller lemma, 또는 Tukey's lemma): 임의의 유한 특성을 갖는 집합족은 <math>\subseteq</math>-극대 원소를 갖는다. 여기서 집합족 <math>\mathscr F</math>가 유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은, <math>A \in \mathscr F \Longleftrightarrow</math>모든 <math>A</math>의 유한집합이 <math>\in \mathscr F</math>임을 말한다.
**[[투키-타이히뮐러 보조정리]](Tukey-Teichmüller lemma, 또는 Tukey's lemma): <!--Every non-empty collection of finite character has a maximal element with respect to inclusion.-->
**[[반사슬 원리]]: 모든 poset은 극대 반사슬을 갖는다.
**[[반사슬 원리]]: 모든 poset은 극대 반사슬을 갖는다.
*[[대수학]]
*[[대수학]]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