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확증파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국제정치학]]
[[분류:핵무기]]
[[분류:냉전]]
[[파일:Resized MAD.jpg|thumb|쉽게 이해하는 상호확증파괴]]
[[파일:Resized MAD.jpg|thumb|쉽게 이해하는 상호확증파괴]]
'''상호확증파괴'''(相互確証破壊, {{영어|Mutually Assured Destruction}})는 [[핵무기]] 전략의 이론·개념으로, 핵무기로 무장한 양진영의 너도 죽고 나도 죽는 상황을 말한다. 약칭은 '''MAD'''. 핵무기의 등장과 [[냉전]]으로 유명해진 말이다.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약칭은 MAD. <s>[[차지맨 켄!|잘도 이런 미치광이 개념을!]]</s>. 핵무기의 등장과 [[냉전]]으로 유명해진 말이다.  


[[게임 이론]]에서 시작된 개념이며, 상호확증파괴를 위시한 게임 이론은 사회과학계에서 각종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이다. 비슷하면서 유명한 게임 이론 모델로는 [[게임 이론#죄수의 딜레마|죄수의 딜레마]]가 있다.
[[게임 이론]]에서 시작된 개념이며, 상호확증파괴를 위시한 게임 이론은 사회과학계에서 각종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이다. 비슷하면서 유명한 게임 이론 모델로는 [[게임 이론#죄수의 딜레마|죄수의 딜레마]]가 있다.


== 정의 ==
== 정의 ==
어떠한 핵 선제공격을 받은 경우에도 핵무기에 의한 보복공격으로 확실하게 적에게 ‘견디기 힘든’ 손해를 미칠 수 있는 능력을 ‘확증파괴능력’이라고 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7982&cid=42140&categoryId=42140 확증파괴ㆍ상호확증파괴 : 21세기 정치학대사전]</ref> 한마디로 어느 쪽도 곱게 가시진 않는 상황.
어떠한 핵 선제공격을 받은 경우에도 [[핵무기]]에 의한 보복공격으로 확실하게 적에게 ‘견디기 힘든’ 손해를 미칠 수 있는 능력을 ‘확증파괴능력’이라고 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7982&cid=42140&categoryId=42140 출처]</ref> 한마디로 어느 쪽도 곱게 가시진 않는 상황.  
 
게임 이론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게임 이론]]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22번째 줄: 24번째 줄:
| -∞, -∞
| -∞, -∞
|}
|}
즉, 현상유지(=[[평화]])를 선택하지 않는 이상 무조건 파멸뿐인 것이다. 이렇게 '보장된 파멸'에 대한 공포로 인해 생겨나는 균형상태를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이라고도 한다.<ref name="Nye">Nye, Joseph S., Jr. 2009.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History. New York: Longman.</ref> [[힘의 균형]]과 비슷한 면이 있는 개념. 단, 힘의 균형은 물리적인 힘의 균형에 가깝고, 공포의 균형은 심리적인 균형에 가깝다는 점이 차이.
즉, 현상유지(=평화)를 선택하지 않는 이상 무조건 파멸뿐인 것이다. <s>이건 미친짓이야. 난 여기서 나가야겠어.</s> 이렇게 '보장된 파멸'에 대한 공포로 인해 생겨나는 균형상태를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이라고도 한다.<ref name="Nye">Nye, Joseph S., Jr. 2009.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History. New York: Longman.</ref> [[힘의 균형]]과 비슷한 면이 있는 개념. 단, 힘의 균형은 물리적인 힘의 균형에 가깝고, 공포의 균형은 심리적인 균형에 가깝다는 점이 차이.


== 유래 ==
== 유래 ==
냉전이 한창이던 1960년대, 핵전력에서 [[미국]]이 일방적으로 앞서던 상황은 끝나고 [[소련]]의 핵전력 또한 질과 양 모두에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에 미국의 국방장관 맥나마라(Robert McNamara)는 전쟁 시 발생하게 될 피해를 줄이는 것보다는 전쟁 자체를 억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확증적 파괴'의 개념에 기반한 전략을 적용했다.<ref name="park">박건영. 2011. "핵무기와 국제정치: 역사, 이론, 정책, 그리고 미래." 한국과 국제정치 제27권 제1호, pp. 1-45</ref>
[[냉전]]이 한창이던 1960년대, 핵전력에서 [[미국]]이 일방적으로 앞서던 상황은 끝나고 [[소련]]의 핵전력 또한 질과 양 모두에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에 미국의 국방장관 맥나마라(Robert McNamara)는 전쟁 시 발생하게 될 피해를 줄이는 것보다는 전쟁 자체를 억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확증적 파괴'의 개념에 기반한 전략을 적용했다.<ref name="park">박건영. 2011. "핵무기와 국제정치: 역사, 이론, 정책, 그리고 미래." 한국과 국제정치 제27권 제1호, pp. 1-45</ref>


== 여담 ==
== 여담 ==
[[MD]]는 이 상호확증파괴를 무력화시킨다. 한 쪽만 일방적으로 핵공격을 퍼부을 수 있게 되니까 말이다. [[메이웨더 vs. 파퀴아오|리치가 길어 파퀴아오를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었던 메이웨더]]를 생각해보자. 맞지는 않고 때리기만 한다니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상황인가]]. 국제정치의 경우 때리는 게 주먹이 아니라 [[핵무기]]란 것을 생각해보면 더욱더 ㅎㄷㄷ. 그래서 [[러시아]]나 [[중국]] 측에서는 미국의 MD 계획에 그렇게 심한 거부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미국의 MD를 뚫을 수 있는 [[ICBM]] 개발에 몰두하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카더라]]. <s>아직 MD의 핵미사일 격추 확률은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함정이다.</s>
[[MD]]는 이 상호확증파괴를 무력화시킨다. 한 쪽만 일방적으로 핵공격을 퍼부을 수 있게 되니까 말이다. [[메이웨더 vs. 파퀴아오|리치가 길어 파퀴아오를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었던 메이웨더]]를 생각해보자. 맞지는 않고 때리기만 한다니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상황인가]]. 국제정치의 경우 때리는 게 주먹이 아니라 [[핵무기]]란 것을 생각해보면 더욱더 ㅎㄷㄷ. 그래서 [[러시아]]나 [[중국]] 측에서는 미국의 MD 계획에 그렇게 심한 거부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미국의 MD를 뚫을 수 있는 [[ICBM]] 개발에 몰두하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카더라]]. <s>아직 MD의 핵미사일 격추 확률은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함정이다.</s>


[[SCP 재단|SCP 시리즈]]의 [[SCP-1984]]가 이 상호확증파괴를 소재로 했다. 원래는 상호확증파괴를 위해 소련이 망하면 자동적으로 핵무기를 발사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인데, 무슨 일인지 통제에서 벗어나버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어 있다(...). <s>역시 SCP 재단 세계관답다.</s>
[[SCP 재단|SCP 시리즈]]의 [http://ko.scp-wiki.net/scp-1984 SCP-1984(무서울 수도 있는 이미지 주의)]가 이 상호확증파괴를 소재로 했다. 원래는 상호확증파괴를 위해 [[소련]]이 망하면 자동적으로 핵무기를 발사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인데, 무슨 일인지 통제에서 벗어나버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어 있다(...). <s>역시 SCP 재단 세계관답다.</s>


{{각주}}
{{각주}}
{{국제정치학 둘러보기}}
{{국제정치학 둘러보기}}
{{냉전}}
[[분류:국제정치학]]
[[분류:핵무기]]
[[분류:냉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