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MIT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M'''obile '''I'''nteligent '''T'''erminal by Samsung<br />
'''M'''obile '''I'''nteligence '''T'''erminal by Samsung
{{ㅊ|[[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관련이 없다}}
{{ㅊ|[[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관련이 없다}}


[[스마트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지도 않았던 [[2000년]]대 초반, [[삼성]]이 차세대 복합 단말기를 개발한다면서 내놓은 브랜드다. 정의가 거창하지만, 실상은 [[PDA]]와 [[전화기]]가 혼합된 [[PDA폰]]의 삼성 브랜드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지도 않았던 2000년대 초반, [[삼성]]이 차세대 복합 단말기를 개발한다면서 내놓은 브랜드다. 정의가 거창하지만, 실상은 [[PDA]]와 [[전화기]]가 혼합된 [[PDA폰]]의 삼성 브랜드라고 볼 수 있다. 이 무렵 PDA에 전화 기능을 넣는다면 고작 [[전화킷]]을 추가하는 정도로, 지금 아이폰에 NFC 장치나 추가 배터리를 감싸서 장착하듯이 전화 기능을 붙이는 개념이어서 두께와 무게가 휴대성을 안드로메다로 보낼 정도로 심각하게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MITs 단말기는 전화기와 PDA 기능을 합치고도 당시로선 개념적인 부피와 성능을 나타내서 큰 의미가 있었다.


무렵 PDA에 전화 기능을 넣는다면 고작 [[전화킷]]을 추가하는 정도로, 지금 아이폰에 NFC 장치나 추가 배터리를 감싸서 장착하듯이 전화 기능을 붙이는 개념이어서 두께와 무게가 휴대성을 안드로메다로 보낼 정도로 심각하게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MITs 단말기는 전화기와 PDA 기능을 합치고도 당시로선 개념적인 부피와 성능을 나타내서 큰 의미가 있었다.
해외에선 브랜드를 사용한 흔적이 없다. {{ㅊ|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작품으로 오해할까봐}}


{{ㅊ|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작품으로 오해할까봐}} 해외에서 전면적으로 브랜드를 민 흔적은 없다. 고작해야 Samsung MITs Driver 정도로, 그보다 더 많이 등장한 건 '''삼성 모바일''' 쪽이다.
[[삼성 SPH-M4650]]의 부팅 로고 정도에 남아있다가 이후 [[삼성 옴니아]]에선 완전히 브랜드 사용을 중단했다. 마케팅에서 활용은 사실상 [[삼성 SPH-M4500]]에서 [[애니콜]]과 통합을 시작했기 때문에, 이 때도 끝물이긴 했었다.  


[[삼성 SPH-M4650]]의 부팅 로고 정도에 남아 있다가 이후 [[삼성 옴니아]]에선 완전히 브랜드 사용을 중단했다. 마케팅에서 활용은 사실상 [[삼성 SPH-M4500]]에서 [[애니콜]]과 통합을 시작했기 때문에, 이때도 끝물이긴 했었다.
부팅 때 보이는 로고가 꽤 있어보이는게 [[애니콜]] 로고보다 볼만하긴 하다.
 
부팅 때 보이는 로고가 꽤 있어보이는 게 [[애니콜]] 로고보다 볼만하긴 하다.


'''마이미츠''' 동호회가 삼성 스마트폰 모임으로 유명했었지만, 지금은 운영 중단 상태다.
'''마이미츠''' 동호회가 삼성 스마트폰 모임으로 유명했었지만, 지금은 운영 중단 상태다.
16번째 줄: 14번째 줄:
== 제품 일람 ==
== 제품 일람 ==
=== [[피처폰]] ===
=== [[피처폰]] ===
* [[삼성 SCH-M100]]/SPH-M1000([[1999년]])
* [[삼성 SCH-M100]]/SPH-M1000(1999년)
* [[삼성 SCH-M210]]/SPH-M2100([[1999년]] 세계최초 [[MP3]]폰)
* [[삼성 SCH-M210]]/SPH-M2100(1999년 세계최초 [[MP3]]폰)
* [[삼성 SCH-M220]]/SPH-M2200([[1999년]] 세계최초 [[아날로그 TV]]폰)
* [[삼성 SCH-M220]]/SPH-M2200(1999년 세계최초 [[아날로그 TV]]폰)
* [[삼성 SPH-M2000]]([[2000년#12월|2000년 12월]])
* [[삼성 SPH-M2000]](2000년 12월)


=== [[Palm OS]] 탑재 ===
=== [[Palm OS]] 탑재 ===
* [[삼성 SCH-M330]]([[SKT]], [[2002년#5월|2002년 5월]])
* [[삼성 SCH-M330]]([[SKT]], 2002년 5월)
* [[삼성 SCH-M500]](SKT, [[2004년#9월|2004년 9월]])
* [[삼성 SCH-M500]](SKT, 2004년 9월)
* <del>삼성 SCH-M550, [[삼성 SPH-M5500|SPH-M5500]]</del>([[2005년]] 말 ~ [[2006년]] 초 [[드랍]])
** 나중에 하단 제주 텔레매틱스가 M550 모델명 차지함


=== [[Microsoft Windows Mobile|윈도우 모바일]] 탑재 ===
=== [[Microsoft Windows Mobile|윈도우 모바일]] 탑재 ===
* [[삼성 SCH-M400]]([[SKT]], [[2004년#10월|2004년 10월]]) - [[공중파 TV]] 탑재
* [[삼성 SCH-M400]]([[SKT]], 2004년 10월)
** 삼성 SPH-M4000
* [[삼성 SCH-M420]](SKT, 2005년 3월)
* [[삼성 SCH-M420]](SKT, [[2005년#3월|2005년 3월]])
** 삼성 SPH-M4300([[KTF]], 2005년 3월) - [[Wi-Fi]] 추가
** 삼성 SPH-M4300([[KTF]], [[2005년#3월|2005년 3월]]) - [[Wi-Fi]] 추가
* <s>[[삼성 SPH-M7000]]</s>(2005년 6월 출시 전 [[드랍]])
* <s>[[삼성 SPH-M7000]]</s>([[2005년#6월|2005년 6월]] 출시 전 [[드랍]])
* [[삼성 SCH-M600]](SKT, 2006년 1월) - 국내 최초 [[블루투스]] 탑재 스마트폰, 비터치형
* [[삼성 SCH-M600]](SKT, [[2006년#1월|2006년 1월]]) - 국내 최초 [[블루투스]] 탑재 스마트폰, 비터치형
* <s>[[삼성 SPH-M8000]]</s>(2006년경 [[WiBro]] 내장 테스트 후 [[드랍]])
* <s>[[삼성 SPH-M8000]]</s>([[2006년]]경 [[WiBro]] 내장 테스트 후 [[드랍]])
* [[삼성 SPH-M4500]](KTF, 2006년 10월)
* [[삼성 SPH-M4500]](KTF, [[2006년#10월|2006년 10월]]) - 첫 [[지상파 DMB]] 탑재
* [[삼성 SPH-M8100]](KT, 2007년 4월) - [[WiBro]] 내장 최초 출시폰
** 삼성 SCH-M450(SKT, [[2006년#10월|2006년 10월]])
* [[삼성 블랙잭]](2007년 7월) - 울트라 메시징 I, 국내 스마트폰 중 최초 [[Wi-Fi]], [[블루투스]] 동시 탑재, 최초 [[영상통화]] 지원, 비터치형
* [[삼성 SPH-M8100]](KT, [[2007년#4월|2007년 4월]]) - [[WiBro]] 내장 최초 출시폰
* [[삼성 블랙잭]]([[2007년#7월|2007년 7월]]) - 울트라 메시징 I, 국내 스마트폰 중 최초 [[Wi-Fi]], [[블루투스]] 동시 탑재, 최초 [[영상통화]] 지원, 비터치형
** SCH-M620(SKT)
** SCH-M620(SKT)
** SPH-M6200(KTF)
** SPH-M6200(KTF)
* [[삼성 SPH-M8200]](KT, [[2007년#11월|2007년 11월]]) - [[WiBro]] 탑재
* [[삼성 SPH-M8200]](KT, 2007년 11월) - [[WiBro]] 탑재
* [[삼성 SPH-M4650]]([[LGT]], [[2007년#11월|2007년 11월]])
* [[삼성 SPH-M4650]]([[LGT]], 2007년 11월)
** SPH-M4655(LGT, [[2008년#7월|2008년 7월]]) - 터치 영역 평면화
** SPH-M4655(LGT, 2008년 7월) - 터치 영역 평면화
* [[삼성 SCH-M470]](SKT, [[2008년#3월|2008년 3월]]) - 최초 [[HSPA|HSUPA]] 탑재
* [[삼성 SCH-M470]](SKT, 2008년 3월) - 최초 [[HSPA|HSUPA]] 탑재, {{ㅊ|특징: 묻힘}}
----
* [[삼성 미라지]](2008년 4월) - 울트라 메시징 II, 해외 블랙잭 3의 한국 버전
이 시점에서 부팅 화면에 '''MITs''' 로고가 사라졌다. {{ㅊ|역사 속으로}}
* [[삼성 미라지]]([[2008년#4월|2008년 4월]]) - 울트라 메시징 II
** SCH-M480(SKT)
** SCH-M480(SKT)
** SPH-M4800(KTF)
** SPH-M4800(KTF)
* [[삼성 T*옴니아]] - 유일한 [[위성 DMB]] 탑재
* [[삼성 옴니아]]
** SCH-M490(4GB) / SCH-M495(16GB)(SKT, [[2008년#11월|2008년 11월]])
** T*옴니아 SCH-M490(4GB) / SCH-M495(16GB)(SKT, 2008년 11월)
* [[삼성 SCH-M830]](SKT, [[2008년#12월|2008년 12월]]) - 유일한 SKT [[WiBro]]
** <s>쇼옴니아 SPH-M4900(KTF)</s>(소량 출시 추정)
* [[삼성 옴니아 II]]
* [[삼성 옴니아 II]]
** T*옴니아 II SCH-M710(2GB) / SCH-M715(8GB)(SKT, [[2009년#10월|2009년 10월]])<ref>내장 메모리가 전작보다 줄었다!</ref>
** T*옴니아 II SCH-M710(2GB) / SCH-M715(8GB)(SKT, 2009년 10월)<ref>내장 메모리가 전작보다 줄었다!</ref>
** 쇼옴니아 II SPH-M8400(KT, [[2009년#11월|2009년 11월]]) - [[WiBro]] 탑재
** 쇼옴니아 II SPH-M8400(KT, 2009년 11월) - [[WiBro]] 탑재
** 오즈옴니아 SPH-M7350(LGT, [[2009년#12월|2009년 12월]]) - 최초 [[Microsoft Windows Mobile#윈도우 모바일 6.5|WM6.5]] 탑재
** 오즈옴니아 SPH-M7350(LGT, 2009년 12월) - 최초 [[Microsoft Windows Mobile#윈도우 모바일 6.5|WM6.5]] 탑재
* [[삼성 옴니아팝]]
* [[삼성 옴니아팝]]
** SCH-M720(SKT, [[2009년#11월|2009년 11월]])
** SCH-M720(SKT, 2009년 11월)
** SPH-M7200(KT, [[2009년#11월|2009년 11월]])
** SPH-M7200(KT, 2009년 11월)


=== [[Microsoft Windows|윈도우]] PC ===
=== [[Microsoft Windows|윈도우]] PC ===
* [[삼성 디럭스 미츠]] SPH-P9000(KT, [[2007년#5월|2007년 5월]]) (한정판)
* [[삼성 미츠 디럭스]] SPH-P9000(KT, 2007년 5월)
* [[삼성 와이브로 디럭스 미츠]] SPH-P9200(KT, [[2008년#3월|2008년 3월]])
* [[삼성 와이브로 미츠 디럭스]] SPH-P9200(KT, 2008년 3월)
 
=== [[타이젠(OS)|타이젠]] ===
* {{ㅊ|[[삼성 SCH-M510]]}}([[2009년#12월|2009년 12월]] 출시 전 드랍)
** [[타이젠(OS)|LiMo]] 탑재 폰
 
=== [[Microsoft Windows Embedded Compact|윈도우 CE]] ===
* [[제주 텔레매틱스]] SCH-M550(SKT, [[2009년]] 말)
**[[위성 DMB]], 여행 도우미, 제주 쇼핑, 내비게이션 기능 지원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삼성 갤럭시]] - 지금까지도 유효하고, 인지도에서 이전 브랜드를 다 삼켜버린 [[안드로이드 (OS)|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라인업
* [[삼성 갤럭시]] - 지금까지도 유효하고, 인지도에서 이전 브랜드를 다 삼켜버린 [[안드로이드(OS)|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라인업
* [[삼성 아티브]] - [[윈도우]]와 [[윈도우 폰]] 라인업
* [[삼성 아티브]] - [[윈도우]]와 [[윈도우 폰]] 라인업
* [[삼성 센스]] - 노트북 라인업
* [[삼성 센스]] - 노트북 라인업
83번째 줄: 67번째 줄:


=== 경쟁사 ===
=== 경쟁사 ===
* [[LG 모바일|LG 싸이언]]
* [[엘지 사이언]]
* [[HP iPAQ]]
* [[HP iPAQ]]
* [[싸이버뱅크]]
* [[사이버뱅크 포즈]]
 
{{각주}}


[[분류:삼성전자]]
<references/>
[[분류:삼성 MITs| ]]
[[분류:삼성]]
[[분류:삼성 MITs|MITs]]
[[분류:스마트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