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본래 고기를 불판에 직접 구워먹는 조리법인 "로스구이(Roast(ロース)<ref>영어로는 '로스트'지만, 일본산 요리서적에서 유입된 용어인 '로스'로 널리 알려졌다. 그 기원처럼 가장 기본적인 로스구이는 등심이나 갈비살을 소금으로 간하여 구워낸 걸 가리키고, 삼겹살은 그 대체재였다.</ref> + 구이)"를 가리키며, 경제적 사정이 크게 좋아진 1980년대 중후반부터 만들어진 표현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돼지고기 삼겹살을 사용한 것을 따로 지칭하여 '삼겹살 (로스구이)'이라 불렀다. 조리법 자체가 그냥 "불판에 올린다"라는 무척이나 단순한 방식이라 [[인지언어학]]적으로 보자면 이걸 요리로 보기보단 재료에 보는 시각이 많았고, 때문에 "'''삼겹살''' 먹자"라는 대명사가 그대로 요리 개념으로 굳어진 것이라 해석한다. 실제로 흔한 한국인에게 이 요리를 정식 요리명칭으로서 뭐라 불러야 하는가 물어본다면 십중팔구는 생각지도 못한 질문이라 당황해한다. 답이 나와도 기껏해야 '삼겹살구이(?)' 정도인데, 앞서 언급한 '로스'라는 단어마저도 바로 나오지 않게 사실상의 사어화가 되었다.
본래 고기를 불판에 직접 구워먹는 조리법인 "로스구이(Roast(ロース)<ref>영어로는 '로스트'지만, 일본산 요리서적에서 유입된 용어인 '로스'로 널리 알려졌다. 그 기원처럼 가장 기본적인 로스구이는 등심이나 갈비살을 소금으로 간하여 구워낸 걸 가리키고, 삼겹살은 그 대체재였다.</ref> + 구이)"를 가리키며, 경제적 사정이 크게 좋아진 1980년대 중후반부터 만들어진 표현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돼지고기 삼겹살을 사용한 것을 따로 지칭하여 '삼겹살 (로스구이)'이라 불렀다. 조리법 자체가 그냥 "불판에 올린다"라는 무척이나 단순한 방식이라 [[인지언어학]]적으로 보자면 이걸 요리로 보기보단 재료에 보는 시각이 많았고, 때문에 "'''삼겹살''' 먹자"라는 대명사가 그대로 요리 개념으로 굳어진 것이라 해석한다. 실제로 흔한 한국인에게 이 요리를 정식 요리명칭으로서 뭐라 불러야 하는가 물어본다면 십중팔구는 생각지도 못한 질문이라 당황해한다. 답이 나와도 기껏해야 '삼겹살구이(?)' 정도인데, 앞서 언급한 '로스'라는 단어마저도 바로 나오지 않게 사실상의 사어화가 되었다.


이는 이 삼겹살 '로스구이'가 실제 영단어 로스트(Roast)에 해당하는 조리방식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래 로스트 조리법은 오븐처럼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법<ref>초창기에는 불 위에서 직접 굽는 방식이었지만 재료가 쉽게 타버린다는 단점때문에 개량된 것. 따라서 불 위에 직접 올린것도 로스트라고 부르기는 하다만, 불판위에 굽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직화 위에 재료를 놓아 굽는 방식이다.</ref> 이지, 석쇠같은 불판을 깔고 굽는 방식은 되려 그릴(Grill)에 가깝다. <s>Grilled Samgyeopsal</s>
이는 이 삼겹살 '로스구이'가 실제 영단어 로스트(Roast)에 해당하는 조리방식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래 로스트 조리법은 오븐처럼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법<ref>초창기에는 불 위에서 직접 굽는 방식이었지만 재료가 쉽게 타버린다는 단점때문에 개량된 것. 따라서 불 위에 직접 올린것도 로스트라고 부르기는 하다만, 불판위에 굽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직화 위에 재료를 놓아 굽는 방식이다.</ref>이지, 석쇠같은 불판을 깔고 굽는 방식은 되려 그릴(Grill)에 가깝다. <s>Grilled Samgyeopsal</s>


=== 역사 ===
=== 역사 ===
한국 신문에서 처음으로 '삼겹살'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934년 11월 3일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70718/85412144/1 데이터 비키니 美서 삼겹살값 치솟으면 한국은 금(金)겹살 된다?], 동아일보, 2017.7.18.</ref> 당시 동아일보 석간 신문에 '육류의 좋고 그른 것을 분간해 내는 법'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삼겹살을 소개하는 문구가 등장하였다. 이로 미루어 삼겹살의 존재는 일제시대 당시 이미 상당히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신문에서 처음으로 '삼겹살'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934년 11월 3일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70718/85412144/1 데이터 비키니 美서 삼겹살값 치솟으면 한국은 금(金)겹살 된다?], 동아일보, 2017.7.18.</ref> 당시 동아일보 석간 신문에 '육류의 좋고 그른 것을 분간해 내는 법'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삼겹살을 소개하는 문구가 등장하였다. 이로 미루어 삼겹살의 존재는 일제시대 당시 이미 상당히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용문2|도야지고기는 조선에 잇어서는 강원도에서 조껍질을먹고 자란것이조타하고 도야지고기의 맛으로 말하면 소와같이 부위(部位)가만치아니하나 뒤넙적다리와 배사이에잇는 '''세겹살(三枚라하는)이 제一맛이 잇다하고''' (중략) '''「로스」'''<ref>여기서 '로스'는 등심(sirloin) 부위를 뜻한다.</ref> 는 소고기와 달러 그비어낸곳을보면 지방층(脂肪層)이 붓채살같이 끼여잇어<ref>한국식 정육에서는 크게 제거하기 때문에 알아채기 어려우나, 본래 등심의 지방층은 살코기 바깥으로 다소 두껍게 있다.</ref> 용이히알어내기쉽고 (이하 생략) |동아일보 1934년 11월 3일 석간 5면 中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34-11-03&officeId=00020&pageNo=1#</ref>}}
{{인용문2|도야지고기는 조선에 잇어서는 강원도에서 조껍질을먹고 자란것이조타하고 도야지고기의 맛으로 말하면 소와같이 부위(部位)가만치아니하나 뒤넙적다리와 배사이에잇는 '''세겹살(三枚라하는)이 제一맛이 잇다하고''' (중략) '''「로스」'''<ref>여기서 '로스'는 등심(sirloin) 부위를 뜻한다.</ref>는 소고기와 달러 그비어낸곳을보면 지방층(脂肪層)이 붓채살같이 끼여잇어<ref>한국식 정육에서는 크게 제거하기 때문에 알아채기 어려우나, 본래 등심의 지방층은 살코기 바깥으로 다소 두껍게 있다.</ref> 용이히알어내기쉽고 (이하 생략) |동아일보 1934년 11월 3일 석간 5면 中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34-11-03&officeId=00020&pageNo=1# </ref>}}


다만 일제시대 당시에는 식량 부족이 흔하던 시절이었고, 또한 해당 내용은 부위를 설명하는 글로서 본 항목에서 말하는 삼겹살 요리와 연관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삼겹살'이라는 요리가 본격적으로 널리 퍼지게 된 것은, 적어도 갈비구이가 유행하고 고기 씹을 기회가 늘어난, 경제개발이 진척되던 시기부터일 것임을 짐작케 한다.
다만 일제시대 당시에는 식량 부족이 흔하던 시절이었고, 또한 해당 내용은 부위를 설명하는 글로서 본 항목에서 말하는 삼겹살 요리와 연관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삼겹살'이라는 요리가 본격적으로 널리 퍼지게 된 것은, 적어도 갈비구이가 유행하고 고기 씹을 기회가 늘어난, 경제개발이 진척되던 시기부터일 것임을 짐작케 한다.
43번째 줄: 43번째 줄: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선호하는 부위인 등심과 안심이 대거 팔려나가 앞/뒷다리 및 삼겹살, 갈비가 주로 유통되었다. 다리는 족발과 제육(불고기)으로 꾸준히 팔렸고<ref>뒷다리 또한 비선호 부위로 악성재고가 남아돌아 1990년대 초부터 소비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까지도 뒷다리 재고 처리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 현상은 아이러니하게도 소득수준의 상승, 암암리에 팔리던 뒷다리 족발이 서서히 자취를 감추면서 더 심화되었다.</ref>, 갈비는 전통적으로 선호하던 부위이니 됐지만, 인기가 애매해 쌓여가는 삼겹살이 여전히 골치였던 것. 그래서 삼겹살을 먹자는 운동이 국가차원에서 기획되어 갖가지 이유를 붙여 삼겹살을 유통시키게 되었는데...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선호하는 부위인 등심과 안심이 대거 팔려나가 앞/뒷다리 및 삼겹살, 갈비가 주로 유통되었다. 다리는 족발과 제육(불고기)으로 꾸준히 팔렸고<ref>뒷다리 또한 비선호 부위로 악성재고가 남아돌아 1990년대 초부터 소비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까지도 뒷다리 재고 처리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 현상은 아이러니하게도 소득수준의 상승, 암암리에 팔리던 뒷다리 족발이 서서히 자취를 감추면서 더 심화되었다.</ref>, 갈비는 전통적으로 선호하던 부위이니 됐지만, 인기가 애매해 쌓여가는 삼겹살이 여전히 골치였던 것. 그래서 삼겹살을 먹자는 운동이 국가차원에서 기획되어 갖가지 이유를 붙여 삼겹살을 유통시키게 되었는데...


예상을 넘어서 폭발적으로 상승한 수요<ref>그런 유행 가운데에는 야외에서 즐기는 삼겹살이라던가, 솥뚜껑 삼겹살, 벌집 삼겹살, 대패 삼겹살, 짚불 삼겹살과 같은 새로운 외식 아이템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삼겹살 소비운동보다 다소 이른 시기인 1980년대 후반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돼지갈비 전문점은 서서히 사양길로 접어들게 된다.</ref> 를 결국 공급이 따라잡지 못해<ref>현행대로 가자면 가격만 오를 뿐이고, 무턱대고 사육두수를 늘렸다간 삼겹살 편애현상 때문에 다른 부위가 무진장 남아버려 곤란하기 때문.</ref> 삼겹살 가격이 계속 오르자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삼겹살이 아닌 다른 부위에도 응용이 가해졌다. 처음에는 바로 대각선 위쪽 부위인 목살, 이어서 앞다리<ref>사실, 앞다리가 구이 부위로서 인정받기 전부터 오겹살이라는 이름으로 알게 모르게 먹는 일이 많았다. (기존에는 앞다리가 제육볶음 등의 용도로만 쓰였다.) 몰론 오겹살=앞다리인건 아니나 생긴 모습이 비슷한 점을 악용한 상술이 맛을 길들이는 계기가 된다(...)</ref> 로 대상이 전이되었다. 그럼에도 요리 이름이 바뀌지 않고 습관적으로 삼겹살이라 칭하거나 더 뭉뚱그려서 '고기 먹자'로 언어습관이 굳어져있다.
예상을 넘어서 폭발적으로 상승한 수요<ref>그런 유행 가운데에는 야외에서 즐기는 삼겹살이라던가, 솥뚜껑 삼겹살, 벌집 삼겹살, 대패 삼겹살, 짚불 삼겹살과 같은 새로운 외식 아이템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삼겹살 소비운동보다 다소 이른 시기인 1980년대 후반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돼지갈비 전문점은 서서히 사양길로 접어들게 된다.</ref>를 결국 공급이 따라잡지 못해<ref>현행대로 가자면 가격만 오를 뿐이고, 무턱대고 사육두수를 늘렸다간 삼겹살 편애현상 때문에 다른 부위가 무진장 남아버려 곤란하기 때문.</ref> 삼겹살 가격이 계속 오르자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삼겹살이 아닌 다른 부위에도 응용이 가해졌다. 처음에는 바로 대각선 위쪽 부위인 목살, 이어서 앞다리<ref>사실, 앞다리가 구이 부위로서 인정받기 전부터 오겹살이라는 이름으로 알게 모르게 먹는 일이 많았다. (기존에는 앞다리가 제육볶음 등의 용도로만 쓰였다.) 몰론 오겹살=앞다리인건 아니나 생긴 모습이 비슷한 점을 악용한 상술이 맛을 길들이는 계기가 된다(...)</ref>로 대상이 전이되었다. 그럼에도 요리 이름이 바뀌지 않고 습관적으로 삼겹살이라 칭하거나 더 뭉뚱그려서 '고기 먹자'로 언어습관이 굳어져있다.


문제는 돼지고기 일본 수출이 [[일장춘몽]]으로 끝났다는 것이다.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무리하게 사육두수를 늘리던 한국에서도 유행성 구제역이 발발해 수출중단 크리를 먹었고, 그 와중에 삼겹살의 인기는 싸그리 다 도축해야 겨우 채워질 정도로 폭발적이었다.<ref>이는 1997년 말, IMF 구제금융 사태가 원인이기도 하다. 삼겹살이 서민 먹거리로서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굳혀진 것.</ref> 더 이상 공급을 늘릴 수도 없는 마당이라 되려 삼겹살을 수입해야 할 처지가 되었고, 한국은 전 세계의 잉여 삼겹살 3할 가까이를 수입하는 기묘한 나라(?)가 되었다.
문제는 돼지고기 일본 수출이 [[일장춘몽]]으로 끝났다는 것이다.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무리하게 사육두수를 늘리던 한국에서도 유행성 구제역이 발발해 수출중단 크리를 먹었고, 그 와중에 삼겹살의 인기는 싸그리 다 도축해야 겨우 채워질 정도로 폭발적이었다.<ref>이는 1997년 말, IMF 구제금융 사태가 원인이기도 하다. 삼겹살이 서민 먹거리로서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굳혀진 것.</ref> 더 이상 공급을 늘릴 수도 없는 마당이라 되려 삼겹살을 수입해야 할 처지가 되었고, 한국은 전 세계의 잉여 삼겹살 3할 가까이를 수입하는 기묘한 나라(?)가 되었다.


여튼간 이런 이유로 유행한 삼겹살이 요리 이름으로서 완전히 정착한 것은 한국 요리가 외국에 소개될 때, '로스구이'나 '그릴드 삼겹살'이 아닌 '삼겹살'로 소개된 점이 은근히 크다. 영문명 '''Samgyeopsal''' <s>Three-Layered Pork</s><ref>초창기엔 이런 엉터리 영어가 은근히 흔했다(...) 지금은 많이 알려져서 번역할 땐 Pork Belly라고 하는 편.</ref> 은 위키백과에도 등재될 정도로 적잖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단순히 '삼겹살을 구워먹는 행위'에서 본격 대명사화 될 수 있었던 것은 역설적이게도, 이 요리가 이렇다 할 정해진 명칭이 없었기 때문(정확히는 뭐라고 부르는지 잘 모르는 것 때문)<ref>말하자면 "Plunger"의 정식 명칭을 잘 몰라서 뚫어뻥이라 하는 것과 같다.</ref> 에 사실상 대명사화가 될 수 있었다.
여튼간 이런 이유로 유행한 삼겹살이 요리 이름으로서 완전히 정착한 것은 한국 요리가 외국에 소개될 때, '로스구이'나 '그릴드 삼겹살'이 아닌 '삼겹살'로 소개된 점이 은근히 크다. 영문명 '''Samgyeopsal''' <s>Three-Layered Pork</s><ref>초창기엔 이런 엉터리 영어가 은근히 흔했다(...) 지금은 많이 알려져서 번역할 땐 Pork Belly라고 하는 편.</ref>은 위키백과에도 등재될 정도로 적잖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단순히 '삼겹살을 구워먹는 행위'에서 본격 대명사화 될 수 있었던 것은 역설적이게도, 이 요리가 이렇다 할 정해진 명칭이 없었기 때문(정확히는 뭐라고 부르는지 잘 모르는 것 때문)<ref>말하자면 "Plunger"의 정식 명칭을 잘 몰라서 뚫어뻥이라 하는 것과 같다.</ref>에 사실상 대명사화가 될 수 있었다.


=== 먹는 법 ===
=== 먹는 법 ===
104번째 줄: 104번째 줄:
[[분류:한국 요리]]
[[분류:한국 요리]]
[[분류:구이]]
[[분류:구이]]
[[분류:돼지 요리]]
[[분류:고기 요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