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위키백과에서 출처가 필요하다고 요구된 문서이다. 추후 정리할 예정 -->
위키백과에서 출처가 필요하다고 요구된 문서이다. 추후 정리할 예정
 
'''사'''(謝, 史, 舍)씨는 [[중국의 성씨|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사'''(謝, 史, 舍)씨는 [[중국의 성씨|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 역사 사 史 ==
== 역사 사 史 ==
사(史)씨는 중국 경조(京兆 : [[산시성 (섬서)|섬서성]] [[상뤄시|관중도]] 장안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 [[주나라]] 때 '''사질'''(史侄)이라는 벼슬 이름을 따서 사(史)씨가 되었다고 한다.
사(史)씨는 중국 경조(京兆 : [[산시 성 (섬서성)|섬서성]] [[상뤄 시|관중도]] 장안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 [[주나라]] 때 '''사질'''(史侄)이라는 벼슬 이름을 따서 사(史)씨가 되었다고 한다.  


사(史)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9,756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9위이다. 본관은 [[청주 사씨|청주]], [[거창 사씨|거창]] 등 19본이 있다.
사(史)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9,756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9위이다. 본관은 [[청주 사씨|청주]], [[거창 사씨|거창]] 등 19본이 있다.
* '''[[거창 사씨]]'''(居昌史氏)는 [[고려 예종]] 때 귀화하여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서 여진(女眞)의 침입을 토벌하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거창(居昌)에 뿌리를 내린 '''사영'''(史榮)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인물로는 고려 [[고려 명종|명종]] 때 명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사정유]](史正儒), [[고려 고종]] 때 참지정사(參知政事) 사홍기(史洪紀), 병부상서(兵部尙書) 사광필(史光弼), 안무사(安無使) 사정기(史挺紀) 등이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는 370명이다.
 
* '''[[거창 사씨]]'''(居昌史氏)는 [[고려 예종]] 때 귀화하여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서 여진(女眞)의 침입을 토벌하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거창(居昌)에 뿌리를 내린 '''사영'''(史榮)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인물로는 고려 [[고려 명종|명종]] 때 명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사정유]](史正儒), [[고려 고종]] 때 참지정사(參知政事) 사홍기(史洪紀), 병부상서(兵部尙書) 사광필(史光弼), 안무사(安無使) 사정기(史挺紀) 등이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는 370명이다.  
 
* '''[[청주 사씨]]'''(靑州史氏)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청주(靑州) 출신인 '''사요'''(史繇)가 명(明)나라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에 올랐으나 세자(世子)와 함께 반역을 꾀했다는 모함을 받자 아들 형제 중 장남 중(重)을 데리고 1372년(공민왕 21) [[고려]](高麗)에 망명하여 경기도 파주군 월롱면(月籠面) 위전리(葦田里)에 정착한 것이 시초가 된다. 2000년 인구는 7,486명이다.
* '''[[청주 사씨]]'''(靑州史氏)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청주(靑州) 출신인 '''사요'''(史繇)가 명(明)나라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에 올랐으나 세자(世子)와 함께 반역을 꾀했다는 모함을 받자 아들 형제 중 장남 중(重)을 데리고 1372년(공민왕 21) [[고려]](高麗)에 망명하여 경기도 파주군 월롱면(月籠面) 위전리(葦田里)에 정착한 것이 시초가 된다. 2000년 인구는 7,486명이다.
** [[청송 사씨]](靑松史氏)는 청주 사씨의 시조 사요(史繇)가 고려에 건너올 때 중국에 두고 온 둘째 아들 사직(史直)의 8세손인 사세용(史世用)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나라 원군으로 출정했다가 난이 평정된 후 조선에 귀화하여 경북 청송에 터를 잡아 본관을 청송으로 칭관(稱貫)해 왔다. 2000년 인구는 251명이다.
** [[청송 사씨]](靑松史氏)는 청주 사씨의 시조 사요(史繇)가 고려에 건너올 때 중국에 두고 온 둘째 아들 사직(史直)의 8세손인 사세용(史世用)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나라 원군으로 출정했다가 난이 평정된 후 조선에 귀화하여 경북 청송에 터를 잡아 본관을 청송으로 칭관(稱貫)해 왔다. 2000년 인구는 251명이다.
13번째 줄: 16번째 줄:


== 사례할 사 謝 ==
== 사례할 사 謝 ==
사(謝)씨는 시조는 '''사신백'''(謝申伯)으로 [[강태공]]의 후손이다. 인물로는 동진(東晋)시대 문학가 [[사안]](謝安), 중국 6조시대(六朝時代)의 문인 [[사령운]](謝靈運)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배우 [[사정봉]]이 있다.
사(謝)씨는 시조는 '''사신백'''(謝申伯)으로 [[강태공]]의 후손이다. 인물로는 동진(東晋)시대 문학가 [[사안]](謝安), 중국 6조시대(六朝時代)의 문인 [[사령운]](謝靈運)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배우 [[사정봉]]이 있다.  


사(謝)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35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33위이다. 본관(本貫)은 진주(晋州)와 한산(韓 山) 2본으로 전한다. 청나라 말기에 조선에 귀화(歸化)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소목(昭穆)은 밝힐 수 없다.
사(謝)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35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33위이다. 본관(本貫)은 진주(晋州)와 한산(韓 山) 2본으로 전한다. 청나라 말기에 조선에 귀화(歸化)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소목(昭穆)은 밝힐 수 없다.


== 집 사 舍 ==
== 집 사 舍 ==
'''사'''(舍)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23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14위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사(舍)씨의 본관이 부평(富平)과 태안(泰安) 2본으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는 부평 사씨 194명, 태안 사씨 19명이다.
'''사'''(舍)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23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14위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사(舍)씨의 본관이 부평(富平)과 태안(泰安) 2본으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는 부평 사씨 194명, 태안 사씨 19명이다.  


사(舍)는 1930년도 국세조사(國勢調査) 당시 2가구가  처음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경기도 파주군에 살고 있던 사재성(舍在成) 씨의 말에 따르면, 본성(本姓)이 김(金)씨였는데 10대조(代祖) 김극윤(金克胤)씨가 사(舍)씨로 개성(改姓)했다고 하나 고증할 수 없다.
사(舍)는 1930년도 국세조사(國勢調査) 당시 2가구가  처음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경기도 파주군에 살고 있던 사재성(舍在成) 씨의 말에 따르면, 본성(本姓)이 김(金)씨였는데 10대조(代祖) 김극윤(金克胤)씨가 사(舍)씨로 개성(改姓)했다고 하나 고증할 수 없다.
25번째 줄: 28번째 줄:
'''사'''(佘, 여)씨는 기록에 일부 남아 있으나, 현재에는 사라졌다. [[고구려]]에 [[사부구]](師夫仇)라는 장수가 있었으나, 사(師)씨는 현재 없다. 사(佘, 師)씨는 한국의 토착 성본이다.
'''사'''(佘, 여)씨는 기록에 일부 남아 있으나, 현재에는 사라졌다. [[고구려]]에 [[사부구]](師夫仇)라는 장수가 있었으나, 사(師)씨는 현재 없다. 사(佘, 師)씨는 한국의 토착 성본이다.


[[백제]], [[마한]]의 토성에는 한자가 조금씩 다른 '''사택'''(砂宅)씨, '''사택'''(沙宅)씨, 그리고 [[사타]](沙吒), 사문(沙門)씨가 있었고, 이들이 단성으로 줄여 사(沙), 사(斯)씨가 되었다고도 한다. 이들은 복성이었으므로 단성 사(沙)씨와는 다르다. 백제에는 남방에서 용병을 데려와 특이한 복성의 사람들이 있었는데,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백제를 정벌하고 백제 유민을 데려갔으며, [[당나라]]도 백제를 멸하고 이들을 데려갔다.
[[백제]], [[마한]]의 토성에는 한자가 조금씩 다른 '''사택'''(砂宅)씨, '''사택'''(沙宅)씨, 그리고 [[사타]](沙吒), 사문(沙門)씨가 있었고, 이들이 단성으로 줄여 사(沙), 사(斯)씨가 되었다고도 한다. 이들은 복성이었으므로 단성 사(沙)씨와는 다르다. 백제에는 남방에서 용병을 데려와 특이한 복성의 사람들이 있었는데,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백제를 정벌하고 백제 유민을 데려갔으며, [[당나라]]도 백제를 멸하고 이들을 데려갔다.  


단성 사(師), 사(沙), 사(斯)도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왕조실록》에 간혈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설에 사씨가 죽을 사(死)를 연상시켜 한국의 사씨들이 다른 성으로 변경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단성 사(師), 사(沙), 사(斯)도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왕조실록》에 간혈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설에 사씨가 죽을 사(死)를 연상시켜 한국의 사씨들이 다른 성으로 변경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32번째 줄: 35번째 줄:
{{한국인의 성씨}}
{{한국인의 성씨}}
{{퍼온문서|사 (성씨)|15569028}}
{{퍼온문서|사 (성씨)|15569028}}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중국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