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ternradio/인용 편집하기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의 사용자 문서이며, 일반적인 항목이 아닙니다.

리브레 위키의 정책에 따라, 이 문서에는 블로그, 이메일 주소, SNS 계정 등의 개인정보 및 친목 관련 요소가 있는 외부 사이트의 언급과 링크 노출이 금지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다른 사용자를 언급해서는 안 됩니다.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학문 관련 정보}}
{{학문 관련 정보}}
{{ㅊ|이 문서는 [[불문율]]에 따라 인용을 하면서 작성되었습니다.}}
'''인용(引用, Citation)'''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끌어다 쓰는 것을 가리킨다.  
'''인용(引用, Citation)'''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끌어다 쓰는 것을 가리킨다.  


11번째 줄: 6번째 줄:
== 인용 방식 ==
== 인용 방식 ==


인용 방식은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문법적인 구분으로, [[외국어]]를 배울 때 주로 접할 구분이다. 둘째는 표기방법별 구분으로, 주로 인용의 출처를 어떻게 표기하는가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개 학계에서 쓰는 방법이다.
인용 방식은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문법적인 구분으로, [[외국어]]를 배울 때 주로 접할 구분이다. 둘째는 표기방법별 구분으로, 주로 인용의 출처를 어떻게 표기하는가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게 학계에서 쓰는 방법이다.


=== 문법적 구분 ===
=== 문법적 구분 ===
20번째 줄: 15번째 줄:


=== 표기방법별 구분 ===
=== 표기방법별 구분 ===
보통 [[대학교]]에 들어가 [[레포트]]를 쓰게 되면서 각잡힌 인용방법을 처음 익히게 된다. 인용 방식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는 걸 알고 나서 [[멘붕]]한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MS 워드]]에서도 인용 기능을 지원하는데, 여기에 기본 등록된 인용 방식들은 다음과 같다.
보통 [[대학교]]에 들어가 [[레포트]]를 쓰게 되면서 각잡힌 인용방법을 처음 익히게 된다. 인용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다는 걸 알고나서 [[멘붕]]한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MS 워드]]에서도 인용 기능을 지원하는데, 여기에 기본 등록된 인용 방식들은 다음과 같다.


* APA
* APA
36번째 줄: 31번째 줄:
{{ㅊ|뭐 이리 많아}}
{{ㅊ|뭐 이리 많아}}


==== 괄호를 이용한 인용 ====
==== 괄호 인용 ====
[[인문학|인문]][[사회과학]]계열에서는<ref>기타 분야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아는 분께서 [[추가바람]]</ref> 인용을 할 때 괄호인용(parenthetical citation)을 주로 사용한다. 각주를 사용한 인용도 자주 사용되는데, 관련 내용은 후술하겠다.  
[[인문학|인문]][[사회과학]]계열에서는<ref>기타 분야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아는 분께서 [[추가바람]]</ref> 인용을 할 때 괄호인용(parenthetical citation)을 주로 사용한다. 각주를 사용한 인용도 자주 사용되는데, 관련 내용은 후술하겠다.  


46번째 줄: 41번째 줄:




원저자가 한 명일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여러 명일 경우에는 조금 복잡해질 수 있다. 두 명일 경우는 ([[토마스 뮐러|뮐러]] & [[마르코 로이스|로이스]], 2013)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그 이상일 경우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여백이 부족하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전설적인 석학 [[et al.]] 선생의 이름을 빌려야 한다. 다만 이 분은 전면에 나서는 걸 매우 꺼리시기 때문에 언제나 2인자의 자리에 배치해야 한다. 즉, ([[필립 람|람]] et al. 2012)가 된다.  
원저자가 한 명일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여러명일 경우에는 조금 복잡해질 수 있다. 두 명일 경우는 ([[토마스 뮐러|뮐러]] & [[마르코 로이스|로이스]], 2013)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그 이상일 경우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여백이 부족하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전설적인 석학 [[et al.]] 선생의 이름을 빌려야 한다. 다만 이 분은 전면에 나서는 걸 매우 꺼리시기 때문에 언제나 2인자의 자리에 배치해야 한다. 즉, ([[필립 람|람]] et al. 2012)가 된다.  




56번째 줄: 51번째 줄:


긴 각주는 독자의 주의를 흐트러트릴 수 있으므로, MLA와 APA를 비롯한 대부분의 참고문헌 작성법은 각주의 제한적인 사용만을 권한다. 하지만 일부 출판사는 괄호 대신 각주나 미주를 활용한 인용을 장려하거나 요구한다.
긴 각주는 독자의 주의를 흐트러트릴 수 있으므로, MLA와 APA를 비롯한 대부분의 참고문헌 작성법은 각주의 제한적인 사용만을 권한다. 하지만 일부 출판사는 괄호 대신 각주나 미주를 활용한 인용을 장려하거나 요구한다.
MLA 방식에서는 설명을 하기 위한 주석이나 주의를 흐트러트리는 주석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독자가 참고할 만한 다른 출판물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 '''문헌 목록으로서의 주석'''은 허용된다. 다음은 몇몇 예시이다.
    1. 블랙머(Blackmur)를 참고하라. 특히 3장과 4장은 이 추세에 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이 담겨 있다.
    2. 억압된 기억의 회복과 관련된 문제에 관해서는 월렌스(Wollens) 120-35를 참고하라. 이와 상반되는 주장으로는 파일(Pyle) 43; 존슨(Johnson), 헐(Hull), 스나이더(Snyder) 21-35, 크리그(Krieg) 78-91가 있다.
    3. 다른 여러 연구도 이와 같은 결론을 지지한다. 존슨(Johnson) & 헐(Hull) 45-79, 캐서(Kather) 23-31, 크리그(50-57)를 참고하라.


=== 리브레위키에서의 인용 ===
=== 리브레위키에서의 인용 ===
보통의 글처럼 인용해도 상관없지만, 틀 기능을 사용해서 좀 더 있어보이게 인용할 수도 있다. [[틀:인용문/설명]]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인용문|짧은 인용구([[명언]], 어록, 경구 등 두 줄을 넘어가지 않는 것)나 상징적인 [[대사]]나 [[가사]] 등을 적기에 알맞은 인용문 틀입니다. 기본적으로는 <code><nowiki>{{인용문|인용구|작가|출처}}</nowiki></code>를 쓰면 됩니다.|[[틀:인용문/설명|항목]] 작성자|[[리브레위키]]}}


=== 인용시 주의사항 ===
=== 인용시 주의사항 ===
인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직함이다. 자신이 그 정보(아이디어, 표현 등)를 어디서 얻었는지를 있는 그대로 표시해주면 된다.
==== 재인용 ====
==== 재인용 ====
재인용은 가급적이면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반드시 원문을 이용해야 한다든지 등의 이유로 재인용이 불가피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재인용에 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논저자명, 논저명, 총서나 게재지명, 권수 및 호수, 발행 연월일, 인용하거나 참고한 쪽수 등을 순서대로 기입하고 재인용임을 밝힌다."<ref>[http://www.musictheory21.com/style-manual/pdf/ch4-b.pdf], 엑세스 날짜: 2015년 4월 21일</ref>
재인용은 가급적이면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반드시 원문을 이용해야 한다든지 등의 이유로 재인용이 불가피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재인용에 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논저자명, 논저명, 총서나 게재지명, 권수 및 호수, 발행 연월일, 인용하거나 참고한 쪽수 등을 순서대로 기입하고 재인용임을 밝힌다."<ref>[http://www.musictheory21.com/style-manual/pdf/ch4-b.pdf], 엑세스 날짜: 2015년 4월 21일</ref>


==== 번역본을 인용해도 되는가? ====
== 인용의 예 =="
결론부터 말하자면 된다. 물론 원서를 직접 읽고 인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프랑스]]와 [[일본]]에서 [[괴테]]에 관한 연구의 현황을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기 위해 [[프랑스어]], [[일본어]], [[독일어]], [[한국어]]를 모두 연구가 가능할 수준으로 익힌다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ㅊ|당신이 [[천재]]나 언어덕후라면 아무래도 상관없겠지만.}} 특히 영어로는 다른 어떤 언어와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문헌이 직접 생산될 뿐만 아니라 [[번역]]까지 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영어만 익혀도 어지간한 연구는 할 수 있다. 하지만 [[문학]]과 [[사학]], [[철학]], [[지역학]]과 같은 분야는 제약이 클 수밖에 없다. {{ㅊ|답이 없어요. 외국어 가야죠!}}


=== 예술에서의 인용 ===
=== 예술에서의 인용 ===
한국어 위키백과<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8%EC%9A%A9 액세스 날짜: 2015년 4월 21일]</ref>를 참고하면, "인용은 또한 다른 표현 형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기도 하는데, 특히 [[그림]], [[영화]]의 장면, [[음악]]의 일부 등 예술적 작품의 섹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관련 전공자의 [[추가바람]]


== 자주 쓰이는 인용문 ==
== 자주 쓰이는 인용문 ==


[http://tip.daum.net/question/165184 목록 출처]
== 각주 ==
 
<references/>
* 나는 하느님께 감사한다. 나는 나의 의무를 다했다 - [[넬슨]]
 
* 교육보다 좋은 무기는 없다. - [[신규식]]
 
* 의를 보고 행하지 않으면 용맹이 없는 것이다. - [[장보고]]
 
* 자기 혼자서 걸어가야 한다. - [[헤르만 헤세]]
 
*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 [[최영]]
 
* 인생이란 제 스스로 창조하는 것이다. - [[체홉]]
 
* 너 속에 모든 것이 있다. - [[베토벤]]
 
*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 [[예수]]
 
* 인간은 만남이다. - [[한스 카룻사]]
 
* 배워라. 믿어라. 희망을 가져라. - [[이상재]]
 
* 진리는 전진한다.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 - [[에밀 졸라]]
 
* 천지는 만물의 여관이요. 세월은 영원한 나그네이다. - [[이백]]
 
* 오늘 내가 죽어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살아 있는 한 세상은 바뀐다.
 
* 불행은 진정한 친구를 가져준다. - [[아리스토텔레스]]
 
*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 [[체게바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