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야의 노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사야의 노래
| 제목            = 사야의 노래
|원어이름 = 沙耶の唄
| 원제목          = {{루비|沙耶|さや}}の{{루비|唄|うた}}
|배경색   = #000000
| 이미지          = [[파일:Saya no uta.jpg|300px]]
|글자색   = #FFFFFF;text-shadow: 0px 0px 10px #86E57F
| 배경색         = #000000
|그림    = [[파일:Saya no uta.jpg|300px]]
| 글자색         = #FFFFFF;text-shadow: 0px 0px 10px #86E57F
|그림설명 =
| 테두리색        = #002C00
|배급사  = [[니트로플러스]] (PC판) <br /> [[비주얼 아츠]] (모바일판)
| 설명            =
|개발사  = [[니트로플러스]]
| 개발사          = [[니트로플러스]]
|제작    = [[우로부치 겐]]
| 발행사          = [[니트로플러스]] {{-1|{{색|#8b008b|[PC판]}}}} <br/> [[비주얼 아츠]] {{-1|{{색|#8b008b|[모바일판]}}}}
|작가     = [[우로부치 겐]]
| 배급사          = {{국기그림|미국}} : JAST USA
|미술     = [[츄오 히가시구치]]
| 기획자          = [[우로부치 겐]]
|작곡가   = [[ZIZZ STUDIO]]
| 디자이너        = [[데지타로우]]
|장르     = [[호러 게임|서스펜스 호러]] [[어드벤처 게임|ADV]]<br />[[에로게|어덜트]]
| 프로그래머      =
|출시일  = {{깃발|일본}} : [[2003년]] [[12월 16일]] (초회판) <br />[[2009년]] [[7월 31일]] (Windows 10판) <br />[[2013년]] [[2월 28일]] (블루레이판)<br />[[2014년]] [[4월 17일]] (모바일판) <br />{{깃발|미국}} : [[2013년]] [[5월 6일]]
| 작가           = [[우로부치 겐]]
|종료일  =  
| 미술         = [[츄오 히가시구치]]
|플랫폼  =  
| 작곡가         =[[ZIZZ STUDIO]]
|모드    = 싱글 플레이
| 해상도          = 800×600
|언어    = [[일본어]]
| 출시            = {{국기그림|일본}} : {{날짜/출력|2003-12-16}}{{-1|{{색|#8b008b|[초회판]}}}} <br/>{{날짜/출력|2009-7-31}}{{-1|{{색|#8b008b|[Windows 10판]}}}} <br />{{날짜/출력|2013-2-28}}{{-1|{{색|#8b008b|[블루레이판]}}}}<br/>{{날짜/출력|2014-4-17}} {{-1|{{색|#8b008b|[모바일판]}}}} <br />{{국기그림|미국}} : {{날짜/출력|2013-5-6}}
|엔진    =
| 장르           = [[호러 게임|서스펜스 호러]] [[어드벤처 게임|ADV]]<br />[[에로게|어덜트]]
|시리즈  =
| 모드            = 싱글 플레이
|이전작  =
| 언어            = [[일본어]]
|후속작  =
| 이용가 등급    = 18세 미만 금지
|웹사이트 = [http://www.nitroplus.co.jp/pc/lineup/into_06/top.html 공식 사이트]
| 운영체제        = 일본어판 [[Windows 98]]/[[Windows 2000|2000]]/[[Windows ME|ME]]/[[Windows XP|XP]] {{-1|{{색|#8b008b|[초회판]}}}}<br/> [[Windows 7|7]]/[[Windows 8|8]]/[[Windows 10|10]]{{-1|{{색|#8b008b|[Windows 10판]}}}}
|비고    =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 한글패치      = 있음
| 음성            = 풀보이스
| 가격            = 4,800엔{{-1|{{색|#8b008b|[초회판]}}}} <br/>2,900엔{{-1|{{색|#8b008b|[Windows 10판]}}}}
| 관련 사이트 = [http://www.nitroplus.co.jp/pc/lineup/into_06/top.html 공식 사이트]
}}
}}
{{다른 뜻|토키도 사야|니트로플러스의 게임|[[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다른 작품]] 히로인의 전용 BGM 제목}}
{{다른뜻|토키도 사야|니트로플러스의 게임|[[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다른 작품]] 히로인의 전용 BGM 제목}}
{{다른 뜻|사야의 노래 (노래)||해당 게임의 엔딩곡}}
{{다른 뜻|사야의 노래 (노래)||해당 게임의 엔딩곡}}
{{인용문|'''{{색|#005766|爛れてゆく。何もかもが歪み、爛れてゆく。}}'''<br />{{색|#005766|문드러져 가. 무언가가 왜곡되고, 문드러져 가.}}<br />|본작의 캐치프레이즈}}


'''사야의 노래'''({{일본어|沙耶の唄|사야노우타}} / Song of Saya)는 [[2003년]]에 [[니트로플러스]]에서 개발 및 발매된 성인용 호러 고어 [[비주얼 노벨]] 게임이다. 일종의 실험작으로 나온 게임이기에 가격은 어덜트 게임에서 저가형인 4천엔대, 엔딩은 단 3개에 플레이 타임 시간은 약 4~5시간 정도 매우 짧은 편이다. 후술할 이유로 인해 처음에는 판매량이 나오지 않았으나 이후 재평가를 받으면서 [[윈도우 10]]판과 블루레이 이식판으로 발매되었다.
'''사야의 노래'''({{llang|ja|沙耶の唄|사야노우타}} / Song of Saya)는 [[2003년]]에 [[니트로플러스]]에서 개발 및 발매된 성인용 호러 고어 [[비주얼 노벨]] 게임이다. 일종의 실험작으로 나온 게임이기에 가격은 어덜트 게임에서 저가형인 4천엔대, 엔딩은 단 3개에 플레이 타임 시간은 약 4~5시간 정도 매우 짧은 편이다. 후술할 이유로 인해 처음에는 판매량이 나오지 않았으나 이후 재평가를 받으면서 [[윈도우 10]]판과 블루레이 이식판으로 발매되었다.


== 시놉시스 ==
== 시놉시스 ==
{{인용문|'''{{색|#005766|爛れてゆく。何もかもが歪み、爛れてゆく。}}'''<br/>{{색|#005766|문드러져 가. 무언가가 왜곡되고, 문드러져 가.}}</br>|본작의 캐치프레이즈}}
의대생인 사키사카 후미노리는 교통사고로 인해 가족 전원을 잃고, 본인도 생사를 오가다 기적적으로 회복한다. 하지만 사고 이후 주변의 모든 사물들이 그로테스크한 형태로 변하게 된다. 거의 미쳐버리기 일보 직전이었던 후미노리 앞에 "사야"라는 소녀가 나타난다. 제정신이 아닌 세상 속에 유일하게 정상으로 보이는 아이였기에 후미노리는 사야에게 의지하며 살게 된다. 하지만 그건 광기로 향하는 입구에 지나지 않았다.
의대생인 사키사카 후미노리는 교통사고로 인해 가족 전원을 잃고, 본인도 생사를 오가다 기적적으로 회복한다. 하지만 사고 이후 주변의 모든 사물들이 그로테스크한 형태로 변하게 된다. 거의 미쳐버리기 일보 직전이었던 후미노리 앞에 "사야"라는 소녀가 나타난다. 제정신이 아닌 세상 속에 유일하게 정상으로 보이는 아이였기에 후미노리는 사야에게 의지하며 살게 된다. 하지만 그건 광기로 향하는 입구에 지나지 않았다.


48번째 줄: 53번째 줄:


== 주제가 ==
== 주제가 ==
일종의 실험작으로 만들어진 만큼 오프닝은 없다.
=== 오프닝 ===
 
=== 엔딩 ===
=== 엔딩 ===
* '''[[사야의 노래 (노래)|사야의 노래]]''' (沙耶の唄)
* '''[[사야의 노래 (노래)|사야의 노래]]''' (沙耶の唄)
55번째 줄: 59번째 줄:
* '''[[유리구두 (사야의 노래)|유리구두]]''' (ガラスのくつ)
* '''[[유리구두 (사야의 노래)|유리구두]]''' (ガラスのくつ)


== 파생 작품 ==
== 미디어 믹스 ==
=== 만화판 ===
=== 만화판 ===
미국에서 그래픽 노블 형태로 발매된 만화가 있으나 원작의 팬이라면 안보는 것이 좋은 물건이다. 그림체가 양키 스타일인건 둘째치고 스토리를 원작파괴 수준으로 개악을 해놨는데 본편의 후미노리와 사야의 사랑 이야기가 아닌 악의 과학자 탄보 료코를 때려잡는 호러 액션 활극이 되었다.
미국에서 그래픽 노블 형태로 발매된 만화가 있으나 원작의 팬이라면 안보는 것이 좋은 물건이다. 그림체가 양키 스타일인건 둘째치고 스토리를 원작파괴 수준으로 개악을 해놨는데 본편의 후미노리와 사야의 사랑 이야기가 아닌 악의 과학자 탄보 료코를 때려잡는 호러 액션 활극이 되었다.
88번째 줄: 92번째 줄:
== 영향 ==
== 영향 ==
;영향을 받은 것
;영향을 받은 것
* 주인공이 모종의 사고로 오감이 망가져 세계가 정반대로 보이고 그 영향으로 사랑하게 된 여인이 이종족이라는 설정은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에 수록된 단편 《부활》에서 깊게 영향을 받았다. 본편에서도 사야가 간접적으로 데즈카 오사무와 불새를 언급하기도 했다.
* 주인공이 모종의 사고로 오감이 망가져 세계가 정반대로 보이고 그 영향으로 사랑하게 된 여인이 이종족이라는 설정은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에 수록된 단편 《부활》에서 깊게 영향을 받았다. 본편에서도 사야가 간접적으로 데즈카 오사무와 불새를 언급하기도 했다.  


;영향을 준 것
;영향을 준 것
96번째 줄: 100번째 줄: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우로부치 겐]]의 암울하고 어두칙칙한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 대표작으로 평가를 받고 있으나, 우로부치 본인에게는 상당한 슬럼프를 안겨준 작품. 당시 "나는 이런 작품밖에 쓸 수 없는 건가"라면서 회의감이 들었다고 한다.
* [[우로부치 겐]]의 암울하고 어두칙칙한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 대표작으로 평가를 받고 있으나, 우로부치 본인에게는 상당한 슬럼프를 안겨준 작품. 당시 "나는 이런 작품밖에 쓸 수 없는 건가"라면서 회의감이 들었다고 한다.
* 유튜버 엑스트라 크레딧(Extra Credit)의 댄(Dan)은 [https://www.youtube.com/watch?v=JFM9MoqQb3M 여러분이 안 해보셨을 법한 공포 게임] 영상에서 사야의 노래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죄송합니다. 방금 제가 X발 뭘 플레이한 거죠?"<ref>원문은 "I apologize. What the fxxk did I just play?"로, 엑스트라 크레딧에서 웬만하면 거의 안 나오는 삐처리가 등장하는 순간이다.</ref>라는 말을 했으며, "가장 뒤틀리고 소름이 끼치는 비주얼 노벨"<ref>"This may be one of the most twisted, skin-crawling visual novels out there."</ref>이라는 평을 내렸다.
* 유튜버 엑스트라 크레딧(Extra Credit)의 댄(Dan)은 [https://www.youtube.com/watch?v=JFM9MoqQb3M 여러분이 안 해보셨을 법한 공포 게임] 영상에서 사야의 노래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죄송합니다. 방금 제가 X발 뭘 플레이한 거죠?"<ref>원문은 "I apologize. What the fxxk did I just play?"로, 엑스트라 크레딧에서 웬만하면 거의 안 나오는 삐처리가 등장하는 순간이다.</ref>라는 말을 했으며, "가장 뒤틀리고 소름이 끼치는 비주얼 노벨"<ref>"This may be one of the most twisted, skin-crawling visual novels out there."</ref>이라는 평을 내렸다.
*니트로플러스 대표작중 유일하게 전연령판 및 검열판으로 나온 적이 없는 게임이다. 팬텀 오브 인페르노와 데몬베인 시리즈는 19금 묘사가 없어도 스토리 전개에 영향이 없어 전연령판으로 나올 여지가 있지만 사야의 노래는 수위가 매우 높아서 검열이 거진 불가능하기 때문. 그나마 [[비주얼 아츠]]를 통한 모바일판으로 나오기는 했다.
*니트로플러스 대표작중 유일하게 전연령판 및 검열판으로 나온 적이 없는 게임이다. 팬텀 오브 인페르노와 데몬베인 시리즈는 19금 묘사가 없어도 스토리 전개에 영향이 없어 전연령판으로 나올 여지가 있지만 사야의 노래는 수위가 매우 높아서 검열이 거진 불가능하기 때문. 그나마 [[비주얼 아츠]]를 통한 모바일판으로 나오기는 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