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브 JAS 39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기 정보
{{무기 정보
|이름     = 사브 JAS 39 그리펜
| 이름= 사브 JAS 39 그리펜
|원어이름 =
| 그림= [[File : Saab JAS 39 Gripen at Kaivopuisto Air Show, June 2017 (altered) copy.jpg]]
|그림     = [[File : Saab JAS 39 Gripen at Kaivopuisto Air Show, June 2017 (altered) copy.jpg]]
| 설명= 스웨덴 왕립 공군 소속 그리펜
|그림설명 = 스웨덴 왕립 공군 소속 그리펜
| 국가= {{국기|스웨덴}}
|종류     = 다목적 전투기
| 종류= 다목적 전투기
|제조    = 사브(SAAB)
<!-- 종류 -->
|설계    =  
| 비행기= yes
|운영    = {{나라|스웨덴}}
<!-- 역사 -->
|첫비행  =  
| 개발=
|생산연도 = 1987
| 개발년도=
|사용연도 = 1997년~현재
| 생산= 사브(SAAB)
|생산량  = 생산중
| 생산년도= 1987
|정원    = 1명, 2명
| 가격=  
|엔진    = 볼보 RM-12 터보팬 엔진
| 생산개수= 생산중
|출력    = lbs
| 사용년도= 1996년~현재
|속도    = 음속의 2배
| 실전= [[#하단 참조]]
|무장     = '''공대공''':AIM-7/AIM-9/AIM-120/MBDA 미티어/MBDA 미카<br />
<!-- 일반 제원 -->
'''공대지''': AGM-65 메버릭/KEPD 350 타우러스/GBU-12 페이브웨이/Mk.82 무유도폭탄<br />
| 제원_파생형= JAS 39 C/D 그리펜
'''공대함''': RBS-15 아음속 대함미사일<br />
| 중량= 6,800kg(경하)
마우저 BK-27 27mm 리볼버 기관포
| 길이= 14.1/14.8m
|길이    = 14.1/14.8m
| = m
|폭      = m
| 높이= 4.5m
|높이    = 4.5m
| 승무원= 1/2명
|비고    =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공대공''':AIM-7/AIM-9/AIM-120/MBDA 미티어/MBDA 미카<br>
'''공대지''': AGM-65 메버릭/KEPD 350 타우러스/GBU-12 페이브웨이/Mk.82 무유도폭탄<br>
'''공대함''': RBS-15 아음속 대함미사일
| 부무장= 마우저 BK-27 27mm 리볼버 기관포
| 엔진= 볼보 RM-12 터보팬 엔진
| 엔진출력= lbs
| 출력비=
| 작전반경= 800km
| 최고속도=음속의 2배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30제곱미터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
'''사브 JAS 39 그리펜'''은 [[스웨덴]]의 전천후 다목적 [[전투기]]다.
'''사브 JAS 39 그리펜'''은 [[스웨덴]]의 전천후 다목적 [[전투기]]다.
29번째 줄: 52번째 줄:
소형 고성능 [[전투기]]의 대명사로, 중형 전투기급의 성능을 보유했다 평가된다. 유럽 전투기의 특징인 카나드-삼각익 형상을 띄고 있으며 J37 비겐을 대체하기 위해 후속기종으로 만들어져 현 스웨덴 공군의 주력기로 활약중인데다 높은 가성비로 전투기 수출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소형 고성능 [[전투기]]의 대명사로, 중형 전투기급의 성능을 보유했다 평가된다. 유럽 전투기의 특징인 카나드-삼각익 형상을 띄고 있으며 J37 비겐을 대체하기 위해 후속기종으로 만들어져 현 스웨덴 공군의 주력기로 활약중인데다 높은 가성비로 전투기 수출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유럽]]의 신수<ref>神獸</ref>인 그리펜에서따온 이름이다.
이름의 유래는 [[유럽]]의 신수<ref>神獸</ref>인 그리펜에서 따온 이름이다.
==배경==
==개발==
스웨덴 공군의 [[JA37]] [[전투기]]를 대체하기 위한 신예 전투기로서 개발되었다. 개발 초기부터 다목적화 된 전투기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스웨덴]]의 작전 환경과 스웨덴의 가장 큰 가상적국인 [[러시아]]와의 전쟁을 염두에 둔 상태로 설계가 이루어 졌다.
스웨덴 공군의 [[JA37]] [[전투기]]를 대체하기 위한 신예 전투기로서 개발되었다. 개발 초기부터 다목적화 된 전투기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스웨덴]]의 작전 환경과 스웨덴의 가장 큰 가상적국인 [[러시아]]와의 전쟁을 염두에 둔 상태로 설계가 이루어 졌다.


39번째 줄: 62번째 줄:
1987년 4월 26일, 그리펜의 첫 시험비행이 이루어 졌으며 이날의 처녀비행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이후 그리펜의 개발은 그리 순조롭지만은 않았다.
1987년 4월 26일, 그리펜의 첫 시험비행이 이루어 졌으며 이날의 처녀비행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이후 그리펜의 개발은 그리 순조롭지만은 않았다.
처녀비행에서 비행 제어 체계와 전투기 자체의 비행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했고, 1989년 2월 2일, 비행제어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충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교체를 통해 어느 정도 개선되었지만, 4년 뒤, 같은 원인의 사고가 다시 재발하기도 하였다.
처녀비행에서 비행 제어 체계와 전투기 자체의 비행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했고, 1989년 2월 2일, 비행제어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충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교체를 통해 어느 정도 개선되었지만, 4년 뒤, 같은 원인의 사고가 다시 재발하기도 하였다.
==운용==
===실전===
2011년, 리비아 공습에 참가하여 초계비행 임무를 수행했다. 지상 공격이나 적기와의 [[공중전]]은 없었지만 이것이 그리펜의 첫 실전 기록이다.
==성능==
==성능==
그리펜은 가볍고 날렵한 소형 경전투기라는 특징과 함께 JAS 라는 전투(Jakt), 공격(Attack), 정찰(Spaing)이란 명칭에서 볼수 있듯 컴팩트한 다목적 전투기의 정체성을 가진다.
이름 중 JAS 라는 전투Jakt, 공격Attack,정찰Spaning의 약자에서도 볼수 있듯이 다목적 전투기인 그리펜은 소형 경[[전투기]]임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를 넘어 웬만한 중형 [[전투기]]의 임무를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는 고성능 전투기다.
기체 형상으로는, 기수 뒷부분에 카나드가 달려 있고 델타익 형상의 전투기이며 수평미익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라지나 [[유로파이터 타이푼]] 같은 유럽형 [[전투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편이다.


기체 외형은 수평미익이 존재하지 않는 카나드-델타익 형상의 전투기로, 타국의 훈련기나 경공격기와 유사한 체급을 지닌 기종인데,
레이더를 포함한 각종 센서들의 정보를 통합한 전투정보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데이터 링크 체계를 통해, 우군기와 실시간으로 전투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편대 중 단 한대의 레이더만 작동해도 나머지 편대기들은 레이더를 켠 그리펜의 전술정보를 받아 문제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고, 이 레이더를 작동시키는 기체가 나머지 편대원들의 미사일도 대신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여 이 덕에 기습 공격과 복수의 전투기간 연계전투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며, 앞으로 편대간 연계가 중요해지는 미래 전장에 적합한 능력이다.
레이더를 포함한 각종 센서들의 정보를 통합한 전투정보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데이터 링크 체계를 통해, 우군기와 실시간으로 전투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편대 중 단 한대의 레이더만 작동해도 나머지 편대기들은 레이더를 켠 그리펜의 전술정보를 받아 문제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고, 이 레이더를 작동시키는 기체가 나머지 편대원들의 미사일도 대신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여 이 덕에 기습 공격과 복수의 전투기간 연계전투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며, 앞으로 편대간 연계가 중요해지는 미래 전장에 적합한 능력이다.
레이더는 일반형의 경우 Ericsson PS-05 기계식 레이더를 사용하지만, 발전형인 E/F형과 NG형은 Selex ES-05 AESA 레이더를 사용하는 4.5세대 [[전투기]]로 분류된다.
레이더는 일반형의 경우 Ericsson PS-05 기계식 레이더를 사용하지만, 발전형인 E/F형과 NG형은 Selex ES-05 AESA 레이더를 사용하는 4.5세대 [[전투기]]로 분류된다.
51번째 줄: 78번째 줄:
유럽제 미사일인 [[MBDA 미티어]],IRIS-T등의 운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유럽의 차세대 공대공 미사일인 [[MBDA 미티어]] 미사일을 첫번째로 발사한 전투기가 이 사브 그리펜이다.
유럽제 미사일인 [[MBDA 미티어]],IRIS-T등의 운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유럽의 차세대 공대공 미사일인 [[MBDA 미티어]] 미사일을 첫번째로 발사한 전투기가 이 사브 그리펜이다.
공대지 무장도 유럽제 무장과 미국제 무장 둘다 운용이 가능하다. 유럽에서 개발된 KEPD.350 타우러스 공대지 순항미사일 과 영국의 스톰 셰도 공대지 순항미사일이 대표적인 원거리 공대지 무장이고, 매브릭 대지미사일을 비롯해 GBU-12 가이드웨이 레이저 유도폭탄과 BK.90클러스터 폭탄, 마크82 무유도 폭탄을 운용한다.
공대지 무장도 유럽제 무장과 미국제 무장 둘다 운용이 가능하다. 유럽에서 개발된 KEPD.350 타우러스 공대지 순항미사일 과 영국의 스톰 셰도 공대지 순항미사일이 대표적인 원거리 공대지 무장이고, 매브릭 대지미사일을 비롯해 GBU-12 가이드웨이 레이저 유도폭탄과 BK.90클러스터 폭탄, 마크82 무유도 폭탄을 운용한다.
 
==변형==
==운용==
==운용국가==
===스웨덴===
===남아프리카 공화국===
개발국의 공군인 스웨덴 공군은 1993년부터 2015년까지 204대의 A/B형, C/D형 그리펜을 인도받아 운용중이며 초도 도입된 A/B형30대를 C/D형으로 개량하는 과정을 거쳤다.
스웨덴을 제외하고 사브 그리펜 [[전투기]]를 구입한 첫 국가이다. 총 26대를 남아공이 수령할 예정이였지만 18대를 [[2012년]]에 도입하였다.
 
실전은 2011년 리비아 공습에 참가하여 초계비행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650회의 작전을 수행하며 활발한 활동을 보였지만 이미 리비아의 항공력이 붕괴된 다음이라 초계 및 지상 공격 임무를 부여받으며 직접적인 적기와의 [[공중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스웨덴 공군은 2018년부터 그리펜 E/F형을 도입해 2023년까지 70여대의 그리펜을 배치할 것을 목표로, 초기 도입 물량이 퇴역한 자리를 메꾸게 될 것이다.
===해외===
그리펜은 여러 해외 수출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제3세계 비동맹국가들이란 틈새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전략으로 성공적인 입지를 갖게 되었다.
그리펜의 해외 수출은 타국의 회사들과 합작회사를 구성해 진행되었으며 체코와 헝가리를 비롯한 5개 국가에 150여대가 정식 배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남아공은 스웨덴을 제외하고 사브 그리펜 [[전투기]]를 구입한 첫 국가이다. 총 26대를 남아공이 수령할 예정이였지만 18대를 [[2012년]]에 도입하였다.
그러나 남아공은, 국방예산의 이유로 도입한 18대조차 완전하게 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남아공은, 국방예산의 이유로 도입한 18대조차 완전하게 운용하지 못하고 있다.
남아공은 단좌형 C형과 복좌형 D형을 도입했다.
남아공은 단좌형 C형과 복좌형 D형을 도입했다.
 
===헝가리===
===체코===
===태국===
[[태국]] [[공군]]에서 운용하던 [[F-5]]의 노후화로 인해 새로운 경[[전투기]]로의 대체를 위하여 그리펜을 도입했다.
[[태국]] [[공군]]에서 운용하던 [[F-5]]의 노후화로 인해 새로운 경[[전투기]]로의 대체를 위하여 그리펜을 도입했다.
태국은 남아공과 같이 C/D형을 도입하며, 18대의 그리펜 전투기를 도입할 예정으로, 현재 6대의 그리펜을 스웨덴으로 부터 수령하여 전력화한 상태에 있다. 태국은 차후 12대의 그리펜을 도입하고, 이후 [[F-5]]의 퇴역에 따라 추가도입이 성사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태국은 남아공과 같이 C/D형을 도입하며, 18대의 그리펜 전투기를 도입할 예정으로, 현재 6대의 그리펜을 스웨덴으로 부터 수령하여 전력화한 상태에 있다. 태국은 차후 12대의 그리펜을 도입하고, 이후 [[F-5]]의 퇴역에 따라 추가도입이 성사될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NG형의 도입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또한 NG형의 도입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변형==
'''JAS 39 A/B'''
A/B형은 1996년부터 양산되기 시작한 기본 사항이며 현재 스웨덴 공군에서 운용되던 A/B형 기체들은 2007년 C/D형으로 개량되었다. 단좌형이 A형, 복좌형이 B형으로 B형의 전장이 0.66m 더 길다.
'''JAS 39 C/D'''
A/B형에서 보다 발전된 항전장비와 무장을 갖춘 형식이다. 공중급유 기능이 추가되었고 나토(NATO)와의 합동작전을 위해 전자장비 등에서 소소한 개량을 거쳤다.
'''JAS 39 E/F(NG)'''
그리펜의 가장 발전된 사항으로 4.5세대 기종으로 분류된다. ES-05 AESA 레이더와 통합 항전장비를 장착했고 엔진도 보다 고출력의 F414G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여기에 2개의 무장장착점을 신설하고 연료 용량도 확장되면서 폭장량과 항속거리가 늘어났는데, 때문에 기체 크기는 이전 사항들보다 좀 더 대형화되었다.
==운용국가==
{{나라|스웨덴}}
{{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라|헝가리}}
{{나라|체코}}
{{나라|태국}}


{{각주}}
{{각주}}
[[분류:전투기]]
[[분류:전투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