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매니아 IIDX 시리즈/시리즈와 역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문서는 [[비트매니아 IIDX 시리즈]]의 각 시리즈의 전반적인 소개와 역사에 대해 다룹니다.
항목은 [[비트매니아 IIDX]]의 시리즈와 역사에 대해 다룹니다.
*각 시리즈의 항목은 이 문서의 문단으로 연결해주세요.
*문단 내용이 길어지면 별도 문서로 분리해주세요.}}


== 아케이드 ==
각 시리즈의 항목은 이 문서의 문단으로 연결해주세요.
=== beatmania IIDX ===
문단 내용이 길어지면 별도의 항목으로 분리해주세요.
[[파일:IIDX1ststyleLogo.gif]]


[[파일:IIDX1ststyle.gif|300픽셀]]
== beatmania IIDX ==
[[파일:IIDX1ststyle.gif]]


[[1999년]] [[2월 26일]] 발매. 캐치 카피는 '''時代を震わす鼓動を刻め!!'''(시대를 떨게 하는 고동을 새겨라!!).
1999년 2월 26일 발매. 정식 발매명은 beatmania IIDX지만 시리즈의 이름과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beatmania IIDX 1st style로 부른다. 게임 내부적으로도 카테고리 이름에서도 1st Style로 나타나며, GOLD RUSH에서의 시리즈 연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정식 발매명은 beatmania IIDX지만 시리즈의 이름과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beatmania IIDX 1st style로 부른다. 게임 내부적으로도 카테고리 이름에서 1st Style로 나타나며, [[GOLD RUSH]]에서의 시리즈 연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수록곡과 이식곡 ===
 
==== 신곡과 이식곡 ====
신곡 22곡, [[비트매니아]] 시리즈로부터의 이식곡 10곡으로 총 32곡이 수록되었다.
신곡 22곡, [[비트매니아]] 시리즈로부터의 이식곡 10곡으로 총 32곡이 수록되었다.
*당시 난이도 기준입니다.
*당시 난이도 기준입니다.
*현재 [[beatmania IIDX 22 PENDUAL]]에서 생존 중인 곡은 파란색 배경으로 처리했습니다. (총 6곡)
*현재 [[beatmania IIDX 22 PENDUAL]]에서 생존 중인 곡은 파란색 배경으로 처리했습니다. (총 6곡)
*7Keys는 지금의 하이퍼 난이도에 해당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난이도 체계의 변천사 문단을 참조해주세요.
*당시엔 어나더의 난이도가 표기되지 않아 존재 여부만 기입했습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rowspan="2" | 곡명 || rowspan="2" | 아티스트 || rowspan="2" | 장르 || rowspan="2" | BPM || colspan="2" | 난이도
! rowspan="2" | 곡명 || rowspan="2" | 아티스트 || rowspan="2" | 장르 || colspan="2" | 난이도
|-
|-
! 7Keys || 어나더
! 7Keys<ref>지금의 하이퍼 난이도</ref> || 어나더<ref>당시엔 난이도가 표기되지 않아 존재 여부만 기입</ref>
|-
|-
! colspan="6" | 신곡
! colspan="5" | 수록곡
|-
|-
| style="background: #DDEEFF;" | 22DUNK || SLAKE || TECHNO || 135 || 5 || 없음
| style="background: #DDEEFF;" | 22DUNK || SLAKE || TECHNO || 5 || 없음
|-
|-
| style="background: #DDEEFF;" | 5.1.1. || dj nagureo || PIANO AMBIENT || 101 || 1 || 없음
| style="background: #DDEEFF;" | 5.1.1. || dj nagureo || PIANO AMBIENT || 1 || 없음
|-
|-
| Be in my paradise || JJ COMPANY || SOUL CLASSIC BALLAD || 63 || 2 || 없음
| Be in my paradise || JJ COMPANY || SOUL CLASSIC BALLAD || 2 || 없음
|-
|-
| been so long || m-flo || JAPANESE HIPHOP || 96 || 3 || 없음
| been so long || m-flo || JAPANESE HIPHOP || 3 || 없음
|-
|-
| celebrate || JJ COMPANY || SOUL CLASSIC || 134 || 5 || 없음
| celebrate || JJ COMPANY || SOUL CLASSIC || 5 || 없음
|-
|-
| style="background: #DDEEFF;" | Dr.LOVE || baby weapon feat.Asuka.M || DANCE POP || 123 || 3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DDEEFF;" | Dr.LOVE || baby weapon feat.Asuka.M || DANCE POP || 3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 diving money || QUADRA || DRUN'N BASS || 150 || 3 || 없음
| diving money || QUADRA || DRUN'N BASS || 3 || 없음
|-
|-
| g.m.d. || DJ mazinger featuring Muhammad || HIPHOP || 100 || 3 || 없음
| g.m.d. || DJ mazinger featuring Muhammad || HIPHOP || 3 || 없음
|-
|-
| style="background: #DDEEFF;" | GAMBOL || SLAKE || BIG BEAT || 102 || 2 || 없음
| style="background: #DDEEFF;" | GAMBOL || SLAKE || BIG BEAT || 2 || 없음
|-
|-
| style="background: #DDEEFF;" | GRADIUSIC CYBER || TAKA || DIGI-ROCK || 159-167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DDEEFF;" | GRADIUSIC CYBER || TAKA || DIGI-ROCK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 into the world || QUADRA || WORLD GROOVE || 126 || 3 || 없음
| into the world || QUADRA || WORLD GROOVE || 3 || 없음
|-
|-
| LUV TO ME(disco mix) || tiger YAMATO || EURO BEAT || 154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LUV TO ME(disco mix) || tiger YAMATO || EURO BEAT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 Melt in my arms || Honey P feat.Asuka.M || DANCE POP || 118 || 3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Melt in my arms || Honey P feat.Asuka.M || DANCE POP || 3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 patsenner || dj nagureo || AMBIENT TECHNO || 108 || 5 || 없음
| patsenner || dj nagureo || AMBIENT TECHNO || 5 || 없음
|-
|-
| perfect free || nite system || HOUSE || 130 || 4 || 없음
| perfect free || nite system || HOUSE || 4 || 없음
|-
|-
| Prince on a star || SPIRITUAL RIDE || ALTERNATIVE ROCK || 145 || 5 || 없음
| Prince on a star || SPIRITUAL RIDE || ALTERNATIVE ROCK || 5 || 없음
|-
|-
| Queen's Jamaica (astria mix) || Crunky Boy featuring Muhammad || REGGAE || 94 || 4 || 없음
| Queen's Jamaica (astria mix) || Crunky Boy featuring Muhammad || REGGAE || 4 || 없음
|-
|-
| style="background: #DDEEFF;" | R3 || tiger YAMATO || RAVE || 157 || 5 || 없음
| style="background: #DDEEFF;" | R3 || tiger YAMATO || RAVE || 5 || 없음
|-
|-
| Special energy || DJ FX || TRANCE TECHNO || 140 || 5 || 없음
| Special energy || DJ FX || TRANCE TECHNO || 5 || 없음
|-
|-
| The Rhyme Brokers || m-flo || JAPANESE HIPHOP || 91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The Rhyme Brokers || m-flo || JAPANESE HIPHOP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 The theme from"flo-jack" || m-flo || HIPHOP || 93 || 1 || 없음
| The theme from"flo-jack" || m-flo || HIPHOP || 1 || 없음
|-
|-
| YOU MAKE ME || MONDAY MICHIRU || JAZZ HOUSE || 109 || 2 || 없음
| YOU MAKE ME || MONDAY MICHIRU || JAZZ HOUSE || 2 || 없음
|-
|-
! colspan="6" | beatmania, beatmania 2ndMIX 이식곡
! colspan="5" | [[비트매니아]] 시리즈 이식곡
|-
|-
| 20,november || dj nagureo || HOUSE || 130 || 3 || 없음
| 20,november || dj nagureo || HOUSE || 3 || 없음
|-
|-
| Beginning of life || QUADRA || AMBIENT || 110 || 1 || 없음
| Beginning of life || QUADRA || AMBIENT || 1 || 없음
|-
|-
| Deep Clear Eyes || QUADRA || DRUM'N BASS || 155 || 4 || 없음
| Deep Clear Eyes || QUADRA || DRUM'N BASS || 4 || 없음
|-
|-
| Do you love me? || reo-nagumo || BALLAD || 100 || 2 || 없음
| Do you love me? || reo-nagumo || BALLAD || 2 || 없음
|-
|-
| e-motion || e.o.s || RAVE || 140-145 || 3 || 없음
| e-motion || e.o.s || RAVE || 3 || 없음
|-
|-
| jam jam reggae || jam master'73 || REGGAE || 90 || 1 || 없음
| jam jam reggae || jam master'73 || REGGAE || 1 || 없음
|-
|-
| LOVE SO GROOVY || LOVEMINTS || SOUL || 141 || 3 || 없음
| LOVE SO GROOVY || LOVEMINTS || SOUL || 3 || 없음
|-
|-
| OVERDOSER || MIRAK || TECHNO || 132 || 3 || 없음
| OVERDOSER || MIRAK || TECHNO || 3 || 없음
|-
|-
| Salamander Beat Crush mix || NITE SYSTEM || KONAMIX || 134 || 3 || 없음
| Salamander Beat Crush mix || NITE SYSTEM || KONAMIX || 3 || 없음
|-
|-
| Ska a go go || THE BALD HEADS || SKA || 144-160 || 5 || 없음
| Ska a go go || THE BALD HEADS || SKA || 5 || 없음
|}
|}


=== beatmania IIDX substream ===
== beatmania IIDX substream ==
[[파일:IIDXsubstreamLogo.gif]]
[[파일:IIDXsubstreamLogo.gif]]


[[파일:IIDXsubstream.gif]]
[[파일:IIDXsubstream.gif]]


{{취소선|시리즈가 몇 번째인지 말할 때 꼭 두 번 말하게 하는 시리즈}}
<del>시리즈가 몇 번째인지 말할 때 꼭 두 번 말하게 하는 시리즈</del>
 
[[1999년]] [[7월 27일]] 발매. 캐치 카피는 '''The next respect'''.
 
당시 1st style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서둘러 발매된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댄스 댄스 레볼루션]]과의 연동 시스템 CLUB VERSION이 강화되었다. 사실상 1st style의 완전판으로, 이 CLUB VERSION을 통해서 IIDX는 당시 1st style에서의 부진했었던 인기를 어느 정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 신곡과 이식곡 ====
신곡 4곡, [[비트매니아]] 시리즈로부터 4곡, [[댄스 댄스 레볼루션]] 시리즈로부터 3곡이 추가되어 총 43곡이 수록되었다.
*당시 난이도 기준입니다.
*현재 [[beatmania IIDX 22 PENDUAL]]에서 생존 중인 곡은 파란색 배경으로 처리했습니다. (총 8곡)
*7Keys는 지금의 하이퍼 난이도에 해당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난이도 체계의 변천사 문단을 참조해주세요.
*당시엔 어나더의 난이도가 표기되지 않아 존재 여부만 기입했습니다.
 
{| class="wikitable"
|-
! rowspan="2" | 곡명 || rowspan="2" | 아티스트 || rowspan="2" | 장르 || rowspan="2" | BPM || colspan="3" | 난이도
|-
! 7Keys || 싱글 어나더 || 더블 어나더
|-
! colspan="7" | 신곡
|-
| gentle stress || DJ Swan || DRUM'N BASS || 175 || 4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Macho Gang || ANAL SPYDER || TRIBAL HOUSE || 125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style="background: #DDEEFF;" | THE EARTH LIGHT || L.E.D.LIGHT || TRANCE || 145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ちょっときいてな(ZANSIN-NA MIX) || Laugh & Peace || DRUM'N BASS || 164 || 4 || 없음 || 없음
|-
! colspan="7" | beatmania 4th Mix, beatmania APPEND YEBISU MIX<ref>비트매니아 시리즈의 가정용 이식작 버전</ref> 이식곡
|-
| style="background: #DDEEFF;" | deep in you || dj nagureo || DANCE POP || 126 || 4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style="background: #DDEEFF;" | GENOM SCREAMS || L.E.D.LIGHT || TRANCE || 150 || 5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Nahanaha vs. Gattchoon Battle || DJ Senda & Tiny-K || DJ BATTLE || 124~163 || 3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RUGGED ASH || SYMPHONIC DEFOGGERS || FUTURE JAZZ || 168 || 3 || 없음 || 없음
|-
! colspan="7" | Dance Dance Revolution 2ndMIX 이식곡
|-
| style="background: #DDEEFF;" | BRILLIANT 2U || NAOKI || EURO GROOVE || 150 || 4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KEEP ON MOVIN' || N.M.R || DANCE POP || 132 || 3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PARANOiA MAX〜DIRTY MIX〜 || 190 || JUNGLE || 190 || 4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style="background: #E6E6E6;" | 존재
|}
 
=== beatmania IIDX 2nd style ===
[[파일:IIDX2ndstyleImage.jpg|350픽셀]]
 
[[1999년]] [[9월 30일]] 발매. 캐치 카피는 '''譜面(ビート)の向こうへ駆け抜けろ!'''(채보(비트) 너머로 달려나가라!).
 
난이도 체계가 7까지 확장 되었고, HI-SPEED 옵션<ref>현재의 방식이 아닌 ON/OFF 방식</ref>이 도입되었다. 대한민국에는 소형판 기체(beatstage II 2nd style)로 시험적 정발이 되었다.
 
==== 신곡과 이식곡 ====
신곡 28곡이 추가되어 총 71곡이 수록되었다.
*당시 난이도 기준입니다.
*현재 [[beatmania IIDX 22 PENDUAL]]에서 생존 중인 곡은 파란색 배경으로 처리했습니다. (총 8곡)
*7Keys는 지금의 하이퍼 난이도와 같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난이도 체계의 변천사 문단을 참조해주세요.
*당시엔 어나더의 난이도가 표기되지 않아 존재 여부만 기입했습니다.
 
{| class="wikitable"
|-
! rowspan="2" | 곡명 || rowspan="2" | 아티스트 || rowspan="2" | 장르 || rowspan="2" | BPM || colspan="3" | 난이도
|-
! 7Keys || 싱글 어나더 || 더블 어나더
|-
! colspan="7" | 신곡
|-
| style="background: #DDEEFF;" | .59 || dj TAKA || CHILL OUT || 123-135 || 6 || 존재 || 없음
|-
| Bad boy || Vivi || DANCE POP || 95 || 3 || 없음 || 존재
|-
| Brazilian Rhyme || Satoru Shionoya + Satoshi Tomiie || HOUSE || 127 || 5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Dancin' Into The Night || good-cool || DISCO || 140 || 2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Digital MinD (A/T Libra mix) || TaQ || MINIMAL || 155 || 5 || 존재 || 없음
|-
| dong-tepo no.1<ref>국내판에서는 Rocket Factory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ref> || dj nagureo || TECHNO || 135 || 7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Electro Tuned (The SubS Mix) || TaQ || BIG BEAT || 125 || 5 || 존재 || 없음
|-
| Get on Beat || ON || HARD BAG || 126 || 3 || 존재 || 존재
|-
| Headache || good-cool || HARD HOUSE || 143 || 4 || 없음 || 없음
|-
| Hitch Hiker || good-cool || WARP HOUSE || 137 || 4 || 존재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I Was The One || good-cool || ITALO HOUSE || 125 || 3 || 존재 || 없음
|-
| I'm In Love Again || dj TAKA || SPEED GARAGE || 135 || 5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Indigo Vision (full flavor hide around mix) || TaQ || GOA TRANCE || 155 || 5 || 존재 || 없음
|-
| Junglist King<ref>'Junglist King (LONG)'이라 불리는 롱버전이 존재하며, 이는 아케이드 버전에서 원버전과 롱버전이 함께 존재했던 유일한 사례이다(Scripted Connection⇒ long mix은 CS 수록곡). 롱버전은 3rd style에서 삭제되었다. 이 곡의 롱버전의 난이도는 4.</ref> || Hirofumi Asamoto(ram jam world) || DRUM'N'BASS || 169 || 3 || 없음 || 없음
|-
| LET THE BEAT HIT EM! (BASS MIX) || STONE BROS. || MIAMI BASS || 110 || 2 || 없음 || 없음
|-
| lovin' you || MONDAY MICHIRU || JAZZ DRUM'N'BASS || 153-154 || 4 || 없음 || 없음
|-
| Mirrorball Satellite 2012 || m-flo || HIPHOP & SOUL || 103 || 3 || 존재 || 없음
|-
| morning prayer || SILVA || DISCO/HOUSE || 124 || 1 || 존재 || 없음
|-
| Panorama || Hirofumi Asamoto(ram jam world) || SOUL CLASSIC || 112 || 2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PUT YOUR FAITH IN ME (for beatmania II) || dj TAKA feat. UZI-LAY || JAZZ FUNK || 127 || 5 || 없음 || 없음
|-
| S.O.S || DR.BOMBAY || INDIE EURO/DANCE || 136-138 || 6 || 없음 || 없음
|-
| Second Style (Hip Hop Paradise) || dj TAKA feat. DAY BREAKERS || HIPHOP || 115 || 4 || 없음 || 없음
|-
| Shake || double || JAPANESE R&B || 98 || 2 || 존재 || 존재
|-
| Shine On || Shorai || SOUL || 111 || 5 || 존재 || 없음
|-
| SOFT LANDING ON THE BODY || DJ SIMON || SPIRITUAL || 80-318 || 5 || 없음 || 없음
|-
| style="background: #DDEEFF;" | SP-TRIP MACHINE (for beatmania II) || dj TAKA feat. DE-SIRE || JUNGLE || 168 || 4 || 존재 || 없음
|-
| 踊る!福神漬 (CALCUTTA) || DR.BOMBAY || INDIE EURO/DANCE || 138 || 5 || 존재 || 없음
|}
 
=== beatmania IIDX 3rd style ===
이 시리즈부터 IIDX는 모체였던 5키 비트매니아와 차별화되는 고난이도와 매니악한 수록곡 등을 지향하기 시작한다.
 
=== beatmania IIDX 4th style ===
 
=== beatmania IIDX 5th style ===
 
=== beatmania IIDX 6th style ===
 
=== beatmania IIDX 7th style ===
 
=== beatmania IIDX 8th style ===
 
=== beatmania IIDX 9th style ===
 
=== beatmania IIDX 10th style ===
 
=== beatmania IIDX 11 IIDX RED ===
시리즈명 짓기를 기존의 ~th Style 식에서 넘버링 뒤에 부제를 붙히는 방식으로 바꾼 최초의 시리즈이다.
 
=== beatmania IIDX 12 HAPPY SKY ===
현재 IIDX에서의 12레벨 난이도 체계가 처음으로 사용된 시리즈. 이 시리즈의 보스곡인 [[冥]]은 오랜기간 IIDX의 보스곡으로 군림한다.


=== beatmania IIDX 13 DistorteD ===
1999년 7월 27일 발매. 캐치 카피는 '''The next respect'''.
최초의 대규모 해금 이벤트와 함께 단위인정에 처음으로 개전이 추가된 시리즈.


=== beatmania IIDX 14 GOLD ===
== beatmania IIDX 2nd style ==
대한민국에는 소형판 기체(beatstage II 2nd style)로 시험적 정발


===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 ===
== beatmania IIDX 3rd style ==


=== beatmania IIDX 16 EMPRESS ===
== beatmania IIDX 4th style ==
13 Distorted 가정판에 선행 수록되었던 [[Go Beyond!!]]와 같은 초 고난이도 악곡들의 역이식과 함께 전체적인 난이도가 크게 올라갔다고 평가받는 시리즈이다.


=== beatmania IIDX 17 SIRIUS ===
== beatmania IIDX 5th style ==
차지 노트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 ===
== beatmania IIDX 6th style ==


=== beatmania IIDX 19 Lincle ===
== beatmania IIDX 7th style ==
일명 오타쿠 문화로 불리는 아키바계 신곡들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시리즈. 이 경향은 현재(27 HEROIC VERSE)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18 Resort Anthem의 보스곡중 하나인 [[灼熱beach side bunny]]의 영향인지 스크래치 입력 매커니즘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 beatmania IIDX 20 tricoro ===
== beatmania IIDX 8th style ==
대한민국에 최초로 정발된 시리즈.


=== beatmania IIDX 21 SPADA ===
== beatmania IIDX 9th style ==


=== beatmania IIDX 22 PENDUAL ===
== beatmania IIDX 10th style ==
최초로 한글화가 적용된 시리즈. 그 외에도 현재/미래 상태에 따라 옵션이 달라지는 형태로 미러 단위인정이 시범 적용되었다.


=== beatmania IIDX 23 COPULA ===
== beatmania IIDX 11 IIDX RED ==
헬차지 노트, 어시스트 이지 게이지, 단위인정 중전 코스가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전작에서의 미러 단위인정이 상시 변경 가능한 옵션으로 편입되었다.


=== beatmania IIDX 24 SINOBUZ ===
== beatmania IIDX 12 HAPPY SKY ==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
== beatmania IIDX 13 DistorteD ==


=== beatmania IIDX 26 Rootage ===
== beatmania IIDX 14 GOLD ==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
==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 ==


== 가정판 ==
== beatmania IIDX 16 EMPRESS ==
=== [[PS2]] 시리즈 ===
[[PS1]]으로 발매되던 5키 비트매니아와 달리 [[PS2]]로 발매되었으며 substream을 제외한 3rd ~ [[16 EMPRESS]]까지의 전 시리즈가 발매되었다. 약자로 IIDX CS로 표기하기도 한다. beatmania US라는 이름으로 북미판이 따로 발매되기도 했다.


아케이드보다 가정판에서 먼저 공개된 곡들이 있고([[Go Beyond!!]], [[quell~the seventh slave]] 등), 아케이드보다 한 작품 더 선행으로 수록된 곡들도 있으며([[smooooch・∀・]], [[Bad Maniacs]] 등), 심지어는 아직도 아케이드에 역이식 되지 않은 수록곡([[Go Berzerk]], [[Pluto]] 등)들도 있다.
== beatmania IIDX 17 SIRIUS ==


이외에도 가정판에만 수록된 난이도로 흑어나더(黑ANOTHER)라 불리우는 검은색 난이도가 있는데, 기존 어나더 채보와는 별도로 분류되며 더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이 채보들은 가정판의 계보가 끊긴 16 EMPRESS 이후 잊혀져 있다가 24 SINOBUZ 때 [[VANNESSA]], [[KAMAITACHI]]의 흑채보를 시작으로 일부가 아케이드 LEGGENDARIA 채보로 편입되었다. 일부 흑채보는 삭제곡을 부활시키는 과정에서 기존 어나더 채보를 폐기하고 대체하여 수록된 경우 ([[ミッドナイト堕天使]] 등)도 있었다.
==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 ==


이 PS2 가정판 시리즈의 플레이를 위해 발매된 [[비트콘]]은 통칭 박힘콘으로 불리우며, 타 메이커의 커스텀 사제 [[비트콘]]이 많이 나온 지금은 조금 덜해진 편이지만 현재까지도 일부 홈케이드 플레이어나 발광 [[Be-Music Script|BMS]] 플레이어들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를 가지고 있다. 북미 beatmania US와 함께 출시된 북미판 사양 [[비트콘]]은 통칭 덜박힘콘으로 불리운다. 박힘콘이라는 별명의 유래는 버튼 누를 때마다 박혀서 안 나와서라고 한다.
== beatmania IIDX 19 Lincle ==


=== INFINITAS ===
== beatmania IIDX 20 tricoro ==
[https://p.eagate.573.jp/game/eac2dx/infinitas/p/common/top.html 공식 사이트]
대한민국에 정발된 시리즈.


[[코나미]]의 이어뮤즈먼트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환으로 등장한 가정판 신작. 플랫폼은 PC이며 기존 CS와 달리 정액제로 요금을 내고 플레이할 수 있다. 가정판의 계보가 [[16 EMPRESS]]에서 끊긴 점을 의식했는지 서비스 시작 초기에는 [[17 SIRIUS]]의 수록곡을 위주로 이식하였다. [[3y3s]]의 롱버전 채보를 비롯한 가정판 한정 채보도 수록되어있다.
== beatmania IIDX 21 SPADA ==


이 시리즈의 발매로 생산이 끊긴 정발 [[비트콘]]이 모델은 다르지만 다시 생산되기 시작했다. 일반판과 염가판 두 모델이 존재하며, 염가판은 [[PS2]] 시리즈를 위해 만들어진 정발 [[비트콘]]과 매우 유사한 디자인을 하고 있다.
== beatmania IIDX 22 PENDUAL ==
최초로 한글화가 된 시리즈이다.


=== ULTIMATE MOBILE ===
== 주석 ==
[[2019년]] [[12월 9일]]에 발매. [[iOS]] 플랫폼으로 발매되었다.
<references/>
{{각주}}
[[분류:BEMANI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