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색월하, 광소의 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내용4={{유튜브|ROJk6wPQTDE|||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4={{유튜브|ROJk6wPQTDE|||center|'''YouTube Music 영상'''}}
}}
}}
'''비색월하, 광소의 절''' ({{일본어|緋色月下、狂咲ノ絶}})은 동인 서클 [[EastNewSound]]가 2008년 12월 29일(C75) 배포한 앨범, Lyrical Crimson에 수록된 {{ㅊ|뒤 수 없이 우려먹히는}} 보컬곡이다. 원곡은 [[플랑드르 스칼렛]]의 테마곡인 『U.N.오웬은 그녀인가?』, 어레인지는 {{일본어=|黒鳥|흑조/코쿠쵸}}이며 작사가는 nayuta와 {{일본어=|いずみん|이즈민}}, 보컬은 nayuta<ref>처음에는 {{일본어=|葉月なの|하츠키 나노}}라는 명의로 참가했다.</ref> 다.
'''비색월하, 광소의 절''' ({{일본어|緋色月下、狂咲ノ絶}})은 동인 서클 [[EastNewSound]]가 2008년 12월 29일(C75) 배포한 앨범, Lyrical Crimson에 수록된 {{ㅊ|뒤 수 없이 우려먹히는}} 보컬곡이다. 원곡은 [[플랑드르 스칼렛]]의 테마곡인 『U.N.오웬은 그녀인가?』, 어레인지는 {{일본어=|黒鳥|흑조/코쿠쵸}}이며 작사가는 nayuta와 {{일본어=|いずみん|이즈민}}, 보컬은 nayuta<ref>처음에는 {{일본어=|葉月なの|하츠키 나노}}라는 명의로 참가했다.</ref>다.


흡혈귀와 광기와 얀데레라는 세 요소가 재앙과도 같이 섞인 가사와 그와 절묘하게 어울리는 선율, 그리고 nayuta의 귀여우면서도 어딘가 으스스한 독특한 음색이 어우러진 곡. 가장 큰 특징은 클라이막스 직전의 스테레오 사운드로 들려오는 광기 어린 속삭임. 계속 듣고 있다 보면 정말로 정신줄을 놓아버릴 것만 같은 분위기를 보여주며, 파생곡마다 분위기는 달라도 이 부분은 항상 포함된다.
흡혈귀와 광기와 얀데레라는 세 요소가 재앙과도 같이 섞인 가사와 그와 절묘하게 어울리는 선율, 그리고 nayuta의 귀여우면서도 어딘가 으스스한 독특한 음색이 어우러진 곡. 가장 큰 특징은 클라이막스 직전의 스테레오 사운드로 들려오는 광기 어린 속삭임. 계속 듣고 있다 보면 정말로 정신줄을 놓아버릴 것만 같은 분위기를 보여주며, 파생곡마다 분위기는 달라도 이 부분은 항상 포함된다.
333번째 줄: 333번째 줄:
|영어제목=<span style='line-height:1rem; letter-spacing:-0.05em;'>Hiiro Gekka, Kyoushou no Zetsu <span style='line-height:1rem; font-size:80%'>(nayuta 2017 ver.)</span></span>
|영어제목=<span style='line-height:1rem; letter-spacing:-0.05em;'>Hiiro Gekka, Kyoushou no Zetsu <span style='line-height:1rem; font-size:80%'>(nayuta 2017 ver.)</span></span>
|이미지= hiiro gekka nayuta 2017.png
|이미지= hiiro gekka nayuta 2017.png
|배경 테마=Conflict
|테마(빛/대립)=대립
|작곡=nayuta x {{일본어=|黒鳥}}(EastNewSound)
|작곡=nayuta x {{일본어=|黒鳥}}(EastNewSound)
|BPM = 150
|BPM = 150
348번째 줄: 348번째 줄:
|버전 = 4.3.0
|버전 = 4.3.0
|추가날짜 = 2023-03-02
|추가날짜 = 2023-03-02
|일러스트레이션 = {{일본어=|ぃやまと}}
|그림 = {{일본어=|ぃやまと}}
|노트 디자인 = {{일본어=|絶滅}} Exschwasion {{일본어=|絶滅}} Exschwasion
|난이도 디자인 = {{일본어=|絶滅}} Exschwasion {{일본어=|絶滅}} Exschwasion
}}
}}
{{Arcaea/Memory Archive}}
{{Arcaea/Memory Archive}}
367번째 줄: 367번째 줄:
==파생곡==
==파생곡==
{{안내문|ENS의 『○○○○, ○○의 ○』  제목으로 이루어지고 2절과 3절 사이에 특유의 속삭임이 존재하는 곡들을 정리한다.}}
{{안내문|ENS의 『○○○○, ○○의 ○』  제목으로 이루어지고 2절과 3절 사이에 특유의 속삭임이 존재하는 곡들을 정리한다.}}
----
-----
* '''사주련음, 영롱한 끝''' ({{일본어|死奏憐音、玲瓏ノ終}}) [https://www.youtube.com/watch?v=rUJW_cV-_eA YouTube] [https://www26.atwiki.jp/toholyrics/pages/338.html 가사]
* '''사주련음, 영롱한 끝''' ({{일본어|死奏憐音、玲瓏ノ終}}) [https://www.youtube.com/watch?v=rUJW_cV-_eA YouTube] [https://www26.atwiki.jp/toholyrics/pages/338.html 가사]
: 2009년의 제 6회 하쿠레이 신사 예대제에서 배포된 앨범 Scattered Destiny에 수록된 곡. 보컬은 nayuta이며, 원곡은 [[사이교우지 유유코]]의 테마곡, 『유아하게 피어라, 묵염의 벚꽃』이다. 유유코의 배경 설정과 어울리는 처절한 분위기{{ㅊ|와 nayuta의 연기}}가 특징.
: 2009년의 제 6회 하쿠레이 신사 예대제에서 배포된 앨범 Scattered Destiny에 수록된 곡. 보컬은 nayuta이며, 원곡은 [[사이교우지 유유코]]의 테마곡, 『유아하게 피어라, 묵염의 벚꽃』이다. 유유코의 배경 설정과 어울리는 처절한 분위기{{ㅊ|와 nayuta의 연기}}가 특징.
375번째 줄: 375번째 줄:
: 2010년의 코미케 78에 배포된 앨범 Felsic Mirage에 수록된 곡. 보컬은 茶太(챠타)이며, 원곡은 신작의 [[카자미 유카]]의 테마곡 『금석환상향 ~ Flower Land』이다. 이 곡을 기점으로 한동안 파생곡의 명맥이 끊겼었는데...
: 2010년의 코미케 78에 배포된 앨범 Felsic Mirage에 수록된 곡. 보컬은 茶太(챠타)이며, 원곡은 신작의 [[카자미 유카]]의 테마곡 『금석환상향 ~ Flower Land』이다. 이 곡을 기점으로 한동안 파생곡의 명맥이 끊겼었는데...
* '''삼색혈계, 월광의 옥''' ({{일본어|滲色血界、月狂ノ獄}}) [https://www.youtube.com/watch?v=hr_klCWOQzU YouTube] [http://blog.livedoor.jp/project19742001/archives/00726.html 가사]
* '''삼색혈계, 월광의 옥''' ({{일본어|滲色血界、月狂ノ獄}}) [https://www.youtube.com/watch?v=hr_klCWOQzU YouTube] [http://blog.livedoor.jp/project19742001/archives/00726.html 가사]
: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뒤, 무라사키 호타루 버전의 비색월하 광소의 절이 나온 뒤에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해당 곡은 2016년의 코미케 90에 수록되어 있다. 보컬은 nayuta이고, 원곡은 [[레밀리아 스칼렛]]의 테마 『죽은 왕녀를 위한 셉텟』이다. 누가 언니 아니랄까봐 비색월화의 광적인 분위기와 굉장히 비슷하다 못해 오히려 한 술 더 뜨기까지 하는데, 의외로 가사는 비색월화가 아닌 Rot in hell!!<ref>Blaze out에 수록</ref> 과 이어져 있다.
: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뒤, 무라사키 호타루 버전의 비색월하 광소의 절이 나온 뒤에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해당 곡은 2016년의 코미케 90에 수록되어 있다. 보컬은 nayuta이고, 원곡은 [[레밀리아 스칼렛]]의 테마 『죽은 왕녀를 위한 셉텟』이다. 누가 언니 아니랄까봐 비색월화의 광적인 분위기와 굉장히 비슷하다 못해 오히려 한 술 더 뜨기까지 하는데, 의외로 가사는 비색월화가 아닌 Rot in hell!!<ref>Blaze out에 수록</ref>과 이어져 있다.
* '''음영관측, 밀실의 독''' ({{일본어|陰翳観測、密室ノ独}}) [https://www.youtube.com/watch?v=Ayok7hhlvxE YouTube]  
* '''음영관측, 밀실의 독''' ({{일본어|陰翳観測、密室ノ独}}) [https://www.youtube.com/watch?v=Ayok7hhlvxE YouTube]  
: 2016년의 코미케 91에 배포된 앨범 Ironic Relation에 수록된 곡. 보컬은 夕月椿(유즈키 츠바키)이고 원곡은 [[파츄리 널리지]]의 테마 『락트 걸 ~ 소녀밀실』이다. 보라색 콩나물답게 답답한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 2016년의 코미케 91에 배포된 앨범 Ironic Relation에 수록된 곡. 보컬은 夕月椿(유즈키 츠바키)이고 원곡은 [[파츄리 널리지]]의 테마 『락트 걸 ~ 소녀밀실』이다. 보라색 콩나물답게 답답한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