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슈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블랙★록 슈터'''는 [[일러스트레이터]] [[huke]]의 [[2007년]] 캐릭터 디자인으로부터 비롯하여 [[보컬로이드]]를 이용한 악곡 및 [[OVA]], [[TVA]], [[게임]], [[만화]] 등으로 미디어가 전개된 일련의 기획 및 그 주인공 캐릭터를 가리킨다.
===개요===


[[보컬로이드]] [[작곡가]]였던 ryo가 [[huke]]의 일러스트에서 영감을 얻어, 동일한 이름의 곡을 [[2008년]] [[6월 13일]]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했다.  
블랙★록 슈터는 일러스트레이터 huke의 2007년 캐릭터 디자인으로부터 비롯하여, 보컬로이드를 이용한 악곡이나 OVA, TVA, 게임, 만화 등으로 미디어가 전개된 일련의 기획 및 그 주인공 캐릭터를 가리킨다.


[[huke]]의 캐릭터 자체에는 크게 설정이 붙지 않아 작품별로 그 성격들이 다르다. [[OVA]]나 [[TVA]]는 비슷하게 현실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변신소녀물이나 배틀물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게임의 경우엔 완전히 [[SF]]로, 또 만화는 [[오컬트]]에 가까운 등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보컬로이드 작곡가였던 ryo가 huke의 일러스트에서 영감을 얻어, 동일한 이름의 곡을 2008년 6월 13일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했다.
 
huke의 캐릭터엔 크게 설정이 붙지않아, 작품별로 그 성격들이 다르다. OVA나 TVA는 비슷하게 현실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변신소녀물이나 배틀물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게임의 경우엔 완전히 SF로, 또 만화는 오컬트에 가까운 등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악곡===
===악곡===
{{니코|sm3645817|||center}}
개요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2008년 6월 13일, 보컬로이드 작곡가 ryo가 보컬로이드 소프트인 하츠네 미쿠를 이용하여 만들고 니코니코동에 업로드한 악곡. [[http://www.nicovideo.jp/watch/sm3645817]]


[[2008년]] [[6월 13일]] 보컬로이드 작곡가 ryo가 [[보컬로이드]] 소프트웨어인 [[하츠네 미쿠]]를 이용하여 만들고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한 악곡.  
이미 '멜트'나 '월드 이즈 마인' 등의 곡을 업로드하여 인기를 얻고 있던 Ryo의 곡인만큼 큰 관심을 모아았으며, PV나 곡의 완성도 역시 당시 보컬로이드 영상 중에는 뛰어난 측에 속한다.


이미 '멜트'나 '월드 이즈 마인' 등의 곡을 업로드하여 인기를 얻고 있던 Ryo의 곡인만큼 큰 관심을 모았으며, PV나 곡의 완성도 역시 당시 보컬로이드 영상 중에는 뛰어난 측에 속한다.
===OVA===


===OVA===
스튜디오 Ordet에서 제작한 러닝타임 50분의 OVA. 요시오카 시노부의 감독 데뷔작이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등으로 유명한 타니가와 나가루가 각본에 참여하였다.
스튜디오 Ordet에서 제작한 러닝타임 50분의 OVA. 요시오카 시노부의 감독 데뷔작이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등으로 유명한 타니가와 나가루가 각본에 참여하였다.


====스토리====
====스토리====
* '''쿠로이 마토''' (CV. 하나자와 카나)


* '''타카나시 요미''' (CV. 사와시로 미유키)
* 쿠로이 마토
(CV. 하나자와 카나)


* 타카나시 요미
(CV. 사와시로 미유키)
====등장인물====
====등장인물====
====삽입곡====
====삽입곡====
====스태프====
====스태프====
===TVA===
===TVA===
스튜디오 Ordet이 제작하고 산지겐이 참여한 총 8화의 애니메이션. [[2012년]] 2월부터 6월까지 후지 텔레비전에서 방영한 [[노이타미나]] 기획. 감독은 OVA와 마찬가지로 요시오카 시노부. 각본 및 시리즈 구성은 [[오카다 마리]].
 
스튜디오 Ordet이 제작하고 산지겐이 참여한 총 8화의 애니메이션. 2012년 2월부터 6월까지 후지 텔레비전에서 방영한 [[노이타미나]] 기획. 감독은 OVA와 마찬가지로 요시오카 시노부. 각본 및 시리즈 구성은 [[오카다 마리]]


현실의 세계가 Ordet에서 제작한 2D로 그려지는 반면, 허무의 세계는 산지겐의 풀3D CG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마이시 히로유키가 CG특기감독으로 참여해 구도나 액션에서 그의 테이스트를 느낄 수 있다.
현실의 세계가 Ordet에서 제작한 2D로 그려지는 반면, 허무의 세계는 산지겐의 풀3D CG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마이시 히로유키가 CG특기감독으로 참여해 구도나 액션에서 그의 테이스트를 느낄 수 있다.


====스토리====
====스토리====
{{인용문2|
'''Introduction A.'''
'''Introduction A.'''


54번째 줄: 58번째 줄:
소녀들의 마음과 마음이 부딪혀, 비명을 지르기 시작할 때.
소녀들의 마음과 마음이 부딪혀, 비명을 지르기 시작할 때.


그때, 세계는 변하기 시작한다. 날카롭게 가슴을 찌르는 아픔과 함께. 누구도 예상치못한 모습으로……}}
그때, 세계는 변하기 시작한다. 날카롭게 가슴을 찌르는 아픔과 함께. 누구도 예상치못한 모습으로……
{{인용문2|
 
'''Introduction B'''
'''Introduction B'''


84번째 줄: 88번째 줄: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블랙★록 슈터'라고.<ref>https://www.noitamina-brs.jp/intoroduction/</ref>}}
"나는 '블랙★록 슈터'라고.<ref>https://www.noitamina-brs.jp/intoroduction/</ref>


====등장인물====
====등장인물====
* '''쿠로이 마토''' (CV. 하나자와 카나)
* 쿠로이 마토
*: 허무의 세계에서 블랙 록 슈터에 대응하는 인물. 농구부 부원. 활달하고 붙임성이 좋은 성격. 다만 속으로는 자신이든 타인이든 상처입는 것을 싫어해, 이를 기피하는 성향도 지니고 있다. 작중에 등장하는 그림동화 〈작은 새 여러가지 색〉의 애독자다.
(CV. 하나자와 카나)
허무의 세계에서 블랙 록 슈터에 대응하는 인물. 농구부 부원. 활달하고 붙임성이 좋은 성격. 다만 속으로는 자신이든 타인이든 상처입는 것을 싫어해, 이를 기피하는 성향도 지니고 있다. 작중 동화책 <작은 새 여러가지 색>의 애독자다.


* '''타카나시 요미''' (CV. 사와시로 미유키)
* 타카나시 요미
*: 허무의 세계에서 데드 마스터에 대응하는 인물. 쿠로이 마토와 입학식에서 처음 만났다.  
(CV. 사와시로 미유키)
허무의 세계에서 데드 마스터에 대응하는 인물. 쿠로이 마토와 입학식에서 처음 만났다.  


* '''이즈리하 카가리''' (CV. 키타무라 에리)
* 이즈리하 카가리
*: 허무의 세계에서 캐리엇에 대응하는 인물. 휠체어를 타고 생활하며 집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타카나시 요미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며, 요미와 자신의 관계에 끼어든 마토를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  
(CV. 키타무라 에리)
허무의 세계에서 캐리엇에 대응하는 인물. 휠체어를 타고 생활하며 집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타카나시 요미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며, 요미와 자신의 관계에 끼어든 마토를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  


* '''코우타리 유우''' (CV. 아스미 카나)
* 코우타리 유우
*: 허무의 세계에서 스트렝스에 대응하는 인물. 농구부의 매니저. 쿠로이 마토와는 소꿉친구.
(CV. 아스미 카나)
허무의 세계에서 스트렝스에 대응하는 인물. 농구부의 매니저. 쿠로이 마토와는 소꿉친구.


* '''이리노 사야''' (CV. 노토 마미코)
* 이리노 사야
*:블랙 골드 소우에 대응하는 인물. 상담교사.
(CV. 노토 마미코)
블랙 골드 소우에 대응하는 인물. 상담교사.


====삽입곡====
====삽입곡====
* 오프닝
* 오프닝
*: BLACK ROCK SHOOTER
BLACK ROCK SHOOTER


* 엔딩
* 엔딩
*: 우리들의 발자국
우리들의 발자국
 
====스태프====


{{각주}}
===게임===
[[분류:VOCALOID]]
====스토리====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분류:2010년 애니메이션]]
====삽입곡====
[[분류:2012년 애니메이션]]
====스태프====
[[분류:일본의 게임]]
<references />
[[분류: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게임]]
[[분류:웹 게임]]
[[분류:모바일 게임]]
[[분류:2011년 비디오 게임]]
[[분류:2012년 비디오 게임]]
[[분류:2013년 서비스 종료]]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2011년 만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