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닝 하이파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 1935  
* 1935  
*: 첫 양산된 초기형으로 탄젠트식 가늠자가 달린 것이 외형상 특징이다. 특별할건 없고 발매 당시의 총들이 탄젠트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해서 탄젠트식 가늠자가 달린 것이라고 한다. 중화민국군도 사용한적이 있는데 이때문에 대만의 가스건 회사가 초기형을 만들었는듯 보인다.  
첫 양산된 초기형으로 탄젠트식 가늠자가 달린 것이 외형상 특징이다. 특별할건 없고 발매 당시의 총들이 탄젠트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해서 탄젠트식 가늠자가 달린 것이라고 한다. 중화민국군도 사용한적이 있는데 이때문에 대만의 가스건 회사가 초기형을 만들었는듯 보인다.  


* Mk.I
* Mk.I
*: 흔히 아는 일반형 모델이다. 2차대전 이후 개량된 모델.
흔히 아는 일반형 모델이다. 2차대전 이후 개량된 모델.


* Mk.II
* Mk.II
*: 2차 개량형. 1982년에 제작되었다. 안잔장치가 양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변경 되었고 총열과 가늠자, 가늠쇠 등이 개량 되었다.  
2차 개량형. 1982년에 제작되었다. 안잔장치가 양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변경 되었고 총열과 가늠자, 가늠쇠 등이 개량 되었다.  


* Mk.III
* Mk.III
*: 3차 개량형. 1988년에 제작되었다. 외형은 Mk.II와 거의 차이가 없다. 공이차단식 안전장치가 추가되었고 그립페널이 손에 쥐기 더 편한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바뀌었다. 총몸은 검은색 에폭시로 마감했다.  
3차 개량형. 1988년에 제작되었다. 외형은 Mk.II와 거의 차이가 없다. 공이차단식 안전장치가 추가되었고 그립페널이 손에 쥐기 더 편한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바뀌었다. 총몸은 검은색 에폭시로 마감했다.  


=== 파생형 ===
=== 파생형 ===
* 컴페티션 모델
* 컴페티션 모델
*: 사격 경기용 모델로 컨벤세이터, 사격 경기용 정밀가늠자 등이 장착된 모델이다. 그립페널은 팩마이어 옵션용이 장착되어 있다.
사격 경기용 모델로 컨벤세이터, 사격 경기용 정밀가늠자 등이 장착된 모델이다. 그립페널은 팩마이어 옵션용이 장착되어 있다.
 
* DA 모델
*: 현대권총이 더블액션 장치가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추세에 따라 출시되었다. 더블액션 기능이 추가된 모델로 1985년 미군제식소총 선정사업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뭐 결과는 알다싶히... 베레타의 최종승리로 끝났다.


== 기타 ==
== 기타 ==
62번째 줄: 59번째 줄:


* JAC
* JAC
* [[도쿄마루이]]
* [[도쿄마루이]]
*: 가스 블로우백 방식이긴 한데 마루이의 초기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터라 성능이나 외양은 미흡하다. 탄창이 슬라이드 뒷면에 들어가서 슬라이드의 상하 폭이 커졌다.  
가스 블로우백 방식이긴 한데 마루이의 초기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터라 성능이나 외양은 미흡하다. 탄창이 슬라이드 뒷면에 들어가서 슬라이드의 상하 폭이 커졌다.  


* 다나까웍스  
* 다나까웍스  
*: WA의 마그나 블로우백 시스템과 탄창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일본 국내에서 브라우닝 에어소프트 모델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회사 제품이기도 하다. Mk.1 부터 Mk.III까지, 초기형 1935, 캐나디안 등 바리에이션은 다양하다. 외형은 뛰어나지만 내구도나 발사성능은 좋지 못한 편이다. 홉업은 있으나 마나한 수준이여서 사거리와 정확도는 엉망이고 가스 토출량도 일정치 않아 불안하다. 국내엔 수입이 되지 않아서 구하기 어렵고 직구를 통해 구해야 한다.
WA의 마그나 블로우백 시스템과 탄창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일본 국내에서 브라우닝 에어소프트 모델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회사 제품이기도 하다. Mk.1 부터 Mk.III까지, 초기형 1935, 캐나디안 등 바리에이션은 다양하다. 외형은 뛰어나지만 내구도나 발사성능은 좋지 못한 편이다. 홉업은 있으나 마나한 수준이여서 사거리와 정확도는 엉망이고 가스 토출량도 일정치 않아 불안하다. 국내엔 수입이 되지 않아서 구하기 어렵고 직구를 통해 구해야 한다.


* WE-TECH
* WE-TECH
*: 대만의 제품으로 다나까웍스의 제품을 카피했다. 쉽게 말해서 다나까웍스의 풀메탈 버전. 1935 모델이 선행으로 출시되고 MK.III 모델이 2020년 하반기에 출시 되었다. 내부 구조가 다나까의 것을 그대로 답습한 터라 위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보통 대만제는 좋은 구조의 제품을 섞어서 발매하는 경향이 있는데 어째서 예전의 구조를 그대로 답습했는지 아이러니. 원본과 달리 두 종류만 발매되어서 선택의 폭이 넓지 않다. 브라우닝, 루거, P38 등 WE에서 발매된 고전 권총들은 발사성능이 좋지 못하지만 외형재현이 좋고 유일하게 고전권총 모델들을 발매해주는 터라 고전권총을 선호하는 유저들이 선택지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구매하는 편이다 못쓸 정도까진 아닌데 사용하려면 홉업을 튜닝해 줘야 탄이 엉뚱한 곳으로 튀지 않는다.
대만의 제품으로 다나까웍스의 제품을 카피했다. 쉽게 말해서 다나까웍스의 풀메탈 버전. 1935 모델이 선행으로 출시되고 MK.III 모델이 2020년 하반기에 출시 되었다. 내부 구조가 다나까의 것을 그대로 답습한 터라 위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보통 대만제는 좋은 구조의 제품을 섞어서 발매하는 경향이 있는데 어째서 예전의 구조를 그대로 답습했는지 아이러니. 원본과 달리 두 종류만 발매되어서 선택의 폭이 넓지 않다. 브라우닝, 루거, P38 등 WE에서 발매된 고전 권총들은 발사성능이 좋지 못하지만 외형재현이 좋고 유일하게 고전권총 모델들을 발매해주는 터라 고전권총을 선호하는 유저들이 선택지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구매하는 편이다 못쓸 정도까진 아닌데 사용하려면 홉업을 튜닝해 줘야 탄이 엉뚱한 곳으로 튀지 않는다.


=== 에어코킹건 ===
=== 에어코킹건 ===
열거한 제품 대부분이 현재는 생산이 되지 않는 단종품이다. 가스건보다 더욱 구하기 어려운 편이다.
* KHC
*: DA 모델을 재현한 것으로 슬라이드 양 옆에 나사구멍과 탄창의 크기가 약간 작다는 것을 제외하면 완성도는 뛰어나다. 열거된 제품과 달리 해머도 코킹이 가능하고 탄피배출구도 별도의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다. 한국의 코스모, T&T가 이 제품의 원본이다.
* 요네자와
*: 금형이 어디것이 먼저 만들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다. 이 금형을 이마이와 아오시마에서 돌려쓰기도 했었다. Mk.1 모델을 재현한 제품이고 슬라이드 뒷부분과 그립페널의 크기가 왜곡된 형태여서 완성도는 떨어진다. 한국의 삼성교재도 이 제품을 카피했다.
* 도쿄마루이
*: 컴페티션 모델을 재현한 제품이다. 제품이 예전에 나온만큼 완성도는 떨어지는 편이나 실루엣은 제법 괜찮다.
* 산에이
*: Mk.I과 캐나디안 제품을 재현한 것으로 Mk.I 모델 제품군 중엔 그나마 재현도가 높은 수준이다. 물론 좋게 얘기하자면 그렇다는 거고 이 제품도 지금 기준으로 본다면 완성도가 안좋다. 해머가 몰드인건 둘째 치겠는데 해머의 써레이션이 생략된 민짜에 해머의 몰드가 슬라이드에 붙어있다. 그래도 마루이 제품보다 더욱 구하기 어렵고 전체적인 느낌은 나쁘지 않다.
* 삼성교재
*: 요네자와의 카피품이다. T&T의 제품에 비하면 덜 알려져있다. 조립형과 완성형 타입으로 발매되었고 1990년대 기준으로 그립부에 상아색 칼라파트가 적용되어 있다.
* T&T, 코스모
*: KHC의 카피품이다. 코스모제품은 탄창이 두개가 들어있는데 T&T 제품에 비하면 보기가 어렵다. T&T의 제품이 생산량이 많고 그나마 이중엔 찾기 쉽다. 브라우닝 하이파워 에어코킹 모델을 대한민국 국내에서 접해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제품이다. 허나 오리지널의 모델을 원하는 유저들은 오리지널 모델이 아니라는 것을 아쉬워 한다.
* 우마렉스
*: Mk.III 모델을 재현한 것으로 가장 최근에 제작된 터라 완성도는 높은 편이다. 우마렉스 제품은 대만, 일본, 대한민국, 홍콩 등의 에어소프트 제품을 리패키징 해서 판매하는 터라 어느회사가 제작했는지는 알 길이 없다. 대만의 회사가 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나마도 단종인지 지금은 보기 어렵다.


{{각주}}
{{각주}}


[[분류:권총]]
[[분류:권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