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 고기압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북서태평양 서부에 자리하고 있는 해양성 아열대 기단으로 종관규모로 볼 경우 해들리 순환에 의해 위도 30도 부근에 형성되는 아열대 고압대의 일종이다.
북서태평양 서부에 자리하고 있는 해양성 아열대 기단으로 종관규모로 볼 경우 해들리 순환에 의해 위도 30도 부근에 형성되는 아열대 고압대의 일종이다.


북태평양 기단이라고도 하는데 사실 [[기단]]은 고기압과 저기압 관계 없이 일정한 성질을 가진 공기덩어리가 한 지역에 오래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뿐 고기압/저기압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보면 북태평양 기단을 이루는 공기덩어리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태평양 기단이라고도 하는데 사실 [[기단]]은 고기압과 저기압 관계 없이 일정한 성질을 가진 공기덩어리가 한 지역에 오래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뿐 고기압/저기압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보면 북태평양 기단을 이루는 공기덩어리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북태평양 고기압은 온난 습윤한 성질의 전형적인 아열대 해양성 고기압{{ㅈ|mT기단에 해당}}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권의 여름철 날씨에 영향을 주는 고기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북태평양 고기압은 온난 습윤한 성질의 전형적인 아열대 해양성 고기압{{ㅈ|mT기단에 해당}}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권의 여름철 날씨에 영향을 주는 고기압으로 알려져 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구분법과 주요 특성==
==구분법과 주요 특성==
북태평양 고기압은 대기 대순환([[해들리 순환]])의 하강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종관단위의 고기압권으로 대기 상층부에서부터 하강하는 기류가 하층부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당히 키가 큰 고기압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권은 여름철 하층 일기도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나지만 그 특유의 높이 때문에 그 실질적인 기후학적 경계선은 상층 일기도 중 500hPa영역의 일기도에서 5880gpm 등고선을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대기 대순환(해들리 순환)의 하강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종관단위의 고기압권으로 대기 상층부에서부터 하강하는 기류가 하층부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당히 키가 큰 고기압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권은 여름철 하층 일기도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나지만 그 특유의 높이 때문에 그 실질적인 기후학적 경계선은 상층 일기도 중 500hPa영역의 일기도에서 5880hpm 등고선을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일:500hPa.png|500hPa.png]]<br />
[[File:500hPa.png|500hPa.png]]<br />
2020년 7월 22일 03시 기준 500hPa영역 일기도, 남해상에 있는 고기압권과 일본 동쪽의 고기압권 둘이 보인다. 남해상의 고기압권도 해양성 고기압이고 북태평양 고기압에서 유래한 것이나 중국-한반도-일본에 걸친 장마전선과 주변 기압골로 북태평양고기압과 분리된 해양성 절리 고기압으로 일부 변질되었고 일본 동편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본진이 자리하고 있다. 일기도상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을 구분할 때는 500hPa 일기도상에서는 고기압표시(H)와 온난핵 표시(W)가 일치하는 지점을 북태평양 고기압의 중심으로 보며, 5880gpm 등고선을 그 세력권의 경계선으로 본다.
2020년 7월 22일 03시 기준 500hPa영역 일기도, 남해상에 있는 고기압권과 일본 동쪽의 고기압권 둘이 보인다. 남해상의 고기압권도 해양성 고기압이고 북태평양 고기압에서 유래한 것이나 중국-한반도-일본에 걸친 장마전선과 주변 기압골로 북태평양고기압과 분리된 해양성 절리 고기압으로 일부 변질되었고 일본 동편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본진이 자리하고 있다. 일기도상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을 구분할 때는 500hPa 일기도상에서는 고기압표시(H)와 온난핵 표시(W)가 일치하는 지점을 북태평양 고기압의 중심으로 보며, 5880gpm 등고선을 그 세력권의 경계선으로 본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바다 위에 있는 공기덩어리 답게 기본적으로 습윤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중저위도가 그 중심부인만큼 열대성 기단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온난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온난습윤/고온다습)
바다 위에 있는 공기덩어리 답게 기본적으로 습윤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중저위도가 그 중심부인만큼 열대성 기단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온난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온난습윤/고온다습)
6월 이전에는 500hPa영역에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서쪽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세력권이 북위 20도선 부근까지 남하하면서 원래 다른 지역의(주로 인도양 벵골만 일대) 중위도 고기압대(해들리 대순환의 하강대)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서쪽 경계선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기후 영향==
==한반도 기후 영향==
* [[장마]] : 장마전선의 수증기 공급원 제1순위가 바로 이 북태평양 고기압이다. 상대적으로 한랭한 북쪽의 기단들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에 의한 충돌로 발생하는 전선대가 바로 장마전선으로 기본적인 열기와 수증기 공급을 하면서 장마전선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 추가로 제트기류나 [[티베트 고기압]], 동북아시아 몬순기압골 등이 전체적인 장마의 패턴을 조정하지만 일단 장마라는 것의 시작과 끝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 차가운 기단들간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것이 전체적인 큰 맥락에 들어간다. 실제로 장마전선대의 위치는 북태평양 고기압권의 가장자리인 5880gpm선과 거의 평행한 지역에서 온도변화가 크게 관측되는 지점에서 활성화된다.
* [[장마]] : 장마전선의 수증기 공급원 제1순위가 바로 이 북태평양 고기압이다. 상대적으로 한랭한 북쪽의 기단들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에 의한 충돌로 발생하는 전선대가 바로 장마전선으로 기본적인 열기와 수증기 공급을 하면서 장마전선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 추가로 제트기류나 [[티베트 고기압]], 동북아시아 몬순기압골 등이 전체적인 장마의 패턴을 조정하지만 일단 장마라는 것의 시작과 끝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 차가운 기단들간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것이 전체적인 큰 맥락에 들어간다. 실제로 장마전선대의 위치는 북태평양 고기압권의 가장자리인 5880gpm선과 거의 평행한 지역에서 온도변화가 크게 관측되는 지점에서 활성화된다.
* 폭염 : 기본적으로 고온다습한 성질의 공기덩어리가 대기 하층부터 중층까지 자리를 차지하고 그 형태가 계절풍의 형태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권에 나타나게 된다. 한여름 끈적끈적할 정도로 습하고 더운 날씨를 일으키는 주범이며 고기압이다 보니 날씨 자체도 맑은 날씨가 되어 일사량까지 높아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만일 여기에 [[티베트 고기압]]까지 영향을 미쳐 [[열돔]]을 형성하게 될 경우 찜통을 넘어 아예 가마솥이나 압력솥 더위가 발생하기도 한다.
* 폭염 : 기본적으로 고온다습한 성질의 공기덩어리가 대기 하층부터 중층까지 자리를 차지하고 그 형태가 계절풍의 형태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권에 나타나게 된다. 한여름 끈적끈적할 정도로 습하고 더운 날씨를 일으키는 주범이며 고기압이다 보니 날씨 자체도 맑은 날씨가 되어 일사량까지 높아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만일 여기에 [[티베트 고기압]]까지 영향을 미쳐 [[열돔]]을 형성하게 될 경우 찜통을 넘어 아예 가마솥이나 압력솥 더위가 발생하기도 한다.
* [[태풍]] : 온난하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내부에서 태풍이 발생할 것 같은 기분이 들지만 고기압권 전체적으로 대규모의 하강기류구역에 속하는만큼 대기의 연직운동으로 발생하는 태풍은 오히려 이 고기압 내부에서는 발생하기 어려운 편이다. 오히려 저위도에서 발생한 태풍이 이 북태평양 고기압과 맞딱뜨릴 경우 세력이 SSHS 4등급의 슈퍼태풍 정도 세력이 아닌 한 하층부터 거의 5천미터 상공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는 기압능(기압마루)를 가르고 북상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보통 고기압 세력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고기압권 내부에서의 태풍 발생은 매우 드문 편이며(간혹가다 대기요란 현상이 발달하여 발생하기는 한다) 대부분의 열대저기압들은 이 고기압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특히 무역풍이 끝나는 지점인 필리핀-괌 사이의 해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 [[태풍]] : 온난하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내부에서 태풍이 발생할 것 같은 기분이 들지만 고기압권 전체적으로 대규모의 하강기류구역에 속하는만큼 대기의 연직운동으로 발생하는 태풍은 오히려 이 고기압 내부에서는 발생하기 어려운 편이다. 오히려 저위도에서 발생한 태풍이 이 북태평양 고기압과 맞딱뜨릴 경우 세력이 SSHS 4등급의 슈퍼태풍 정도 세력이 아닌 한 하층부터 거의 5천미터 상공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는 기압능(기압마루)를 가르고 북상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보통 고기압 세력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고기압권 내부에서의 태풍 발생은 매우 드문 편이며(간혹가다 대기요란 현상이 발달하여 발생하기는 한다)  
 


{{주석}}
{{주석}}
[[분류:지구과학]]
[[분류:지구과학]]
[[분류:기상현상]]
[[분류:기상현상]]
[[분류:기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