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북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여객 부두 ==
== 여객 부두 ==
*국제여객터미널 [[파일:Bus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100.JPG|thumb]]
*국제여객터미널
*: 4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초량역]]에서 가깝다. 북항 재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15년도에 새단장한 건물을 개장했다. 11개 선석이 있으며 [[부관훼리]]([[시모노세키]] 방면), [[팬스타|팬스타 드림호]]([[오사카]] 방면), [[카멜리아호]]([[후쿠오카]] 카페리), [[비틀호]]·[[코비호]]([[후쿠오카]] 쾌속), [[오션플라워호]]·[[니나호]]·[[오로라호]]([[대마도]] 방면)가 정기적으로 기항한다. [[크루즈선]]은 특성상 불규칙적으로 기항한다.
*: 북항 4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초량역]]에서 가깝다. 북항 재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15년도에 새단장한 건물을 개장했다. 11개 선석이 있으며 [[부관훼리]]([[시모노세키]] 방면), [[팬스타|팬스타 드림호]]([[오사카]] 방면), [[카멜리아호]]([[후쿠오카]] 카페리), [[비틀호]]·[[코비호]]([[후쿠오카]] 쾌속), [[오션플라워호]]·[[니나호]]·[[오로라호]]([[대마도]] 방면)가 정기적으로 기항한다. [[크루즈선]]은 특성상 불규칙적으로 기항한다.
{{-}}
*연안여객터미널 [[파일:Busan-port-from-Busan-tower-2.jpg|thumb|터미널 중심 시계방향으로 [[팬스타 드림호|팬스타]], [[부관훼리|성희호, 은하호]]]]
*: 1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부산 1호선|1호선]] [[중앙역 (부산)|중앙역]]이나 부산세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접근한다. 주 3회 제주행 카훼리([[뉴스타호]])가 기항한다.
*: 원래 국제여객터미널이었으나, 국제선 신청사가 생기면서 연안여객터미널이 여기로 옮겨오고, 구 연안여객터미널은 부산항만공사 사옥으로 활용하고 있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연안여객터미널
|
*: 주 3회 제주행 카훼리([[뉴스타호]])가 기항한다. [[중앙역]]이나 부산세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접근한다.
! 운영사 || 부두길이 || 전면수심 || 접안능력 || 취급화물
|-
! 국제여객부두
| 공용부두 || 2,040m || 12m || 17만톤급 1척<br />5만톤급 1척<br />2만톤급 4척<br />500톤급 8척 || 여객<br />잡화
|-
! 연안여객부두
| 공용부두 || 652m || 9m || 1만톤급 2척<br />3천톤급 1척<br />200톤급 2척 || 여객<br />잡화
|-
! 국제크루즈부두
| 공용부두 || 360m || 11m || 8만톤급 1척 || 여객<br />잡화
|}


== 화물 부두 ==
== 화물 부두 ==
[[파일:Sinseondae Day.png|thumb|신선대부두]]
대부분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따라 화물 기능은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만 남기고 싹 뜯어내서 부산신항에 이관하고, 마리나, 친수공간 등 워터프론트와 해양산업클러스터로 꾸려질 예정이다.
대부분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따라 화물 기능은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만 남기고 싹 뜯어내서 [[부산신항]]에 이관하고, 마리나, 친수공간 등 워터프론트와 해양산업클러스터로 꾸려질 예정이다.
 
* {{ㅊ|1부두~4부두 및 중앙부두}}
* 1부두~4부두 및 중앙부두
*: 부산항의 초기를 이끌었던 1~4부두 및 중앙부두는 시설 철거 후 간척공사를 통해 [[마리나]] 시설이 설치되는 등 수변공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부산역 남측 출구에서 공사현장을 조망할 수 있다. 원래 잡화 및 컨테이너를 취급하던 곳으로 부산항 물동량이 폭등하던 시절에 잡화 기능은 [[감천항]]으로 쫓아냈다.
*: 부산항의 초기를 이끌었던 1~4부두 및 중앙부두는 시설 철거 후 간척공사를 통해 [[마리나]] 시설이 설치되는 등 수변공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부산역 남측 출구에서 공사현장을 조망할 수 있다. 원래 잡화 및 컨테이너를 취급하던 곳으로 부산항 물동량이 폭등하던 시절에 잡화 기능은 [[감천항]]으로 쫓아냈다.
* 자성대부두
* 자성대부두
*: 1982년 신설한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최대 컨테이너선 5척이 접안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같이 묶여서 2030 엑스포 부지로 쓰일 예정이라 방을 빼줘야 하는 데, 부산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문제와 엮여서 붕 뜬 상태다.
*: 1982년 신설한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최대 컨테이너선 5척이 접안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같이 묶여서 2030 엑스포 부지로 쓰일 예정이라 방을 빼줘야 하는 데, 부산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문제와 엮여서 붕 뜬 상태다.
* 신선대부두
* 신선대부두
*: 자성대부두의 포화로 1991년 신설한 부두다. 2014년 우암부두의 물량을 인계받았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704083 부산항 신선대·우암 '컨'부두 통합], 연합뉴스, 2014.01.16.</ref>.
*: 자성대부두의 포화로 1991년 신설한 부두다. 2014년 우암부두의 물량을 인계받았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704083 부산항 신선대·우암 '컨'부두 통합], 연합뉴스, 2014.01.16.</ref>.
* {{ㅊ|우암부두}}
 
* 우암부두
*: 1997년 신설한 중형선박 전용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2014년 운영사가 신선대부두에 물량을 넘기고 손을 떼면서 유휴부지로 전환되었고, 부산시는 이곳에 마리나를 비롯한 해양산업클러스터를 부설하기로 했다.
*: 1997년 신설한 중형선박 전용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2014년 운영사가 신선대부두에 물량을 넘기고 손을 떼면서 유휴부지로 전환되었고, 부산시는 이곳에 마리나를 비롯한 해양산업클러스터를 부설하기로 했다.
* 감만부두·신감만부두
* 감만부두·신감만부두
*: 신선대부두 건설에도 불구하고 시설이 포화상태에 시달리면서, 1998년 감만부두와 신감만부두를 신설했다. 신감만부두는 감만부두를 확장한 형태로 별개의 안벽으로 친다.
*: 신선대부두 건설에도 불구하고 시설이 포화상태에 시달리면서, 1998년 감만부두와 신감만부두를 신설했다. 신감만부두는 감만부두를 확장한 형태로 별개의 안벽으로 친다.
* 기타 잡화부두
* 기타 잡화부두
*: 진작에 잡화 물량을 감천항으로 쫓아내고, 1~4부두는 북항 재개발로 폐지되면서 잡화부두는 양곡부두와 8부두만 남아있다. 8부두는 주한미군의 군수물자를 부리는 곳으로, 해군작전사가 이전하기 전까지는 미해군이 입항할 경우 8부두에 정박했었다. 양곡부두는 신항에 부지가 마련되는 데로 쫓겨날 예정.  
*: 진작에 잡화 물량을 감천항으로 쫓아내고, 1~4부두는 북항 재개발로 폐지되면서 잡화부두는 양곡부두와 8부두만 남아있다. 8부두는 주한미군의 군수물자를 부리는 곳이다. 양곡부두는 신항에 부지가 마련되는 데로 쫓겨날 예정. 용호부두도 북항 항계로 치긴 하는 데 정작 광안리 앞에 있다.
*: 과거 화학물질을 취급했던 용호부두도 북항 항계로 치긴 하는 데 정작 광안리 앞에 있다. 용호부두는 위험물 및 냉동 어획물을 부렸던 곳으로, 2019년 화물선 충돌사고 이후 기능이 폐지되어 친수공원으로 개편되었다.


== 군항 부두 ==
== 군항 부두 ==
[[파일:ROK Navy Base Oryuk-Do in Busan.jpg|thumb]]
[[File:ROK_Navy_Base_Oryuk-Do_in_Busan.jpg|thumb]]
해군작전사령부가 2007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북항 동쪽에 군항이 조성되었다. 안그래도 북새통인 북항에 조성되는 탓에 그리 규모는 크지 않으며, 여전히 대부분의 주력은 [[진해항]]에 있다. 대신 수심이 얕은 진해항을 대신하여 대형 선박의 접안이 가능해져 가끔 미해군 항공모함이 와서 접안한다. [[오륙도등대]]에서 조망할 수 있다.
해군작전사령부가 2007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북항 동쪽에 군항이 조성되었다. 안그래도 북새통인 북항에 조성되는 탓에 그리 규모는 크지 않으며, 여전히 대부분의 주력은 [[진해항]]에 있다. 대신 수심이 얕은 진해항을 대신하여 대형 선박의 접안이 가능해져 가끔 미해군 항공모함이 와서 접안한다. [[오륙도등대]]에서 조망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8부두가 군수물자 취급 부두로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과 주한미군 제837수송대대가 공동으로 사용한다. 국군수송사령부의 모태가 부산항에서 창설한 제3항만사령부다.


==기타==
==기타==
*북항지역의 여객터미널의 경우 [[부산항대교]]의 통항가능 선박 높이가 60m에 불과하여 대형크루즈선의 입항 자체가 불가능했다. 문제는 대규모의 예산을 들여 국제여객터미널에 크루즈선 기항을 하게 한다면서 신축이전까지 했는 데 정작 통항높이 제한 문제로 부산항에 기항한 크루즈선 10척 중 3척꼴로는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 못하고 영도쪽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부산항대교의 통항높이 조정 의견이 불거졌고{{ㅈ|국외 다른 항구 대비 여유공간을 상당히 크게 두었다. 통상 2미터 정도를 잡는데 부산항대교는 여유공간이 6미터였다.}} 결국 [통과기준높이를 3미터 상향조정하여 63미터로 변경하게 되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70109141000051 초대형 크루즈선도 부산항대교 통과…제한높이 63m로 상향], 연합뉴스, 2017.01.09.</ref>
*북항지역의 여객터미널의 경우 [[부산항대교]]의 통항가능 선박 높이가 60m에 불과하여 대형크루즈선의 입항 자체가 불가능했다. 문제는 대규모의 예산을 들여 국제여객터미널에 크루즈선 기항을 하게 한다면서 리모델링까지 하였는데 정작 통항높이 제한 문제로 부산항에 기항한 크루즈선 10척 중 3척꼴로는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 못하고 영도쪽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부산항대교의 통항높이 조정 의견이 불거졌고{{ㅈ|국외 다른 항구 대비 여유공간을 상당히 크게 두었었다. 통상 2미터 정도를 잡는데 부산항대교는 여유공간이 6미터였다.}} 결국 [https://www.yna.co.kr/view/AKR20170109141000051 통과기준높이를 3미터 상향조정하여 63미터로 변경]하게 되었다.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부산항}}
{{문서 가져옴|부산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