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북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여객 부두 ==
== 여객 부두 ==
*국제여객터미널 [[파일:Bus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100.JPG|thumb]]
*국제여객터미널 [[File:Busan_International_Passenger_Terminal_100.JPG|thumb]]
*: 4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초량역]]에서 가깝다. 북항 재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15년도에 새단장한 건물을 개장했다. 11개 선석이 있으며 [[부관훼리]]([[시모노세키]] 방면), [[팬스타|팬스타 드림호]]([[오사카]] 방면), [[카멜리아호]]([[후쿠오카]] 카페리), [[비틀호]]·[[코비호]]([[후쿠오카]] 쾌속), [[오션플라워호]]·[[니나호]]·[[오로라호]]([[대마도]] 방면)가 정기적으로 기항한다. [[크루즈선]]은 특성상 불규칙적으로 기항한다.
*: 4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초량역]]에서 가깝다. 북항 재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15년도에 새단장한 건물을 개장했다. 11개 선석이 있으며 [[부관훼리]]([[시모노세키]] 방면), [[팬스타|팬스타 드림호]]([[오사카]] 방면), [[카멜리아호]]([[후쿠오카]] 카페리), [[비틀호]]·[[코비호]]([[후쿠오카]] 쾌속), [[오션플라워호]]·[[니나호]]·[[오로라호]]([[대마도]] 방면)가 정기적으로 기항한다. [[크루즈선]]은 특성상 불규칙적으로 기항한다.
{{-}}
{{-}}
*연안여객터미널 [[파일:Busan-port-from-Busan-tower-2.jpg|thumb|터미널 중심 시계방향으로 [[팬스타 드림호|팬스타]], [[부관훼리|성희호, 은하호]]]]
*연안여객터미널 [[File:Busan-port-from-Busan-tower-2.jpg|thumb|터미널 중심 시계방향으로 팬스타, 성희호, 은하호]]
*: 1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부산 1호선|1호선]] [[중앙역 (부산)|중앙역]]이나 부산세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접근한다. 주 3회 제주행 카훼리([[뉴스타호]])가 기항한다.
*: 1부두에 자리하고 있으며 [[부산 1호선|1호선]] [[중앙역 (부산)|중앙역]]이나 부산세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접근한다. 주 3회 제주행 카훼리([[뉴스타호]])가 기항한다.
*: 원래 국제여객터미널이었으나, 국제선 신청사가 생기면서 연안여객터미널이 여기로 옮겨오고, 구 연안여객터미널은 부산항만공사 사옥으로 활용하고 있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26번째 줄: 25번째 줄:


== 화물 부두 ==
== 화물 부두 ==
[[파일:Sinseondae Day.png|thumb|신선대부두]]
[[File:Sinseondae_Day.png|thumb|신선대부두]]
대부분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따라 화물 기능은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만 남기고 싹 뜯어내서 [[부산신항]]에 이관하고, 마리나, 친수공간 등 워터프론트와 해양산업클러스터로 꾸려질 예정이다.
대부분 컨테이너 전용부두다. 장기적으로는 북항 재개발 사업에 따라 화물 기능은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만 남기고 싹 뜯어내서 부산신항에 이관하고, 마리나, 친수공간 등 워터프론트와 해양산업클러스터로 꾸려질 예정이다.
* {{ㅊ|1부두~4부두 및 중앙부두}}
* {{ㅊ|1부두~4부두 및 중앙부두}}
*: 부산항의 초기를 이끌었던 1~4부두 및 중앙부두는 시설 철거 후 간척공사를 통해 [[마리나]] 시설이 설치되는 등 수변공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부산역 남측 출구에서 공사현장을 조망할 수 있다. 원래 잡화 및 컨테이너를 취급하던 곳으로 부산항 물동량이 폭등하던 시절에 잡화 기능은 [[감천항]]으로 쫓아냈다.
*: 부산항의 초기를 이끌었던 1~4부두 및 중앙부두는 시설 철거 후 간척공사를 통해 [[마리나]] 시설이 설치되는 등 수변공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부산역 남측 출구에서 공사현장을 조망할 수 있다. 원래 잡화 및 컨테이너를 취급하던 곳으로 부산항 물동량이 폭등하던 시절에 잡화 기능은 [[감천항]]으로 쫓아냈다.
39번째 줄: 38번째 줄:
*: 신선대부두 건설에도 불구하고 시설이 포화상태에 시달리면서, 1998년 감만부두와 신감만부두를 신설했다. 신감만부두는 감만부두를 확장한 형태로 별개의 안벽으로 친다.
*: 신선대부두 건설에도 불구하고 시설이 포화상태에 시달리면서, 1998년 감만부두와 신감만부두를 신설했다. 신감만부두는 감만부두를 확장한 형태로 별개의 안벽으로 친다.
* 기타 잡화부두
* 기타 잡화부두
*: 진작에 잡화 물량을 감천항으로 쫓아내고, 1~4부두는 북항 재개발로 폐지되면서 잡화부두는 양곡부두와 8부두만 남아있다. 8부두는 주한미군의 군수물자를 부리는 곳으로, 해군작전사가 이전하기 전까지는 미해군이 입항할 경우 8부두에 정박했었다. 양곡부두는 신항에 부지가 마련되는 데로 쫓겨날 예정.  
*: 진작에 잡화 물량을 감천항으로 쫓아내고, 1~4부두는 북항 재개발로 폐지되면서 잡화부두는 양곡부두와 8부두만 남아있다. 8부두는 주한미군의 군수물자를 부리는 곳으로, 해군작전사가 이전하기 전까지는 미해군이 입항할 경우 8부두에 정박했었다. 양곡부두는 신항에 부지가 마련되는 데로 쫓겨날 예정. 과거 화학물질을 취급했던 용호부두도 북항 항계로 치긴 하는 데 정작 광안리 앞에 있다.
*: 과거 화학물질을 취급했던 용호부두도 북항 항계로 치긴 하는 데 정작 광안리 앞에 있다. 용호부두는 위험물 및 냉동 어획물을 부렸던 곳으로, 2019년 화물선 충돌사고 이후 기능이 폐지되어 친수공원으로 개편되었다.


== 군항 부두 ==
== 군항 부두 ==
[[파일:ROK Navy Base Oryuk-Do in Busan.jpg|thumb]]
[[File:ROK_Navy_Base_Oryuk-Do_in_Busan.jpg|thumb]]
해군작전사령부가 2007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북항 동쪽에 군항이 조성되었다. 안그래도 북새통인 북항에 조성되는 탓에 그리 규모는 크지 않으며, 여전히 대부분의 주력은 [[진해항]]에 있다. 대신 수심이 얕은 진해항을 대신하여 대형 선박의 접안이 가능해져 가끔 미해군 항공모함이 와서 접안한다. [[오륙도등대]]에서 조망할 수 있다.
해군작전사령부가 2007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북항 동쪽에 군항이 조성되었다. 안그래도 북새통인 북항에 조성되는 탓에 그리 규모는 크지 않으며, 여전히 대부분의 주력은 [[진해항]]에 있다. 대신 수심이 얕은 진해항을 대신하여 대형 선박의 접안이 가능해져 가끔 미해군 항공모함이 와서 접안한다. [[오륙도등대]]에서 조망할 수 있다.


49번째 줄: 47번째 줄:


==기타==
==기타==
*북항지역의 여객터미널의 경우 [[부산항대교]]의 통항가능 선박 높이가 60m에 불과하여 대형크루즈선의 입항 자체가 불가능했다. 문제는 대규모의 예산을 들여 국제여객터미널에 크루즈선 기항을 하게 한다면서 신축이전까지 했는 데 정작 통항높이 제한 문제로 부산항에 기항한 크루즈선 10척 중 3척꼴로는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 못하고 영도쪽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부산항대교의 통항높이 조정 의견이 불거졌고{{ㅈ|국외 다른 항구 대비 여유공간을 상당히 크게 두었다. 통상 2미터 정도를 잡는데 부산항대교는 여유공간이 6미터였다.}} 결국 [통과기준높이를 3미터 상향조정하여 63미터로 변경하게 되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70109141000051 초대형 크루즈선도 부산항대교 통과…제한높이 63m로 상향], 연합뉴스, 2017.01.09.</ref>
*북항지역의 여객터미널의 경우 [[부산항대교]]의 통항가능 선박 높이가 60m에 불과하여 대형크루즈선의 입항 자체가 불가능했다. 문제는 대규모의 예산을 들여 국제여객터미널에 크루즈선 기항을 하게 한다면서 신축이전까지 했는 데 정작 통항높이 제한 문제로 부산항에 기항한 크루즈선 10척 중 3척꼴로는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 못하고 영도쪽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부산항대교의 통항높이 조정 의견이 불거졌고{{ㅈ|국외 다른 항구 대비 여유공간을 상당히 크게 두었었다. 통상 2미터 정도를 잡는데 부산항대교는 여유공간이 6미터였다.}} 결국 [https://www.yna.co.kr/view/AKR20170109141000051 통과기준높이를 3미터 상향조정하여 63미터로 변경]하게 되었다.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부산항}}
{{문서 가져옴|부산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