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동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8번째 줄: 38번째 줄:


=== 환전 ===
=== 환전 ===
한국에서 베트남 동은 수요가 꽤 있기 때문에<ref>[[베트남]]에서 사업하거나 공장 차린 사람들, 여행하는 사람들, 그리고 한국으로 이민와서 결혼한 사람들이 주요 고객.</ref> 비주류 통화임에도 하나은행 및 신한은행에서 취급하게 되었으나, 그런 것 치고는 현찰 스프레드가 '''너무 [[크고 아름답다]] (12%)'''.<ref>[[미국 달러]]가 시내 은행에서 비우대시 2% 미만, 상당수가 1% 미만.</ref> 이런 미친 스프레드와 국제 카드사 수수료 덕분에 무조건 [[ExK|익스케이]]가 유리한 몇 안 되는 통화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베트남은 여행 수요가 제법 많기 때문에 개인거래도 활발한 편이라서, 남은 베트남 돈을 수수료 물고 갈지 재환전 해야할지... 같은 걱정은 조금 덜어도 좋다.
한국에서 베트남 동은 수요가 꽤 있기 때문에<ref>[[베트남]]에서 사업하거나 공장 차린 사람들, 여행하는 사람들, 그리고 한국으로 이민와서 결혼한 사람들이 주요 고객.</ref> 비주류 통화임에도 하나은행 및 신한은행에서 취급하게 된 통화지만, 애당초 현금 보유 수량이 그렇게 많지는 않고, 결정적으로 현찰 스프레드가 '''[[크고 아름답다]]'''. 그래서 환율 우대<ref>고객(VIP) 재량 및 직원 재량에 따라 30~50%까지는 들어갈 수 있다.</ref>가 사실상 거의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12%'''에 육박하는 높은 수수료를 자랑한다.<ref>[[미국 달러]]가 시내 은행에서 비우대시 2% 미만. 다만 [[미국 달러]]는 수요가 무지막지하게 많기 때문에 그 환전장사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수수료 혜택을 들이붓는 수준으로 경쟁이 심하다. 그래서 0.1%만 움직여도 바로 멘붕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유는... [[기러기 아빠|굳이]] [[유학|설명할]] [[사업|필요는]] [[탈세|없겠지]].</ref> [[인천국제공항]] 내의 은행 지점이라면 그야말로 '''환전 수수료의 끝판왕'''을 보게 될 것이다. 그래서 [[미국 달러]]를 들고 가서 [[베트남]] 현지에서 바꾸든지, 아니면 현지 [[ATM]]으로 인출하는 것을 권장하는 편이다. 이런 미친 스프레드와 국제 카드사 수수료 덕분에 무조건 [[ExK|익스케이]]가 유리한 몇 안 되는 통화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베트남은 여행 수요가 제법 많기 때문에 개인거래도 활발한 편이라서, 남은 베트남 돈을 수수료 물고 갈지 재환전 해야할지... 같은 걱정은 조금 덜어도 좋다.


따라서 [[미국 달러]]로 들고가 [[베트남]] 현지에서 바꾸는 이중환전을 대개 권장하고, 특정 카드의 혜택을 이용한 [[ATM]] 인출로 해결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대개 환전액이 500만동 이상<ref>ATM의 1회 인출한도이며, 약 250달러 미만 정도.</ref>이면 이중환전, 아니면 ATM인출로 가는 편이다.
호텔이나 귀금속 상점 등의 부유층 및 외국인을 전문으로 상대하는 업소에서는 [[미국 달러]]를 흔쾌히 받기도 한다. 아니, 아예 자체적으로 환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달러로 지불하면 현지 통화에 비해 크게 불리한 값으로 적용하므로 가급적 환전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대개 가장 불리한 값을 치는 공항환전소가 베트남에서는 반대로 가장 유리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아예 공항에 내리자마자 환전 문제부터 해결하고 오는 것이 가장 좋다. 단, '''손상없는'''<ref>몇 번 접힌 것 정도는 상관없지만, 구김이 심하면 안 받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찢어진 부분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퇴짜맞고, 구권은 아예 받지 않는다.</ref> US$100 및 US$50<sup><small>(※케바케)</small></sup>일 경우 한정으로, 그 이하 권종이나 다른 국가 권종은 불리한 값을 적용하므로 주의.
 
호텔이나 귀금속 상점 등의 부유층 및 외국인을 전문으로 상대하는 업소에서는 [[미국 달러]]를 흔쾌히 받기도 한다. 아니, 아예 자체적으로 환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달러로 지불하면 현지 통화에 비해 크게 불리한 값으로 적용하므로 가급적 환전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대개 가장 불리한 값을 치는 공항환전소가 베트남에서는 반대로 가장 유리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아예 공항에 내리자마자 환전 문제부터 해결하고 오는 것이 가장 좋다. 단, '''손상없는'''<ref>몇 번 접힌 것 정도는 상관없지만, 구김이 심하면 안 받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찢어진 부분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퇴짜맞고, 구권은 아예 받지 않는다.</ref> US$100 및 US$50<sup><small>(※케바케)</small></sup>일 경우 한정으로, 그 이하 권종이나 다른 국가 권종은 달러 대비로 확연히 불리한 값을 적용하므로 주의. 그나마 미국 달러 다음으로 괜찮은 통화는 유로(1% 미만), 영국 파운드(1% 내외), 일본 엔(1% 이상) 정도이며, 태국 바트화(최소 5% 이상)나 대한민국 원화(논외) 등은 상당히 불리하다.  


거의 대부분의 베트남 상인들은 미화를 직접 받으려 하지 않는다. 허나 위처럼 일부의 경우는 달러로 결제를 요구할 때도 있기는 한데, 자칫 그 순간 돈 계산이 헷갈려서 바가지를 쓸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베트남 돈의 단위가 워낙 크고 (2018년 기준으로) 100단위는 사실상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돈 단위를 영어로 표현할 때에는 0을 3개 떼어서 K로 치환하거나 아예 생략하여 말하는 습관이 있다. 예로 35,000동(Thirty-five thousands Dong, 약 1,800원)을 "Thirty-five (V.Dong)"으로 부르곤 한다. 그런데 이걸 이용해 [[호갱]]님 같은 손님이 보이면 순간 35달러(약 36,000원)로 둔갑하여 20배 가까운 바가지를 씌우는 수법이다. 몰론 완전히 관광지화가 완료된 극소수 한정.
거의 대부분의 베트남 상인들은 미화를 직접 받으려 하지 않는다. 허나 위처럼 일부의 경우는 달러로 결제를 요구할 때도 있기는 한데, 자칫 그 순간 돈 계산이 헷갈려서 바가지를 쓸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베트남 돈의 단위가 워낙 크고 (2018년 기준으로) 100단위는 사실상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돈 단위를 영어로 표현할 때에는 0을 3개 떼어서 K로 치환하거나 아예 생략하여 말하는 습관이 있다. 예로 35,000동(Thirty-five thousands Dong, 약 1,800원)을 "Thirty-five (V.Dong)"으로 부르곤 한다. 그런데 이걸 이용해 [[호갱]]님 같은 손님이 보이면 순간 35달러(약 36,000원)로 둔갑하여 20배 가까운 바가지를 씌우는 수법이다. 몰론 완전히 관광지화가 완료된 극소수 한정.


가격표를 쓸 때도 '0'을 3개 생략하고 들어가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K'라고 축약 표기를 해주기도 한다. 예로 "35"라고만 쓰여있으면 3만 5천동, "200K"는 20만동, "655K"는 65만 5천동, 1000K는 100만동이다. ("1M" 등으로 쓰지는 않는다.)<ref>베트남의 서수 체계는 한자의 영향을 크게 받기는 하였으나, 큰 숫자는 프랑스와 같은 서구권 영향으로 3자리씩 끊는다.</ref>
가격표를 쓸 때도 '0'을 3개 생략하고 들어가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K'라고 축약 표기를 해주기도 한다. 예로 "35"라고만 쓰여있으면 3만 5천동, "200K"는 20만동, "655K"는 65만 5천동, 1000K는 100만동이다. ("1M" 등으로 쓰지는 않는다.)


끝으로 '''티끌만큼이라도 찢어진 지폐나 뜯어진 지폐는 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환전할 때나 거스름돈 받을 때 꼼꼼하게 보고 만일 뜯어진 것이 발견되었다면 당당하게 교환을 요청해야 한다. 그나마 고액권은 폴리머 재질이라 잘 훼손되지는 않는 편.
끝으로 '''티끌만큼이라도 찢어진 지폐나 뜯어진 지폐는 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환전할 때나 거스름돈 받을 때 꼼꼼하게 보고 만일 뜯어진 것이 발견되었다면 당당하게 교환을 요청해야 한다. 그나마 고액권은 폴리머 재질이라 잘 훼손되지는 않는 편.
79번째 줄: 77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베트남 2기 동 현행권 시리즈 (2차, 3차 발행)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Việt Nam Đồng : Vali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background-color:#EAEAEA;" | ₫5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background-color:#EAEAEA;" | 앞면 공통 (지폐/구권)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background-color:#EAEAEA;"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5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background-color:#EAEAEA;"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background-color:#EAEAEA;"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2,000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항구의 트롤선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호치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나무 옮기는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 항구의 트롤선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방직 공장
| style="text-align: center;" | 나무 옮기는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수력발전소
| style="text-align: center;" | 방직 공장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앞면 공통 (면지폐/구권)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6.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309.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력발전소
| style="text-align: center;" | 석유시추선
| style="text-align: center;" | 석유시추선
| style="text-align: center;" | 라이벤키우 (Lai Viễn Kiều)<ref>來遠橋, 호이안에 있는 일본식 다리. <s>[[도쿄|니혼바시]]</s> 호이안은 과거 일본인들이 자주 드나든 무역항이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라이벤키우 (Lai Viễn Kiều, 來遠橋<s>[[도쿄|니혼바시]]</s>)<ref>호이안 소재 일본식 다리. 호이안은 과거 일본인들이 자주 드나든 무역항이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민망(明命)황제의 효릉(孝陵)<ref>고도(古都) [[후에]]에 있는 능.</ref>
| style="text-align: center;" | 민망(明命)황제의 효릉(孝陵)<br />(고도(古都) [[후에]] 소재)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호치민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공통 (폴리머/신권)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앞면 공통 (폴리머/신권)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7.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파일:VND4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10.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412.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호치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호치민
| style="text-align: center;" | 하노이 문묘
| style="text-align: center;" | 하노이 문묘
| style="text-align: center;" | [[하롱베이|빈하롱]] (Vịnh Hạ Long)
| style="text-align: center;" | [[하롱베이|빈하롱]] (Vịnh Hạ Long)
132번째 줄: 134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베트남 2기 동 2차 / 구권지폐(사용 불가) 시리즈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Việt Nam Đồng : Invali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200<ref>₫100 권종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는 사용할 수는 있으나, 푼돈도 못 되는 단위인 탓에 실생활에서 통용 자체가 절망적으로 안 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1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200<ref>₫100 권종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는 사용할 수는 있으나, 푼돈도 못 되는 단위인 탓에 실생활에서 통용 자체가 절망적으로 안 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10,000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3.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흐엉사(寺)
| style="text-align: center;" | 흐엉사(寺)
| style="text-align: center;" | 트랙터와 벼 수확하는 농부들
| style="text-align: center;" | 트랙터와 벼 수확하는 농부들
| style="text-align: center;" | 빠이치롱의 정크선
| style="text-align: center;" | 빠이치롱의 정크선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VND31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캔 공장
| style="text-align: center;" | 캔 공장
| style="text-align: center;" | [[사이공]] 호치민 박물관, "나 롱 (용의 집)"
| style="text-align: center;" | [[사이공]] 호치민 박물관, "나 롱 (용의 집)"
159번째 줄: 169번째 줄:
|}
|}
* 2007년 9월 1일부로 ₫50,000 및 ₫100,000 지폐가, 2013년 1월 1일부로 ₫10,000 및 ₫20,000 지폐가 통용 중지되었다.
* 2007년 9월 1일부로 ₫50,000 및 ₫100,000 지폐가, 2013년 1월 1일부로 ₫10,000 및 ₫20,000 지폐가 통용 중지되었다.
* 본래 면 지폐로도 신 고액권이 될 ₫500,000 권종이 준비되어 있었으나, 훗날 신권 시리즈로서 재질 변경이 결정되면서 미발행으로 남게 되었다. 색상은 자주색이고, 앞면은 당연히 호치민, 뒷면은 고무나무 농장에서 고무 수액을 채취하는 모습을 담았다.


==== 2기 1차 (1985~1991) ====
==== 2기 1차 (1985~1991)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베트남 2기 동 1차 시리즈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Việt Nam Đồng 2n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70번째 줄: 179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0.5~₫10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0.5~₫10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20~₫5,000 앞면 / 호치민
| style="text-align: center;" | ₫20~₫5,000 앞면
호치민
| style="text-align: center;" | ₫0.5
| style="text-align: center;" | ₫0.5
|-
|-
201번째 줄: 211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홍가이의 노천광산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파라이 발전소
홍가이의 노천광산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석유시추선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파라이 발전소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석유시추선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