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배'''(裵)씨는 [[한국]]과 [[중국]]의 [[성씨]]다.
== 한국의 성씨 ==
 
== 한국 ==
'''배'''(裵)씨는 한국의 토착 성씨이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72,06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6위이다.
'''배'''(裵)씨는 한국의 토착 성씨이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72,06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6위이다.
=== 기원 ===
=== 기원 ===
기원은 [[진한]]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사로 6촌(斯盧六村) 중 하나인 금산 가리촌(金山加利村) 촌장 '''지타'''(祗陀, 只他)이다. 그는 다른 6부 촌장들과 함께 [[박혁거세]]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하였다. 32년 유리왕은 금산 가리촌 가리부(加利部)를 한지부([[漢]]祗部)로 고치고 '''배(裵)'''씨 성을 사성하였다. 정사(正史)에 처음 등장하는 배씨는 신라 [[성덕왕]] 때의 상대등(上大等) 부(賦)이며, 희강왕 때의 아찬(阿飡) 훤백(萱伯)의 기록과, 정강왕 때의 현령(縣令) 영숭(零崇)의 사적이 확인된다. 다만, 지타 이후의 세계(世系)는 실전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기원은 [[진한]]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사로 6촌(斯盧六村) 중 하나인 금산 가리촌(金山加利村) 촌장 '''지타'''(祗陀, 只他)이다. 그는 다른 6부 촌장들과 함께 [[박혁거세]]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하였다. 32년 유리왕은 금산 가리촌 가리부(加利部)를 한지부(漢祗部)로 고치고 '''배(裵)'''씨 성을 사성하였다. 정사(正史)에 처음 등장하는 배씨는 신라 [[성덕왕]] 때의 상대등(上大等) 부(賦)이며, 희강왕 때의 아찬(阿飡) 훤백(萱伯)의 기록과, 정강왕 때의 현령(縣令) 영숭(零崇)의 사적이 확인된다. 다만, 지타 이후의 세계(世系)는 실전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배씨의 시조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배현경(裵玄慶)이다.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배씨의 시조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배현경(裵玄慶)이다.
=== 본관 ===
=== 본관 ===
* '''경주 배씨'''(慶州裵氏): 시조 배현경은 경주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백옥삼(白玉衫)이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옹립하는데 큰 공을 세워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오르고 대광(大匡)을 역임했으며,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그러나 그의 아들 은우(殷祐) 이후의 후사가 전하지 않아, 조선시대에 새로이 생겨난 시조 '''충과'''(忠果)를 시조로 삼는다. 그는 의술(醫術)에 능하여 조선 중종 때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제수되었으며, 경주처사(慶州處士)의 호(號)가 내려졌다. 2000년 인구는 22,069명이다.
* '''경주 배씨'''(慶州裵氏): 시조 배현경은 경주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백옥삼(白玉衫)이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옹립하는데 큰 공을 세워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오르고 대광(大匡)을 역임했으며,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그러나 그의 아들 은우(殷祐) 이후의 후사가 전하지 않아, 조선시대에 새로이 생겨난 시조 '''충과'''(忠果)를 시조로 삼는다. 그는 의술(醫術)에 능하여 조선 중종 때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제수되었으며, 경주처사(慶州處士)의 호(號)가 내려졌다. 2000년 인구는 22,069명이다.  
* '''성주 배씨'''(星州裵氏): 시조 '''위준'''(位俊)은 고려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 그의 5세손 인경(仁敬)이 고려 충선왕 때 추밀사(樞密使)를 역임하고, 충숙왕 때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에 봉해졌다. 11세손 극렴(克廉)은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어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다. 성산 배씨(星山裵氏)라고도 한다. 2000년 인구는 126,403명이다.
* '''성주 배씨'''(星州裵氏): 시조 '''위준'''(位俊)은 고려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 그의 5세손 인경(仁敬)이 고려 충선왕 때 추밀사(樞密使)를 역임하고, 충숙왕 때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에 봉해졌다. 11세손 극렴(克廉)은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어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다. 성산 배씨(星山裵氏)라고도 한다. 2000년 인구는 126,403명이다.  
* '''분성 배씨'''(盆城裵氏): 시조 '''헌'''(軒)은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다. 그의 손자 원룡(元龍)이 도병마사(都兵馬使) 및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고, 고려 우왕 때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71,268명이다.
* '''분성 배씨'''(盆城裵氏): 시조 '''헌'''(軒)은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다. 그의 손자 원룡(元龍)이 도병마사(都兵馬使) 및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고, 고려 우왕 때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71,268명이다.  
* '''달성 배씨'''(達城裵氏): 시조는 고려시대에 대호군(大護軍)에 추증된 '''손적'''(孫迪)으로, 그의 증손 정지(廷芝)가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정지의 아들 천경(天慶)이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를 거쳐 동경윤(東京尹)을 역임하고, 고려 공민왕 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68,273명이다.
* '''달성 배씨'''(達城裵氏): 시조는 고려시대에 대호군(大護軍)에 추증된 '''손적'''(孫迪)으로, 그의 증손 정지(廷芝)가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정지의 아들 천경(天慶)이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를 거쳐 동경윤(東京尹)을 역임하고, 고려 공민왕 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68,273명이다.  
* '''흥해 배씨'''(興海裵氏): 시조 '''경분'''(景分)은 고려 시대에 겸교장군(檢校將軍)을 역임했다. 그의 6세손 전(詮)이 고려 충혜왕 때 호군(護軍)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로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첨의평리(三重大匡僉議評理)에 책록되고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9,210명이다.
* '''흥해 배씨'''(興海裵氏): 시조 '''경분'''(景分)은 고려 시대에 겸교장군(檢校將軍)을 역임했다. 그의 6세손 전(詮)이 고려 충혜왕 때 호군(護軍)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로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첨의평리(三重大匡僉議評理)에 책록되고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9,210명이다.
* '''곤양 배씨'''(昆山裵氏): 시조 '''맹달'''(孟達)은 조선 세조 13년(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서훈되고, 가정대부(嘉靖大夫) 행 호분위 상호군(行虎賁衛上護軍)에 올랐으며, 곤산군(昆山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7,328명이다.
* '''곤양 배씨'''(昆山裵氏): 시조 '''맹달'''(孟達)은 조선 세조 13년(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서훈되고, 가정대부(嘉靖大夫) 행 호분위 상호군(行虎賁衛上護軍)에 올랐으며, 곤산군(昆山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7,328명이다.  
* '''함흥 배씨'''(咸興裵氏): 시조 '''덕수'''(德秀)는 조선시대에 교서관(校書館) 박사(博士)를 역임하였다.
* '''함흥 배씨'''(咸興裵氏): 시조 '''덕수'''(德秀)는 조선시대에 교서관(校書館) 박사(博士)를 역임하였다.
* '''화순 배씨'''(和順裵氏): 시조 '''련'''(練)은 고려시대에 국자감(國子監) 진사(進士)가 되었다.
* '''화순 배씨'''(和順裵氏): 시조 '''련'''(練)은 고려시대에 국자감(國子監) 진사(進士)가 되었다.
39번째 줄: 37번째 줄:
*프로게이머: 배병우, 배재민, 배성웅, 배어진, 배준식
*프로게이머: 배병우, 배재민, 배성웅, 배어진, 배준식


== 중국 ==
== 중국의 성씨 ==
중국의 배(裴, 병음 Pei)씨는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백익(伯益)의 후예로 영성(嬴姓) 계통이며 비자(非子)의 12대손인 진환공(秦桓公)의 아들(子) 후자침(后子鍼)을 시조로 삼는다.
중국의 배(裴, 병음 Pei)씨는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백익(伯益)의 후예로 영성(嬴姓) 계통이며 비자(非子)의 12대손인 진환공(秦桓公)의 아들(子) 후자침(后子鍼)을 시조로 삼는다.


중국 중세의 저명한 문벌 귀족 중 하나로, 하동 배씨(河東裴氏)로 시칭(時稱)되었다. 배씨는 진(秦)·한([[]])의 고대부터 기반을 닦아, 위(魏)·진(晋)을 거쳐 수(隋)·당(唐) 때 이르러 전성기를 누렸다. 청([[]])나라 때 편찬한 《배씨세보(裴氏世譜)》에 따르면, 배씨는 중국 역사상 재상 59명, 대장군 59명, 중서시랑 14명, 상서 55명, 시랑 44명, 상시 11명, 어사 10명, 절도사·관찰사·방어사 25명, 자사 211명, 태수 77명을 배출했다. 그리고 작위가 공(公)이 89명, 후(侯)가 33명, 백(伯)이 11명, 자(子)가 18명, 남(男)이 13명이었다. 황실과의 인척관계를 보면, 황후가 3명, 태자비가 4명, 왕비가 2명, 부마가 21명, 공주가 20명이었다. 정사에 전(傳)을 남기거나 열거된 자가 600여 명에 이르고, 7품 이상의 관리들만 3,000여 명에 달하였다.
중국 중세의 저명한 문벌 귀족 중 하나로, 하동 배씨(河東裴氏)로 시칭(時稱)되었다. 배씨는 진(秦)·한(漢)의 고대부터 기반을 닦아, 위(魏)·진(晋)을 거쳐 수(隋)·당(唐) 때 이르러 전성기를 누렸다. 청(淸)나라 때 편찬한 《배씨세보(裴氏世譜)》에 따르면, 배씨는 중국 역사상 재상 59명, 대장군 59명, 중서시랑 14명, 상서 55명, 시랑 44명, 상시 11명, 어사 10명, 절도사·관찰사·방어사 25명, 자사 211명, 태수 77명을 배출했다. 그리고 작위가 공(公)이 89명, 후(侯)가 33명, 백(伯)이 11명, 자(子)가 18명, 남(男)이 13명이었다. 황실과의 인척관계를 보면, 황후가 3명, 태자비가 4명, 왕비가 2명, 부마가 21명, 공주가 20명이었다. 정사에 전(傳)을 남기거나 열거된 자가 600여 명에 이르고, 7품 이상의 관리들만 3,000여 명에 달하였다.
=== 인물 ===
=== 인물 ===
*배송지
*배송지
50번째 줄: 48번째 줄:
*배구
*배구
== 표기 ==
== 표기 ==
한국의 배씨는 조선 중기부터 '''裵'''를 사용해 오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한자 '''裴'''를 사용한다. 후한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를 근거하면 고래의 자전에서 "裵"가 本來의 글자라고 소개되어 있다.
한국의 배씨는 조선 중기부터 '''裵'''를 사용해 오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한자 '''裴'''를 사용한다. 후한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를 근거하면 고래의 자전에서 "裵"가 本來의 글자라고 소개되어 있다.  
 
裵가 本字이고 裴가 변형자인데 다만 중국에서는 이해가 쉬운 裴를 정자로 쓰고 있고, 한국에서는 원래대로 裵를 정자로 쓴다.
裵가 本字이고 裴가 변형자인데 다만 중국에서는 이해가 쉬운 裴를 정자로 쓰고 있고, 한국에서는 원래대로 裵를 정자로 쓴다.
고대의 전서는 물론 해서체가 아닌 특히 필기의 행서 초서에서는 裵의 글꼴로 써오거나 함께 쓰여 왔다.
고대의 전서는 물론 해서체가 아닌 특히 필기의 행서 초서에서는 裵의 글꼴로 써오거나 함께 쓰여 왔다.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배 (성씨)|15509019}}
{{퍼온문서|배 (성씨)|15509019}}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