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3번째 줄: 33번째 줄:
1908년 7월 11일 덴버의 그레이스 감리교회에서 애국동지대표회가 개최되었다. 회의 결과, 향후 국내외 통일기관을 조직할 것,  이에 대한 준비로 각지에 통신국을 설치하여상호간에 연락할 것이 의결되었다. 하지만 국민교육에 필요한 내외서적의 저술, 번역 등에 관한 문제는 합의하지 못하고 후일 토의과제로 삼았다. 이 회의에서 가장 큰 성과는 둔전병제를 바탕으로 한 군사학교 설립안을 통과시킨 것이었다.
1908년 7월 11일 덴버의 그레이스 감리교회에서 애국동지대표회가 개최되었다. 회의 결과, 향후 국내외 통일기관을 조직할 것,  이에 대한 준비로 각지에 통신국을 설치하여상호간에 연락할 것이 의결되었다. 하지만 국민교육에 필요한 내외서적의 저술, 번역 등에 관한 문제는 합의하지 못하고 후일 토의과제로 삼았다. 이 회의에서 가장 큰 성과는 둔전병제를 바탕으로 한 군사학교 설립안을 통과시킨 것이었다.


1908년 9월, 박용만은 네브래스카 주립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링컨으로 떠났다. 이 학교는 유사시 장교로 활동할 수 있는 간부후보생을 양성하고 전통있는 군사훈련 프로그램을 갖춘 학교였다. 1908년 9월 15일 네브래스카대학에 입학하여 그해 겨울 [[박처후]](朴處厚) · 임동식과 한인군사학교 관한 사항을 논의하고, 1909년 6월 초순 해외 최초의 독립군관학교인 ‘한인소년병학교(The Young Korean MilitarySchool)’를 커니시에 소재한 한 농장에 창립했다.
1908년 9월, 박용만은 네브래스카 주립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링컨으로 떠났다. 이 학교는 유사시 장교로 활동할 수 있는 간부후보생을 양성하고 전통있는 군사훈련 프로그램을 갖춘 학교였다. 1908년 9월 15일 네브래스카대학에 입학하여 그해 겨울 박처후(朴處厚) · 임동식과 한인군사학교 관한 사항을 논의하고, 1909년 6월 초순 해외 최초의 독립군관학교인 ‘한인소년병학교(The Young Korean MilitarySchool)’를 커니시에 소재한 한 농장에 창립했다.


한인소년병학교는 학기 중에는 각자 학교에서 공부하다가  여름방학 때 입소하여 평균 8주간의 군사훈련을 받는 하계군사학교 체제로 운영되었고, 수학과정은 3년이었다. 첫해 생도는 13명이었다. 1910년 4월 1일 헤이스팅스 대학내로 이전한 한인소년병학교는 6월에 두 번째로 개교하였는데, 인근지역 한인유학생들이 자원 입학하여 생도 수가 26명으로 늘어났다.  박용만은 학교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캘리포니아지역을 순회하여 총 15자루와 의연금 약 600달러를 모금하였고, 그것으로 군복과 유니폼을 구입하고 교사들 급료도 지불했다.
한인소년병학교는 학기 중에는 각자 학교에서 공부하다가  여름방학 때 입소하여 평균 8주간의 군사훈련을 받는 하계군사학교 체제로 운영되었고, 수학과정은 3년이었다. 첫해 생도는 13명이었다. 1910년 4월 1일 헤이스팅스 대학내로 이전한 한인소년병학교는 6월에 두 번째로 개교하였는데, 인근지역 한인유학생들이 자원 입학하여 생도 수가 26명으로 늘어났다.  박용만은 학교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캘리포니아지역을 순회하여 총 15자루와 의연금 약 600달러를 모금하였고, 그것으로 군복과 유니폼을 구입하고 교사들 급료도 지불했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이는 근왕주의를 청산하고 공식적으로 공화주의를 표방한 최초의 선언으로 개항 이래 추진되어온 근대국가 수립 노력이 이때와서 맺음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선언은 후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공화제를 채택하는 데 일정부분 영향을 끼쳤다.
이는 근왕주의를 청산하고 공식적으로 공화주의를 표방한 최초의 선언으로 개항 이래 추진되어온 근대국가 수립 노력이 이때와서 맺음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선언은 후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공화제를 채택하는 데 일정부분 영향을 끼쳤다.


1912년 11월 30일, 박용만은 하와이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 주필로 초빙받자 [[박상하 (1881년)|박상하]]와 함께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몽고리아 호를 타고 12월 6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이후 1913년 하와이지방총회장에 당선된 박상하의 지원하에, 그는 하와이에서 한인 자치제도를 실현하고자 했다. 1913년 1월 27일 자치규정 6장 155조를 기초하여 발표하였고,  5월에 하와이지방총회를 법인으로 인정해달라고 하와이지방정부에 요청하여 관허를 받았다.
1912년 11월 30일, 박용만은 하와이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 주필로 초빙받자 박상하(朴相夏)와 함께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몽고리아 호를 타고 12월 6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이후 1913년 하와이지방총회장에 당선된 박상하의 지원하에, 그는 하와이에서 한인 자치제도를 실현하고자 했다. 1913년 1월 27일 자치규정 6장 155조를 기초하여 발표하였고,  5월에 하와이지방총회를 법인으로 인정해달라고 하와이지방정부에 요청하여 관허를 받았다.


박용만은 자치제도 확립에 이어 국민의무금제도를 실시했다. 그는 지방총회 재정을 국민의 자격이라는 관점에서 납세의 의무로 전환해 모든 회원에게‘국민의무금’을 부과하여 재정 안정을 꾀하였다. 또한 1913년 12월부터 군단과 사관학교 설립을 추진하였고, 1914년 6월 10일 오아후 가홀루에서 '대조선국민군단'과 '대조선국민군단 사관학교'를 창설하고 8월 29일 병영 낙성식을 거행해 병학교 학생 180여 명이 총회장 박상하 앞에서 사열식을 가지게 했다.
박용만은 자치제도 확립에 이어 국민의무금제도를 실시했다. 그는 지방총회 재정을 국민의 자격이라는 관점에서 납세의 의무로 전환해 모든 회원에게‘국민의무금’을 부과하여 재정 안정을 꾀하였다. 또한 1913년 12월부터 군단과 사관학교 설립을 추진하였고, 1914년 6월 10일 오아후 가홀루에서 '대조선국민군단'과 '대조선국민군단 사관학교'를 창설하고 8월 29일 병영 낙성식을 거행해 병학교 학생 180여 명이 총회장 박상하 앞에서 사열식을 가지게 했다.


대조선국민군단과 사관학교 운영은 하와이 각 지방의 군사훈련을 담당하던 하와이지방총회 연무부에서 담당했으며, 사관학교 주요 인물은 박용만을 비롯하여 [[박종수]] · [[안원규]] · 구종곤 · 이호 · 김세근 · 이정권 · 노훈 · 임응천 · 한태경 · 한치운 · 이치영 등이었다. 이들은 군단 창설에 필요한 재정 마련과 후원은 물론 사관학교 주요 기간요원과 교관으로 활동했다. 다만 하와이군사령부가 실제 군총 사용을 불허했기 때문에, 훈련시에는 목총으로 대체했다.
대조선국민군단과 사관학교 운영은 하와이 각 지방의 군사훈련을 담당하던 하와이지방총회 연무부에서 담당했으며, 사관학교 주요 인물은 박용만을 비롯하여 [[박종수]] · [[안원규]] · 구종곤 · 이호 · 김세근 · 이정권 · 노훈 · 임응천 · 한태경 · 한치운 · 이치영 등이었다. 이들은 군단 창설에 필요한 재정 마련과 후원은 물론 사관학교 주요 기간요원과 교관으로 활동했다. 다만 하와이군사령부가 실제 군총 사용을 불허했기 떄문에, 훈련시에는 목총으로 대체했다.


대조선국민군단은 파인애플 경작지를 물려받거나 일부 농업인들의 기부를 받아 군단의 재원을 확보했다. 대조선국민군단의 운영은 한인소년병학교 시절부터 지켜왔던 둔전병제가 원칙이었는데, 단원들은 군단에 기숙하면서 농장에 나가 노동을 하고 틈틈이 군사훈련과 학습을 하였고 100여명으로 시작하여 많을 때는 300여명에 이르렀다.
대조선국민군단은 파인애플 경작지를 물려받거나 일부 농업인들의 기부를 받아 군단의 재원을 확보했다. 대조선국민군단의 운영은 한인소년병학교 시절부터 지켜왔던 둔전병제가 원칙이었는데, 단원들은 군단에 기숙하면서 농장에 나가 노동을 하고 틈틈이 군사훈련과 학습을 하였고 100여명으로 시작하여 많을 때는 300여명에 이르렀다.
107번째 줄: 107번째 줄:
1919년 [[3.1 운동]] 소식을 접한 뒤, 박용만은 오아후, 하와이, 카우아이 섬에서 남아있는 지지자들을 모아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를 조직하고, 대한독립선언서를 번역하여 지역신문에 게재했다. 이후 3월 30일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가 정식으로 조직되었고, 6장 58조로 구성된 약장을 제정했다. 이후 4월 13일 상하이에 조직된 임시정부 외무총장에 피선되었으며, 한성정부로부터 외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19년 [[3.1 운동]] 소식을 접한 뒤, 박용만은 오아후, 하와이, 카우아이 섬에서 남아있는 지지자들을 모아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를 조직하고, 대한독립선언서를 번역하여 지역신문에 게재했다. 이후 3월 30일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가 정식으로 조직되었고, 6장 58조로 구성된 약장을 제정했다. 이후 4월 13일 상하이에 조직된 임시정부 외무총장에 피선되었으며, 한성정부로부터 외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19년 5월 17일 미 육군 운송함 토마스 호를 타고 호놀룰루를 출발한 박용만은 마닐라를 거쳐 7월경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 8월 말 [[조성환 (1875년)|조성환]], 백준, 박상환, [[이승복 (1895년)|이승복]], 김병희 등과 만나 대한국민군(大韓國民軍)을 조직하고 총사령에 조성환을 추대하고 자신은 총참모로 취임했다.  
1919년 5월 17일 미 육군 운송함 토마스 호를 타고 호놀룰루를 출발한 박용만은 마닐라를 거쳐 7월경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 8월 말 [[조성환 (1875년)|조성환]], 백준, 박상환, [[이승복]], 김병희 등과 만나 대한국민군(大韓國民軍)을 조직하고 총사령에 조성환을 추대하고 자신은 총참모로 취임했다.  


1919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총장에 피선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이동휘 (1873년)|이동휘]] 등과 함께 하와이 대조선독립단을 비롯하여 국내 및 해외 각지에 국민군을 확대, 조직하는 방안을 강구했다. 이에 임시정부 측은 상하이에 와서 외무총장으로 활동하지 않는 박용만을 비판했고, 박용만은 1920년 4월 3일 상하이로 와서 만찬회에 참석해 안창호에게 "나는 군사주의에 뜻이 있으므로 외교일은 보지 못하겠다."고 말한 뒤 4월 19일 국무원 회의에서 사임했다.
1919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총장에 피선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이동휘]] 등과 함께 하와이 대조선독립단을 비롯하여 국내 및 해외 각지에 국민군을 확대, 조직하는 방안을 강구했다. 이에 임시정부 측은 상하이에 와서 외무총장으로 활동하지 않는 박용만을 비판했고, 박용만은 1920년 4월 3일 상하이로 와서 만찬회에 참석해 안창호에게 "나는 군사주의에 뜻이 있으므로 외교일은 보지 못하겠다."고 말한 뒤 4월 19일 국무원 회의에서 사임했다.


그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민군을 창설하는 것이 연해주에 주둔한 일본군의 탄압으로 여의치 않자 베이징으로 거점을 옮겼다. 1920년 4월 중순 [[문창범]]을 만나 군사단체의 통일과 러시아에서의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는 방안을 협의했다. 이후 [[김가진]]이 조직한대동단에 가담하여 무정부장으로 활동하다 상무부장 [[나창헌]]이 러시아로 가서 활동할 것을 권하자 5월에 [[신채호]], [[유동열]], 김영학 등과 함께 베이징을 떠나 러시아로 향했다.
그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민군을 창설하는 것이 연해주에 주둔한 일본군의 탄압으로 여의치 않자 베이징으로 거점을 옮겼다. 1920년 4월 중순 [[문창범]]을 만나 군사단체의 통일과 러시아에서의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는 방안을 협의했다. 이후 [[김가진]]이 조직한대동단에 가담하여 무정부장으로 활동하다 상무부장 [[나창헌]]이 러시아로 가서 활동할 것을 권하자 5월에 [[신채호]], [[유동열]], 김영학 등과 함께 베이징을 떠나 러시아로 향했다.
218번째 줄: 218번째 줄:
[[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분류:철원군 출신]]
[[분류:철원군 출신]]
[[분류:1881년 출생]]
[[분류:1928년 사망]]
[[분류:대한독립선언서 연서자 39인]]
[[분류:대한독립선언서 연서자 39인]]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