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위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크리어티||2019년에 openNAMU 기반으로 개설한 위키 (舊 바다위키, 現 크리어티)}}
{{폐지|웹사이트}}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이름     = 바다위키
| 이름 = 바다위키
|원어이름 =  
| url = bada.wiki
|패비콘  =  
| 영리 여부 = 비영리<ref>일단은 비영리이나 추후 영리화가 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영리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f>
|로고    =  
| 종류 = [[위키위키]]
|그림    =  
| 등록 = 가능
|그림설명 =  
| 언어 = [[한국어]]
|URL      = bada.wiki
| 콘텐츠 라이선스 = CC BY-NC-SA 2.0 KR
|종류    = [[위키]]
| 프로그래밍 언어 = [[PHP]]([[미디어위키]])
|운영    = 최고 운영자: 산지기(Admin)<ref>Sanzigi라는 부계정 보유</ref><br />임시 운영자: Astral, Cypruns2
| 운영자 = 최고 운영자: 산지기(Admin)<ref>Sanzigi라는 부계정 보유</ref></br>
|제작    =  
임시 운영자: Mcastral25, Cypruns2
|언어    = [[한국어]]
| 시작일 = {{날짜/출력|2016-5-13}}
|시작일  = [[2016년]] [[5월 13일]]
| 종료일 = [[2017년]] [[5월 18일]]<br />({{날수|2016|5|13|2017|5|18}}일간 운영)
|종료일   = [[2017년]] [[5월 18일]]
| 현재 상태 = 운영 중단
|회원가입 = 가능
|라이선스 = CC BY-NC-SA 2.0 KR
|영리여부 = 비영리
|작성언어 = [[PHP]]([[미디어위키]])
|비고    =  
}}
}}
'''바다위키'''는 [[대한민국]]의 [[위키]]이다.
'''바다위키'''는 [[대한민국]]의 [[위키]]이다.


==개요==
==개요==
[[나무위키 영리 논란]] 와중에 기여자 내역 등의 로그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덤프가 4월 24일에 공개되었는데, 이 덤프를 이용해 [[2016년]] [[5월 13일]]에 개장한 위키가 바다위키이다. 뒷산이라는 커뮤니티의 하위 사이트로 추정된다.
[[나무위키 영리 논란]] 와중에 기여자 내역 등의 로그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덤프가 4월 24일에 공개되었는데, 이 덤프를 이용해 {{날짜/출력|2016-5-13}}에 개장한 위키가 바다위키이다. [http://duitsan.com 뒷산]이라는 커뮤니티의 하위 사이트로 추정된다.


임시 가칭은 '십덕위키'였는데, 사용자의 제안을 위키 운영자가 받아들여 위키의 이름이 바다위키로 결정되었다.
임시 가칭은 '십덕위키'였는데, 사용자의 제안을 위키 운영자가 받아들여 위키의 이름이 바다위키로 결정되었다.
44번째 줄: 38번째 줄:


=== 위키 사용자의 문제 ===
=== 위키 사용자의 문제 ===
일부 이용자들이 [[나무위키]] 및 [[아카라이브]] 관련 문서에 대해 [[문서 사유화]] 행위를 하고 있다. 사실관계 확인도 거치지 않은 허위사실을 함부로 기재하거나, 개인 블로그 링크 등을 홍보 목적으로 등재하는 식이다. 다른 이용자들은 이에 대해 항의하고 있지만, 바다위키가 나무위키의 영리화 의혹에 반대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들어 무시했다.
일부 이용자들이 '''[[나무위키]] 및 [[나무라이브]] 관련 문서에 대해 [[문서 사유화]] 행위'''를 하고 있다. 사실관계 확인도 거치지 않은 허위사실을 함부로 기재하거나, 개인 블로그 링크 등을 홍보 목적으로 등재하는 식이다. 다른 이용자들은 이에 대해 항의하고 있지만, 바다위키가 나무위키의 영리화 의혹에 반대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들어 무시했다. {{ㅊ|산지기가 그런 생각을 했을까}}


=== 기타 ===
=== 기타 ===
반드시 단점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바다위키 발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반드시 단점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바다위키 발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미디어위키 기본설정이기는 하지만 [[리그베다 위키]] 기반의 [[나무위키]]나 [[오리위키]]와는 달리 문서 삭제나 복구 권한이 일반 사용자에게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이 점 때문에 불필요한 문서의 삭제가 원활하지 않다는 것도 문제.
* 미디어위키 기본설정이기는 하지만 [[리그베다 위키]] 기반의 [[나무위키]]나 [[오리위키]]와는 달리 문서 삭제나 복구 권한이 일반 사용자에게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이 점 때문에 불필요한 문서의 삭제가 원활하지 않다는 것도 문제.
* 2016년 12월에는 운영자들이 활동을 많이 하지 않았고, 한 달 가까이 삭제 요청한 문서들이 수북히 쌓인 적도 있었다. 2017년 1월에 새로 임명된 임시 관리자 Cypruns2가 삭제 신청한 문서들을 대거 삭제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 2016년 12월에는 운영자들이 활동을 많이 하지 않았고, 한 달 가까이 삭제 요청한 문서들이 수북히 쌓인 적도 있었다. 2017년 1월에 새로 임명된 임시 관리자 Cypruns2가 삭제 신청한 문서들을 대거 삭제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 사건 사고 ==
== 사건 사고 ==
55번째 줄: 49번째 줄:
[[나무위키]]에서 Jujakacc 계정으로 대규모 반달 사건이 벌어졌을 때 일부 나무위키 유저들이 바다위키에 보복성 반달을 가한 적이 있었다.
[[나무위키]]에서 Jujakacc 계정으로 대규모 반달 사건이 벌어졌을 때 일부 나무위키 유저들이 바다위키에 보복성 반달을 가한 적이 있었다.
=== 2017년 5월 18일 종료 ===
=== 2017년 5월 18일 종료 ===
2017년 5월 17일에 뒷산에 "관리자"라는 계정을 가진 유저가 바다위키 관리 중단 공지를 올렸다. 그러나 해당 유저는 관리자 권한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종료 공지를 헤드라인 공지글 형태로 올리지도 않았고, 위키 대문에도 종료 공지를 올리지 않았다. 또한 해당 공지글에는 서비스 중단 일자가 적혀있지 않아 가짜 공지를 의심하게 했다.
2017년 5월 17일에 뒷산에 "관리자"라는 계정을 가진 유저가 바다위키 관리 중단 공지를 올렸다. 그러나 해당 유저는 관리자 권한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종료 공지를 헤드라인 공지글 형태로 올리지도 않았고, 위키 대문에도 종료 공지를 올리지 않았다. 또한 해당 공지글에는 서비스 중단 일자가 적혀있지 않아 가짜 공지를 의심하게 했다.  


다음 날 운영자 중 한 사람의 판단으로 해당 공지는 가짜 공지라고 결론을 내리고, 바다위키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공지를 냈다. 가짜로 의심되는 공지글도 블라인드 처리한 상태.
다음 날 운영자 중 한 사람의 판단으로 해당 공지는 가짜 공지라고 결론을 내리고, 바다위키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공지를 냈다. 가짜로 의심되는 공지글도 블라인드 처리한 상태.
61번째 줄: 55번째 줄:
그런데 18일 바다위키가 먹통이 되고, 공지가 되살아 나면서 헤더에 등록되었다. 이걸로 종료가 공식화 되었다. 다만 2017년 5월 26일 기준으로 뒷산은 멀쩡하게 접속이 가능한 점과 바다위키 도메인을 [[크롬 브라우저]]로 접속하려고 하면 "NAME NOT RESOLVED"가 아닌 "ERR CONNECTION REFUSED" 메시지가 뜨는 것으로 보아 도메인 이용 기한이 지나지 않았는데도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접속 불가능한 상태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8일 바다위키가 먹통이 되고, 공지가 되살아 나면서 헤더에 등록되었다. 이걸로 종료가 공식화 되었다. 다만 2017년 5월 26일 기준으로 뒷산은 멀쩡하게 접속이 가능한 점과 바다위키 도메인을 [[크롬 브라우저]]로 접속하려고 하면 "NAME NOT RESOLVED"가 아닌 "ERR CONNECTION REFUSED" 메시지가 뜨는 것으로 보아 도메인 이용 기한이 지나지 않았는데도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접속 불가능한 상태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폐쇄 이후, [[2017년]] [[6월 1일]]에 전직 관리자 중 한 명인 [[사용자:Utolee90|빛의 편지]]가 직접 바다위키를 대체할 위키로 [[새문위키]]를 개장하였다. [https://newdoor.kr 링크]
폐쇄 이후, [[2017년]] [[6월 1일]]에 전직 관리자 중 한 명인 [[사용자:Utolee90|빛의 편지]]가 직접 바다위키를 대체할 위키위키로 새문위키를 개장하였다. [http://utolee90.cafe24.com/index.php/%EC%83%88%EB%AC%B8%EC%9C%84%ED%82%A4:%EB%8C%80%EB%AC%B8 링크]


== 서비스 종료한 이유 ==
== 서비스 종료한 이유 ==
바다위키가 문을 닫은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용자 숫자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나무위키와 동시기에 문을 연 [[오리위키]]조차 이용자수 부족으로 문을 닫았는데, 바다위키는 나무위키보다 약 1년 후에 문을 연 사이트이다. 나무위키가 일련의 사건을 거치면서 [[대한민국]]에서 접속자수 10위권 안에 드는 사이트로 군림하고 있는 시점에서 바다위키는 단순히 나무위키의 영리화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설립한 소수 세력이 만든 사이트이며, 홍보도 제대로 하지 못 하는 등 다른 위키와 차별화를 하려는 시도를 하지 못 했다.
바다위키가 문을 닫은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용자 숫자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나무위키와 동시기에 문을 연 [[오리위키]]조차 이용자수 부족으로 문을 닫았는데, 바다위키는 나무위키보다 약 1년 후에 문을 연 사이트이다. 나무위키가 일련의 사건을 거치면서 [[대한민국]]에서 접속자수 10위권 안에 드는 사이트로 군림하고 있는 시점에서 바다위키는 단순히 나무위키의 영리화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설립한 소수 세력이 만든 사이트이며, 홍보도 제대로 하지 못 하는 등 다른 위키위키와 차별화를 하려는 시도를 하지 못 했다.
 
또한, 바다위키의 모체인 뒷산도 사이트 활성화를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다. 보통 인터넷 사이트라면 누군가가 게시판에 남이 알지 못 하는 유용한 정보나 재미를 추구하는 자료들을 올리면서 커뮤니티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게 순리이지만, 바다위키는 그러한 노력조차 없었다. 그러다보니 신규 유입이 줄어들어서 고인 물로 전락하는 등 사실상 [[친목질]]이 창궐하기 딱 좋은 상황이 된 것이다. 즉, 바다위키의 폐쇄는 소유자의 개인 사정 및 바다위키 및 뒷산 회원들의 노력 부족으로 초래한 결과라고 봐도 될 듯 하다.
 
[[오리위키]] 종료로 인해 유저가 조금이나마 유입되었지만 종료 직전의 활성 사용자수가 20명에 그쳤다. 서버비는 계속 나가는 데 비영리 라이선스를 준수하기 위해 위키와 뒷산 어느 곳에도 광고를 부착하지 않는 등 서버비를 충당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아 비용을 충당하기 곤란한 구조였다. 거기에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분쟁]]에서 2017년 4월 대법원이 엔하위키 미러 측의 상고를 기각하여 리그베다 위키측의 손을 들어준 판결을 내린 것도 있어 리그베다 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위키를 운영하기는 어려웠다는 점도 한몫했다.


== 바다위키 재개설 ==
또한, 바다위키의 모체인 뒷산도 사이트 활성화를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다. 보통 인터넷 사이트라면 누군가가 게시판에 남이 알지 못 하는 유용한 정보나 재미를 추구하는 자료들을 올리면서 커뮤니티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게 순리이지만, 바다위키는 그러한 노력조차 없었다. 그러다보니 신규 유입이 줄어들어서 고인 물로 전락하는 등 사실상 [[친목질]]이 창궐하기 딱 좋은 상황이 된 것이다. 즉, 바다위키의 폐쇄는 소유자의 개인 사정 및 바다위키 및 뒷산 회원들의 노력 부족으로 초래한 결과라고 봐도 될 듯 하다.
{{본문|크리어티}}


2019년 11월 9일에 바다위키라는 이름의 위키가 개설되었다. 다만 이름만 가져왔을 뿐 이전 바다위키의 데이터베이스도 가져오지 않았고 운영자도 다르고 위키 엔진도 미디어위키카 아닌 [[openNAMU]]를 사용하는 등 별개의 사이트이다.
다만 이용자 숫자만으로 봐서는 얼핏 이해가 안 될 수 있는 것이 일단 바다위키는 부진했긴 했어도 종료 직전에도 30일 이내 활동했던 사용자 숫자가 20명이 넘는 위키였다. 오히려 [[오리위키]] 종료로 인해 유저가 유입되기까지 했고. 하지만 나무위키에서 포크한, 방대한 양의 수십만개의 문서를 갖고 있는 위키의 특성 상 막대한 서버 자원을 요구했던 위키이고<ref>나무위키는 월 페이지 뷰가 3천만 건에 달하는 웹페이지다. 바다위키가 나무위키의 대안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일 30만 뷰 정도를 견뎌야 할 것인데, 위키 스킨 등을 고려해서 1뷰당 대략 100KB의 트래픽이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하루에 30GB 정도의 트래픽을 견뎌야 한다. 또한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들을 텍스트 형태로 치환해서 만든 json 파일의 용량은 대략 7.6GB이며, 이미지 파일이 수십만개인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50GB의 저장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위의 조건을 간신히 충족하는 서버를 구해도 월 2만원은 족히 잡아야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순간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 것까지 감안해서 저것보다는 더 큰 서버를 요구할 것이다. </ref>, 비영리 라이선스를 준수하기 위해 위키와 뒷산 어느 곳에도 광고를 부착하지 않는 등 서버비를 충당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아 서버비를 충당하기 곤란한 구조였다. 거기에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분쟁]]에서 2017년 4월 대법원이 리그베다 위키측의 데이터베이스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것도 있어 리그베다 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위키를 운영하기는 어려웠다는 점도 한몫했다.<ref>특히 [[청동]]이 [[퍼즐릿 정]]에게 승소하면서 1억 2000만원을 배상받은 전례가 생긴이상 그대로 있으면 청동에게 끝장날 확률이 높았다..</ref> 즉 고정비용은 막대하고, 법적인 분쟁에 휘말릴 위험부담을 감수할 만큼 사용자가 충당되지 않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


{{각주}}
{{각주}}
[[분류:위키]]
{{위키위키}}
[[분류:2016년 설립]]
[[분류:위키위키]]
[[분류:폐쇄된 웹 사이트]]
[[분류:2017년 서비스 종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