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틱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2번째 줄: 42번째 줄:
뭐 이것말고도 RouterBoard의 무선값도 이리저리 개조를 거칠수 있다. 슈퍼채널로 얽는다던가 그런것도 쉽고, 제일 문제는 역시 무선출력. HaP Lite보다 더 좋은 모델의 경우, 간단한 값 수정을 통해 1W(1000mW) 정도를 뽑을수 있으며<ref>대한민국의 공유기는 약 18±2 dBm 정도 값을 찍는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20 dBm가 거진 100mW 출력이다.</ref>, 당연히 전파법 위반<ref>몇몇 5Ghz 한정 10 dbm이다</ref>으로 책임 안진다. 초기 설정할때 무선 설정을 Korean Republic 로 놓고 관련 값을 변경하지 말자. 현재 송출값은 Webfig나 Winbox의 Wireless 항목의 Current Tx Pow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덤으로 전파법을 넘어 [[고자]]가 될 수도 있다.}} 농담아니고 후기를 읽어보면 집을 나와서 버스 정류장까지 와이파이가 개통(...) 되었다는 후기도 있으며, 집 단자함에 집어넣으면 아파트의 경우, 엘리베이터 안에까지 신호가 잡히고 정상적으로 와이파이가 가능하다(...).
뭐 이것말고도 RouterBoard의 무선값도 이리저리 개조를 거칠수 있다. 슈퍼채널로 얽는다던가 그런것도 쉽고, 제일 문제는 역시 무선출력. HaP Lite보다 더 좋은 모델의 경우, 간단한 값 수정을 통해 1W(1000mW) 정도를 뽑을수 있으며<ref>대한민국의 공유기는 약 18±2 dBm 정도 값을 찍는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20 dBm가 거진 100mW 출력이다.</ref>, 당연히 전파법 위반<ref>몇몇 5Ghz 한정 10 dbm이다</ref>으로 책임 안진다. 초기 설정할때 무선 설정을 Korean Republic 로 놓고 관련 값을 변경하지 말자. 현재 송출값은 Webfig나 Winbox의 Wireless 항목의 Current Tx Pow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덤으로 전파법을 넘어 [[고자]]가 될 수도 있다.}} 농담아니고 후기를 읽어보면 집을 나와서 버스 정류장까지 와이파이가 개통(...) 되었다는 후기도 있으며, 집 단자함에 집어넣으면 아파트의 경우, 엘리베이터 안에까지 신호가 잡히고 정상적으로 와이파이가 가능하다(...).


상위 모델의 경우 [[PoE | Power On Ethernet]], 광케이블 단자 등등을 주렁주렁 달고 있기도 하며, 가상 라우터 기능을 통해 RouterOS 안에 OpenWRT 같은 물건을 깔수 있게 지원해주고 있다.
상위 모델의 경우 Power On Ethernet, 광케이블 단자 등등을 주렁주렁 달고 있기도 하며, 가상 라우터 기능을 통해 RouterOS 안에 OpenWRT 같은 물건을 깔수 있게 지원해주고 있다.


여튼, 이런것 때문에 [[개발도상국]]등에서 풀출력을 놓고 섬간 [[와이파이]]를 놓는 경우가 있으며, 데이터 전송이 많은 [[CERN]]<ref>[[LHC]]가 풀 가동중이면 ATLAS 기준 초당 CD 한장이 나온다</ref>도 미크로틱의 중요 고객이다. 여튼, 중동쪽이나 아프리카 쪽에는 전선 깔 돈도 없어 무선 인프라로 설비를 설치하는데, 미크로틱은 이런 미친듯한 가성비를 토대로 하여 이런 국가들에 많이 퍼져 있으며, 이로인해 RouterOS를 공격하는 일이 왕왕 벌어진다. 최신 RouterOS / Winbox로 업뎃을 안할시, 공유기가 채광머신이 되거나 [[CIA]]나 [[NSA]], [[GCHQ]]의 손아귀에서 놀 가능성이 매우매우 높다.
여튼, 이런것 때문에 [[개발도상국]]등에서 풀출력을 놓고 섬간 [[와이파이]]를 놓는 경우가 있으며, 데이터 전송이 많은 [[CERN]]<ref>[[LHC]]가 풀 가동중이면 ATLAS 기준 초당 CD 한장이 나온다</ref>도 미크로틱의 중요 고객이다. 여튼, 중동쪽이나 아프리카 쪽에는 전선 깔 돈도 없어 무선 인프라로 설비를 설치하는데, 미크로틱은 이런 미친듯한 가성비를 토대로 하여 이런 국가들에 많이 퍼져 있으며, 이로인해 RouterOS를 공격하는 일이 왕왕 벌어진다. 최신 RouterOS / Winbox로 업뎃을 안할시, 공유기가 채광머신이 되거나 [[CIA]]나 [[NSA]], [[GCHQ]]의 손아귀에서 놀 가능성이 매우매우 높다.
72번째 줄: 72번째 줄:
*: 휴대용 액세스 포인트 제품군. 휴대용(mobile) 제품답게 엄청나게 작은 크기를 자랑한다. 다만 100Mbps/2.4GHz 제품을 마지막으로 별도의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는 않다. 전원은 마이크로USB로 5V를 공급받는다.  
*: 휴대용 액세스 포인트 제품군. 휴대용(mobile) 제품답게 엄청나게 작은 크기를 자랑한다. 다만 100Mbps/2.4GHz 제품을 마지막으로 별도의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는 않다. 전원은 마이크로USB로 5V를 공급받는다.  
* hAP시리즈  
* hAP시리즈  
*: 가정용 액세스 포인트 제품군. 액세스 포인트라고 하긴 하지만 LAN포트를 5포트 내외로 갖추는 등 사실상 [[공유기]]에 가깝다. 그럼에도 액세스 포인트라는 이름에 걸맞게 여전히 [[PoE]]를 지원한다. hAP ac부터 기가비트 인터넷을 지원하지만 성능상 문제로 실제 기가비트를 온전히 지원하는 것은 hAp ac²부터라는 평이 다수이다. 이는 미크로틱이 NAT을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 가정용 액세스 포인트 제품군. 액세스 포인트라고 하긴 하지만 LAN포트를 5포트 내외로 갖추는 등 사실상 [[공유기]]에 가깝다. 그럼에도 액세스 포인트라는 이름에 걸맞게 여전히 [[POE]]를 지원한다. hAP ac부터 기가비트 인터넷을 지원하지만 성능상 문제로 실제 기가비트를 온전히 지원하는 것은 hAp ac²부터라는 평이 다수이다. 이는 미크로틱이 NAT을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 hEx시리즈(RB750)
* hEx시리즈(RB750)
*: 소호를 타겟으로 한 소형 라우터 제품군. 원래는 RB750이라는 RB시리즈에서 출발한 제품으로 hEX의 경우 RB750Gr3, hEX lite의 경우 RB750Gr2라는 이름이 붙어잇다.
*: 소호를 타겟으로 한 소형 라우터 제품군. 원래는 RB750이라는 RB시리즈에서 출발한 제품으로 hEX의 경우 RB750Gr3, hEX lite의 경우 RB750Gr2라는 이름이 붙어잇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