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위키/설치 및 관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 문서는 리눅스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리눅스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 사이트를 서버에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사이트에서 미디어위키를 내려받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 사이트를 서버에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사이트에서 미디어위키를 내려받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https://www.mediawiki.org/wiki/Download/ko 이곳]에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받아서 서버에 업로드하면 위키사이트가 완성된다. 호스팅 사이트의 자동 설치 기능을 쓰는 건 추천하지 않으며, 번거롭더라도 직접 설치하는 걸 권장한다.
 
* 압축파일 받기[https://www.mediawiki.org/wiki/Download/ko 이곳]에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받자.
* git clone해서 설치
*: 설치 시 약간의 수동 설치도 포함된다. 버전이 업그레이드 될 때마다 일일이 tar.gz를 받을 필요 없이 git 명령어로 쉽게 버전을 올릴 수 있다.


웹 사이트가 동작하기 위해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는 웹 서버가 있다. 이 웹 서버가 없으면 미디어위키나 워드프레스가 설치되어도 유저에게 웹 사이트를 보여줄 수가 없다.
웹 사이트가 동작하기 위해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는 웹 서버가 있다. 이 웹 서버가 없으면 미디어위키나 워드프레스가 설치되어도 유저에게 웹 사이트를 보여줄 수가 없다.
15번째 줄: 11번째 줄:
== 웹 서버 설치 ==
== 웹 서버 설치 ==
위키 사이트 뿐만 아니라 모든 웹 사이트는 [[웹 서버]]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웹서버는 [[Apache]], [[Nginx]]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Apache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위키 사이트 뿐만 아니라 모든 웹 사이트는 [[웹 서버]]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웹서버는 [[Apache]], [[Nginx]]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Apache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리눅스 서버|LAMP}}
{{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웹서버 구축|LAMP}}


== 본격 미디어위키 설치 ==
== 본격 미디어위키 설치 ==
이 문단을 읽기 전에 파일 이동/복사 명령어나 sudo su 명령어로 관리자 계정으로 명령창을 사용할 줄 알아야 편하다.
이 문단을 읽기 전에 파일 이동/복사 명령어나 sudo su 명령어로 관리자 계정으로 명령창을 사용할 줄 알아야 편하다.


일단 설치에 앞서 미디어위키에 필요한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
일단 설치에 앞서 미디어위키에 필요한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해 줍시다.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udo apt install php-apcu php-curl php-intl php-mbstring php-gd php-cli php-zip php-xml
$ sudo apt install php-apcu php-curl php-intl php-mbstring php-gd php-cli php-zip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루트 경로: 웹 사이트의 최상위 경로로 서버의 한 폴더가 루트 경로로 할당된다. 기본적으로 /var/www/html에 위치한다.
루트 경로 : 웹 사이트의 최상위 경로로 서버의 한 폴더가 루트 경로로 할당된다. 기본적으로 /var/www/html에 위치한다.


해당 파일을 웹 서버의 루트 경로에 올려서 압축 해제를 하면 디렉토리가 하나 생깁니다. 그런데 보통 루트 경로인 /var/www/html은 보안을 위해 관리자 권한으로 막혀있습니다. 해결법은 단순합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서 폴더를 옮겨주면 됩니다. 명령어로 폴더나 파일을 옮기고 tar.xz나 ZIP파일 압축 해제하는 명령어를 구글 검색을 통해 알아봐야 한다. 귀찮다면 아예 '''폴더 탐색기를 슈퍼유저로 띄워서''' 옮기자. 실수로 파일을 지울 수도 있으므로 주의.
해당 파일을 웹 서버의 루트 경로에 올려서 압축 해제를 하면 디렉토리가 하나 생깁니다. 그런데 보통 루트 경로인 /var/www/html은 보안을 위해 관리자 권한으로 막혀있습니다. 그래서 관리자 권한 없이는 폴더를 옮기는게 어렵죠. 해결법은 단순합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서 폴더를 옮겨주면 됩니다. 명령어로 폴더나 파일을 옮기고 tar.xz나 ZIP파일 압축 해제하는 명령어를 구글 검색을 통해 알아봐야 한다. 귀찮다면 아예 '''폴더 탐색기를 슈퍼유저로 띄워서''' 옮기자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sudo GUI파일탐색기 (운영체제마다 기본 탐색기 프로그램이 다르다) nautilus, thunar, dolphins(sudo 유저 이용 불가) 등등
$ sudo GUI파일탐색기 (운영체제마다 기본 탐색기 프로그램이 다르다)
</syntaxhighlight>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 파일 탐색기.png]]


</syntaxhighlight>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 파일 탐색기.png]]


압축 해제한 mediawiki 디렉토리의 기본 명칭은 압축 파일명과 동일한데(mediawiki1.35~~) 그렇게 그대로 두면 사이트 접근성이 처참하게 떨어지니 'wiki','w' 등의 간단한 이름으로 바꿔주는 게 좋다. 그런 다음 '사이트 주소/설정한 디렉토리명'에 들어가보면 (참고로 여기서는 http://0.0.0.0/w
압축 해제한 mediawiki 디렉토리의 기본 명칭은 압축 파일명과 동일한데(mediawiki1.35~~) 그렇게 그대로 두면 사이트 접근성이 처참하게 떨어지니 'wiki','w' 등의 간단한 이름으로 바꿔주는 게 좋다. 그런 다음 '사이트 주소/설정한 디렉토리명'에 들어가보면 (참고로 여기서는 http://0.0.0.0/w
0.0.0.0이나 127.0.0.1(루프백)로 들어가서 설치하면 설정 파일의 ip를 0.0.0.0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위키를 설치한 컴퓨터(호스트)에서밖에 못 들어가고, 내부 ip로 접속, 설치하면 같은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도 접속할 수 있고, 외부 ip로 접속, 설치하면 네트워크 외부의 클라이언트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리브레위키나 위키백과는 도메인(외부ip/공인ip)으로 되어있다.)
0.0.0.0이나 127.0.0.1(루프백)로 들어가서 설치하면 위키를 설치한 컴퓨터에서밖에 못 들어가고, 내부 ip로 접속하면 같은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도 접속할 수 있고, 외부 ip로 접속하면 네트워크 외부의 클라이언트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리브레위키나 위키백과는 도메인으로 되어있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png]]
이런 화면이 뜬다, 'LocalSettings.php'가 없다는 문구에 당황할 필요는 없는데, 설치 과정이 이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일단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set up the wiki'를 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LocalSettings.php'가 없다는 문구에 당황할 필요는 없는데, 설치 과정이 이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일단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set up the wiki'를 클릭하면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2.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2.png]]
언어 선택 창이 뜨는데, 위의 것은 설치에 쓸 언어, 아래의 것은 위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언어이다. 대부분의 경우 둘 다 한국어일 것이다. 그 다음 뜨는 화면에서는 일반적으로 특별히 수행할 작업이 없으며, 설치가 가능한지 검사를 한다. 거기서 '계속' 탭을 누른다.
언어 선택 창이 뜨는데, 위의 것은 설치에 쓸 언어, 아래의 것은 위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언어이다. 대부분의 경우 둘 다 한국어일 것이다. 그 다음 뜨는 화면에서는 일반적으로 특별히 수행할 작업이 없으며, 설치가 가능한지 검사를 한다. 거기서 '계속' 탭을 누른다.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3.png]]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3.png]]
여기서 무엇이 설치안되었나 체크가 가능하다. 작성자가 실수로 php-gd나 Imagemagick을 설치하지 않아 스크린샷처럼 섬네일을 불러오지 못한다고 한다. 둘 중 하나를 설치하고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자.
여기서 무엇이 설치가 안 되었나 체크가 가능하다. 작성자가 실수로 php-gd나 Imagemagick을 설치하지 않아 스크린샷처럼 섬네일을 불러오지 못한다고 한다. 둘 중 하나를 설치하고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자.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6.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6.png]]
해결했다. 아래를 보면 사진을 업로드 하는 기능에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하여 웹 서버를 설정해주자.
해결했다. 아래를 보면 사진을 업로드 하는 기능에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하여 웹 서버를 설정해주자.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7.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7.png]]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sudo nano /etc/apache2/apache2.conf
$ sudo nano /etc/apache2/apache2.conf
60번째 줄: 55번째 줄:
Nano 편집기나 메모장같은 편집기로 웹 서버 설정파일(.ini .conf)에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기한다.
Nano 편집기나 메모장같은 편집기로 웹 서버 설정파일(.ini .conf)에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기한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image.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image.png]]
Nano 편집기같은 경우 Ctrl+X를 누르고 Y를 누르면 저장하고 종료된다.
Nano 편집기같은 경우 Ctrl+X를 누르고 Y를 누르면 저장하고 종료된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8.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8.png]]
일단 여기선 취약점이 뜨진 않는다.
이제 문제 없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9.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9.png]]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해야 하는데 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유저를 생성했으므로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그러고 나서 문자 집합을 선택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해야 하는데 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유저를 생성했으므로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그러고 나서 문자 집합을 선택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0.png]]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0.png]]
데이터베이스 '''호스트는 그대로 둔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웹 서버를 분리시킨 대형 위키를 빼고는 설정할 필요 없다. 그냥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유저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트는 그대로 둔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웹 서버를 분리시킨 대형 위키를 빼고는 설정할 필요 없다. 그냥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유저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2.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2.png]]
넘어간다
넘어간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3.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3.png]]
여기서 위키의 이름(리브레위키, 나무위키)과 관리자의 ID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키의 이름(리브레위키, 나무위키)과 관리자의 ID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파일:스크린샷 2021-02-06 18-22-58.png]]
[[File:스크린샷_2021-02-06_18-22-58.png]]
여기서 중간 절차를 진행할지 생략할지 물어보는데, 되도록이면 중간 절차를 모두 밟는 게 좋다. 더 많은 질문을 물어보세요를 클릭한다.
여기서 중간 절차를 진행할지 생략할지 물어보는데, 되도록이면 중간 절차를 모두 밟는 게 좋다. 더 많은 질문을 물어보세요를 클릭한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4.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4.png]]
그럼 확장기능 및 라이선스, 이
그럼 확장기능 및 라이선스, 이
메일, 기본 스킨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칸이 나온다. 이 부분은 도움말 탭의 설명으로 충분하니 별도로 쓰지 않는다.
메일, 기본 스킨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칸이 나온다. 이 부분은 도움말 탭의 설명으로 충분하니 별도로 쓰지 않는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6.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6.png]]
기본 내장된 필수 확장기능들은 대부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각 확장기능에 대한 설명은 [[미디어위키/확장기능]] 참고.
기본 내장된 필수 확장기능들은 대부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각 확장기능에 대한 설명은 [[미디어위키/확장기능]] 참고.
파일 올리기는 특별한 경우가 없다면 활성화하는 게 좋다. '인스턴트 공용'은 [[위키미디어 공용]] 연동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파일 올리기는 특별한 경우가 없다면 활성화하는 게 좋다. '인스턴트 공용'은 [[위키미디어 공용]] 연동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로고에는 로고로 쓸 이미지 URL을 기입한다. 딱히 쓸 로고가 없다면 아직은 그대로 둬도 좋다.
로고에는 로고로 쓸 이미지 URL을 기입한다. 딱히 쓸 로고가 없다면 아직은 그대로 둬도 좋다.
그 다음에 페이지 하나에서 최종 확인을 거친다. 다시 그 다음 페이지에서 모든 설치가 끝나면 다음으로 넘어간다.
그 다음에 페이지 하나에서 최종 확인을 거친다. 다시 그 다음 페이지에서 모든 설치가 끝나면 다음으로 넘어간다.


[[파일:미디어위키 1.35 설치17.png]]
[[File:미디어위키 1.35 설치17.png]]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다. 중앙의 링크를 눌러 'LocalSettings.php' 파일을 다운받은 뒤에 index.php와 같은 디렉토리에 넣는다. 다운받은 파일을 FTP로 전송할 필요없이  vim이나 nano로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어도 된다. 보통 처음 미디어위키를 넣으면서 생긴 폴더에 넣은 뒤 위키에 들어가면 된다.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다. 중앙의 링크를 눌러 'LocalSettings.php' 파일을 다운받은 뒤에 index.php와 같은 디렉토리에 넣는다. 보통 처음 미디어위키를 넣으면서 생긴 폴더에 넣은 뒤 위키에 들어가면 된다.


== 관리 ==
== 관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