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합중국 (어스 2150)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게임 [[어스 2150]]에 등장하는 문명합중국(UCS) 진영에 관한 소개.
게임 [[어스 2150]]에 등장하는 문명합중국(UCS) 진영에 관한 소개.


30번째 줄: 31번째 줄:
* 정제소: 하베스터가 채취한 광물을 정제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정제소: 하베스터가 채취한 광물을 정제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광물 수송기지: 본편 캠페인 전용 건물. 하베스터가 채취한 광물을 적재하며 2000 크레딧 단위마다 자원 수송기가 날아와 본진의 우주선 선착장으로 광물을 운송한다. 임의로 수송기를 호출하여 광물을 본진으로 보내는 것 또한 가능.
* 광물 수송기지: 캠페인 전용 건물. 하베스터가 채취한 광물을 적재하며 2000 크레딧 단위마다 자원 수송기가 날아와 본진의 우주선 선착장으로 광물을 운송한다. 임의로 수송기를 호출하여 광물을 본진으로 보내는 것 또한 가능.


=== 방어시설(D) ===
=== 방어시설(D) ===
77번째 줄: 78번째 줄:


=== 그 외 ===
=== 그 외 ===
* 우주선 선착장: 본편 캠페인 전용 건물. 본진에 존재하며 이곳에 100만 크레딧의 광물을 보내 이민선 제작을 완료하는 것이 본편 캠페인의 최종 목표이다. 각 미션에서 건설한 광물 수송기지에서 이곳으로 광물을 보낼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보유 중인 자금을 선착장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 1만 크레딧 단위마다 우주로 자원을 올려보낸다. 더 문 프로젝트 확장팩 일부 미션에서도 등장.
* 우주선 선착장: 캠페인 전용 건물. 본진에 존재하며 이곳에 100만 크레딧의 광물을 보내 이민선 제작을 완료하는 것이 본편 캠페인의 최종 목표이다. 각 미션에서 건설한 광물 수송기지에서 이곳으로 광물을 보낼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보유 중인 자금을 선착장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 1만 크레딧 단위마다 우주로 자원을 올려보낸다.


== 차체 ==
== 차체 ==
95번째 줄: 96번째 줄:
** 무기: 20mm 체인건, 유탄 발사기, 로켓 발사기, 105mm 활강포<sup>EXP</sup>, 플라즈마 캐논
** 무기: 20mm 체인건, 유탄 발사기, 로켓 발사기, 105mm 활강포<sup>EXP</sup>, 플라즈마 캐논
** 장비: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 장비: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 쉴드 장착한도: 타이거 III 전용(120 PSU)<sup>EXP</sup><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쉴드 장착불가.</ref>
** 쉴드 장착한도: 타이거 III 전용(120 PSU)<sup>EXP</sup>


* 스파이더 I: 중형급의 다족 보행형 메크. 타이거보다 체력이 높고 더 다양한 무기와 특수장비를 장착 가능하다. 단 방어력은 타이거보다 낮다.
* 스파이더 I: 중형급의 다족 보행형 메크. 타이거보다 체력이 높고 더 다양한 무기와 특수장비를 장착 가능하다. 단 방어력은 타이거보다 낮다.
107번째 줄: 108번째 줄: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헤비 로켓 발사기, 플라즈마 캐논, 대공 플라즈마 캐논<sup>EXP</sup>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헤비 로켓 발사기, 플라즈마 캐논, 대공 플라즈마 캐논<sup>EXP</sup>
** 장비: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섀도우 제너레이터, 레이더, 배너
** 장비: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섀도우 제너레이터, 레이더, 배너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ref>버전업 패치 이전의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쉴드 장착불가.</ref>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마인레이어 I: 지뢰매설차량. 적이 매설한 지뢰의 해체 또한 가능하다.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소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 마인레이어 I: 지뢰매설차량. 적이 매설한 지뢰의 해체 또한 가능하다.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소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 마인레이어 II: 속도 +1,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75, 방어력 +25%. 최종 체력과 방어력은 본편이나 확장팩이나 675/50%로 동일하다.</ref> 매설 가능한 지뢰 탑재량 10에서 20으로 증가.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소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ref>중형 이상의 쉴드 장착 상태의 마인레이어 I을 야전 수리장비로 차체 업그레이드시 쉴드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된다.</ref>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중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 마인레이어 II: 속도 +1,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75, 방어력 +25%. 최종 체력과 방어력은 본편이나 확장팩이나 675/50%로 동일하다.</ref> 매설 가능한 지뢰 탑재량 10에서 20으로 증가.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소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중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 무기: 20mm 체인건, 유탄 발사기, 로켓 발사기, 105mm 활강포<sup>EXP</sup>, 플라즈마 캐논
** 무기: 20mm 체인건, 유탄 발사기, 로켓 발사기, 105mm 활강포<sup>EXP</sup>, 플라즈마 캐논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전 / 중형(12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후<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차체 업그레이드 전후로 각각 대형/소형 쉴드 장착 가능.</ref>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전 / 중형(12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후


* 팬서 I: 대형 2족 보행형 메크. 체력과 방어력이 우수하다. 대형 유탄 발사기 장착시 장거리 포격 유닛으로 운용 가능하다.
* 팬서 I: 대형 2족 보행형 메크. 체력과 방어력이 우수하다. 대형 유탄 발사기 장착시 장거리 포격 유닛으로 운용 가능하다.
137번째 줄: 138번째 줄: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히드라 I: 대형 전함. 확장팩 버전업 패치에서 체력이 이전보다 상승했다.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대형 유탄 발사기의 장착이 가능해졌다.
* 히드라 I: 대형 전함. 확장팩 버전업 패치에서 체력이 이전보다 상승했다. 확장팩에서 대형 유탄 발사기의 장착이 가능해졌다.
* 히드라 II: 속도 +1, 체력 +200, 방어력 +25%.<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150, 방어력 +25%.</ref> 소형 포탑 1개 추가.
* 히드라 II: 속도 +1, 체력 +200, 방어력 +25%.<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150, 방어력 +25%.</ref> 소형 포탑 1개 추가.
* 히드라 III: 체력 +20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2번째 선체 업그레이드시 체력 추가 상승효과 없음.</ref> 소형 포탑 1개 추가.
* 히드라 III: 체력 +20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2번째 선체 업그레이드시 체력 추가 상승효과 없음.</ref> 소형 포탑 1개 추가.
147번째 줄: 148번째 줄:
* 오르카 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잠수함. 사거리가 긴 플라즈마 탄두를 발사한다.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ED의 키예프보다 체력이 높다.
* 오르카 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잠수함. 사거리가 긴 플라즈마 탄두를 발사한다.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ED의 키예프보다 체력이 높다.
* 오르카 II<sup>EXP</sup>: 속도 +1, 체력 +250.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오르카 II<sup>EXP</sup>: 속도 +1, 체력 +250.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무기: 잠수함 플라즈마 탄두 발사기<sup>EXP</sup><ref>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도 같이 업그레이드 적용</ref>
** 무기: 플라즈마 탄두 발사기<sup>EXP</sup><ref>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도 같이 업그레이드 적용</ref>


=== 공중 ===
=== 공중 ===
171번째 줄: 172번째 줄:
* 가고일 III: 체력 +30.
* 가고일 III: 체력 +30.
** 무기: 20mm 체인건→가고일 체인건 (무기 업그레이드 시), 가고일 로켓 발사기,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sup>EXP</sup>
** 무기: 20mm 체인건→가고일 체인건 (무기 업그레이드 시), 가고일 로켓 발사기,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sup>EXP</sup>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가고일 II 이상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뱃 I: 중형급 반중력 항공기.
* 뱃 I: 중형급 반중력 항공기.
* 뱃 II: 체력 +75.
* 뱃 II: 체력 +75.
** 무기: 폭격기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 무기: 폭격용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


* 드래곤 I: 폭격기 포지션의 대형급 반중력 항공기. 뱃과 속도가 같으면서 체력과 방어력은 더 우월하다.
* 드래곤 I: 폭격기 포지션의 대형급 반중력 항공기. 뱃과 속도가 같으면서 체력과 방어력은 더 우월하다.
* 드래곤 II: 체력 +150.
* 드래곤 II: 체력 +150.
** 무기: 폭격기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 무기: 폭격용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그 외 ===
=== 그 외 ===
* 그리즐리 I: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초대형 메크. 2400의 체력과 75%의 방어력으로 재규어를 능가하는 수준의 초월적인 스탯을 지니고 있다. 초대형 유닛임에도 속도가 그리 느리지 않다. 로스트 소울 캠페인의 UCS측 주인공 마커스 고르딘(Marcus Gordin)이 탑승하고 있는 기체이다. 해당 기체의 무장은 헤비 플라즈마 캐논 1문과 배너.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 그리즐리 I: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초대형 메크. 2400의 체력과 75%의 방어력으로 재규어를 능가하는 수준의 초월적인 스탯을 지니고 있다. 초대형 유닛임에도 속도가 그리 느리지 않다. 로스트 소울 캠페인의 UCS측 주인공 마커스 고르딘이 탑승하고 있는 기체이다. 해당 기체의 무장은 헤비 플라즈마 캐논 1문과 배너.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 그리즐리 II: 캠페인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않으나 유닛 소환 코드를 통해 불러올 수 있다. 스탯은 그리즐리 I에서 체력 +600.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 그리즐리 II: 캠페인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않으나 유닛 소환 코드를 통해 불러올 수 있다. 스탯은 그리즐리 I에서 체력 +600.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 그리즐리 III: 본편 캠페인과 더 문 프로젝트 캠페인 특정 미션에서 등장한다. 스탯은 그리즐리 II에서 추가적으로 체력 +600. 무장은 본편 등장 기체의 경우 헤비 로켓 발사기와 로켓 발사기 각 1문, 더 문 프로젝트 캠페인 등장 기체의 경우 헤비 플라즈마 캐논 및 플라즈마 캐논 각 1문 탑재 모델과 헤비 로켓 및 대공 플라즈마 캐논 각 1문 탑재 모델의 2종류가 존재한다.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 그리즐리 III: 본편 캠페인과 더 문 프로젝트 캠페인 특정 미션에서 등장한다. 스탯은 그리즐리 II에서 추가적으로 체력 +600. 무장은 본편 등장 기체의 경우 헤비 로켓 발사기와 로켓 발사기 각 1문, 더 문 프로젝트 캠페인 등장 기체의 경우 헤비 플라즈마 캐논 및 플라즈마 캐논 각 1문 탑재 모델과 헤비 로켓 및 대공 플라즈마 캐논 각 1문 탑재 모델의 2종류가 존재한다. 아티팩트 입수나 수리장비 등을 통해 대형 쉴드 장착 가능.
498번째 줄: 499번째 줄:


== 무기 ==
== 무기 ==
* 20mm 체인건 1: 연사력이 좋은 기관총. 히트스캔 판정이며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하다. 단 중장갑 유닛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
* 20mm 체인건 1
** 20mm 체인건 2: 총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20mm 체인건 2


* 가고일 체인건 1: 가고일 전용 20mm 체인건. 일반 체인건보다 사거리가 조금 더 길다.
* 가고일 체인건: 가고일에 장착 가능.
** 가고일 체인건 2: 총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유탄 발사기 1: 폭발성 유탄을 발사하는 박격포. 곡사화기라 방벽을 넘어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유닛 중 타이거와 마인레이어가 장비 가능.
* 유탄 발사기 1:
** 유탄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유탄 발사기 2:


* 대형 유탄 발사기 1: 유탄 발사기의 대형화 버전으로 사거리와 공격력이 월등하다. 사거리가 매우 길어 방어탑의 사거리 밖에서 포격을 가할 수 있다. 유닛 중 팬서와 재규어가 장착 가능하며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히드라에도 장착할 수 있다.
* 대형 유탄 발사기 1:
** 대형 유탄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대형 유탄 발사기 2:


* 105mm 활강포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무기. 설정상 ED의 활강포 기술을 훔쳐와 개발한 결과물이라고 한다. 히트스캔 판정이며 소형 화기 중에서는 공격력이 강력한 편이다. 단 중장갑 유닛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 유닛 중 타이거와 마인레이어가 장비 가능. ED의 활강포와 달리 건물에는 부착할 수 없다.
* 105mm 활강포 1<sup>EXP</sup>
** 105mm 활강포 2<sup>EXP</sup>: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105mm 활강포 2<sup>EXP</sup>


* 120mm 활강포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대형 무기. 설정상 ED의 활강포 기술을 훔쳐와 개발한 결과물이라고 한다. 히트스캔 판정이며 105mm 활강포보다 공격력이 더 강력하다. 유닛 중 팬서와 재규어가 장비 가능. ED의 활강포와 달리 건물에는 부착할 수 없다.
* 120mm 활강포 1<sup>EXP</sup>
** 120mm 활강포 2<sup>EXP</sup>: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120mm 활강포 2<sup>EXP</sup>


* 로켓 발사기 1: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한 로켓 발사기. 로켓 탄약 업그레이드시 유도 기능이 붙는다. 단 안티미사일에 요격될 수 있다. UCS의 경우 대형 포탑에 장착할 수 있는 전용 로켓 발사기가 따로 존재하는데, 유닛에 부착하는 모델은 공격력이, 건물에 부착하는 모델은 사거리가 기존 로켓 발사기보다 우월하다.
* 로켓 발사기 1
**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로켓 발사기 2
** 로켓 발사기 3: 공격력 및 장탄수 추가로 증가.
* 로켓 발사기 3


* 가고일 로켓 발사기 1: 가고일 전용 로켓 발사기. 성능은 일반 로켓 발사기와 같으나 장탄수가 적다.
* 가고일 로켓 발사기 1: 가고일에 장착 가능.
** 가고일 로켓 발사기 2: 가고일에 장착 가능.
* 가고일 로켓 발사기 2: 가고일에 장착 가능.


* 헤비 로켓 발사기 1: 일반 로켓보다 크고 강력한 위력의 로켓을 발사한다. 일반 로켓보다 대미지가 훨씬 강력하다. 역시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하며 헤비 로켓 탄약 업그레이드시 유도 기능이 붙는다. 단 안티미사일에 요격될 수 있다.
* 헤비 로켓 발사기 1
** 헤비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헤비 로켓 발사기 2
** 헤비 로켓 발사기 3: 공격력 및 장탄수 추가로 증가.
* 헤비 로켓 발사기 3


* 폭격기 헤비 로켓 발사기 1: 중형 전투기용 헤비 로켓 발사기.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하다. 성능은 일반 헤비 로켓 발사기와 같으나 장탄수가 약간 더 많다.
* 폭격용 헤비 로켓 발사기 1: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
** 폭격기 헤비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폭격용 헤비 로켓 발사기 2: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


* 잠수함 플라즈마 탄두 발사기 1<sup>EXP</sup>: 오르카 전용 무기로 오르카 선체 연구 달성시 자동으로 따라와 유닛 조합 메뉴에서 선택 가능. 해당 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의 성능도 같이 향상된다. 단 슈퍼웨폰인 플라즈마 블래스트보다는 위력이 약하다.
* 잠수함 플라즈마 탄두 발사기<sup>EXP</sup>: 오르카 전용 무기로 오르카 선체 연구 달성시 자동으로 따라와 유닛 조합 메뉴에서 선택 가능. 해당 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의 성능도 같이 향상된다.
** 잠수함 플라즈마 탄두 발사기 2<sup>EXP</sup>: 공격력, 사거리, 장탄수 증가.


* 폭탄창 1: 지상에 폭격을 가하는 무기로 플라즈마 폭탄을 투하한다.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하다. 폭탄 재보급시마다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재장전 비용은 폭탄 1발당 20/30/100/200 크레딧. 단 플라즈마 폭탄에 의한 폭발은 쉴드에 1차적으로 대미지가 막힌다.
* 폭탄창 1: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
** 폭탄창 2: 장탄수 증가.
* 폭탄창 2: 뱃과 드래곤에 장착 가능.


* 플라즈마 캐논 1: 플라즈마를 발사하는 에너지 무기. 공격력 자체도 높고 유닛과 건물의 방어력을 무시한다. 단 ED의 레이저 캐논이나 LC의 에너지 무기들과 달리 투사체를 날려 공격하는 무기라 명중률이 조금 떨어진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플라즈마 캐논 1
** 플라즈마 캐논 2: 공격력 및 에너지 용량 증가.
* 플라즈마 캐논 2


*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가고일 전용 플라즈마 캐논. 공대지 전용 에너지 무기로 성능은 일반 플라즈마 캐논과 같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 1<sup>EXP</sup>
**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 2<sup>EXP</sup>: 공격력 및 에너지 용량 증가.
* 가고일 플라즈마 캐논 2<sup>EXP</sup>


* 대공 플라즈마 캐논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대공화기. 3세력의 확장팩 신규 대공화기 가운데 유일한 에너지 무기이다. ED의 대공기관포에 비해 연사력이 조금 낮고 히트스캔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지만 사거리는 더 길고 공격력 또한 매우 강하다. 유닛 중 카고 샐러맨더와 샤크가 장비 가능.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대공 플라즈마 캐논 1<sup>EXP</sup>
** 대공 플라즈마 캐논 2<sup>EXP</sup>: 공격력, 사거리, 에너지 용량 증가.
* 대공 플라즈마 캐논 2<sup>EXP</sup>


* 헤비 플라즈마 캐논 1: 플라즈마 캐논의 대형화 버전. 일반 플라즈마 캐논보다 훨씬 막강한 위력을 지녔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헤비 플라즈마 캐논 1
** 헤비 플라즈마 캐논 2: 공격력 및 에너지 용량 증가.
* 헤비 플라즈마 캐논 2
** 헤비 플라즈마 캐논 3: 차량 장착 모델 한정으로 부포탑에 보조무기 또는 장비 부착 가능.
* 헤비 플라즈마 캐논 3


* 지진파 발생기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대형 에너지 무기. 지진을 일으켜 적의 건물에 피해를 입히며 지하에서 지상의 건물을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유닛에게는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대미지 자체는 높지 않으나 지진을 통해 피해를 주는 방식이라 건물의 쉴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에너지 무기라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
* 지진파 발생기 1<sup>EXP</sup>
** 지진파 발생기 2<sup>EXP</sup>: 공격력 증가 및 재충전 시간 감소.
* 지진파 발생기 2<sup>EXP</sup>


== 탄약 ==
== 탄약 ==
* 20mm 탄환: 20mm 체인건용 총탄.
* 20mm 탄환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유탄: 유탄 발사기용 탄환. 소형/대형 유탄 발사기 공용 탄약이다.
* 유탄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로켓: 로켓 발사기용 로켓 탄환.
* 로켓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25%.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50%.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100%.
** 3차 업그레이드시:


* 헤비 로켓: 헤비 로켓 발사기용 로켓 탄환.
* 헤비 로켓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25%.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50%.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100%.
** 3차 업그레이드시:


* 105mm 포탄<sup>EXP</sup>: 105mm 활강포탄.
* 105mm 포탄<sup>EXP</sup>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120mm 포탄<sup>EXP</sup>: 120mm 활강포탄.
* 120mm 포탄<sup>EXP</sup>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플라즈마 폭탄: 폭격기에 탑재하는 폭탄.
* 플라즈마 폭탄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장비 ==
== 장비 ==
594번째 줄: 593번째 줄:


* 섀도우 제너레이터 1: 주변의 아군 유닛을 은폐하여 적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상태로 만든다. 단 헤드라이트를 켜거나 보급기의 보급을 받으면 은폐 상태가 풀리며, 각종 디텍터 장비의 감지 범위 내로 들어가도 발각된다. 관련 연구가 총 4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단계 연구 완료시 섀도우 타워가 해금되며 두번째 단계까지 완료해야 유닛에 장착 가능한 장비를 사용 가능하다.
* 섀도우 제너레이터 1: 주변의 아군 유닛을 은폐하여 적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상태로 만든다. 단 헤드라이트를 켜거나 보급기의 보급을 받으면 은폐 상태가 풀리며, 각종 디텍터 장비의 감지 범위 내로 들어가도 발각된다. 관련 연구가 총 4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단계 연구 완료시 섀도우 타워가 해금되며 두번째 단계까지 완료해야 유닛에 장착 가능한 장비를 사용 가능하다.
** 섀도우 제너레이터 2: 은폐 범위 향상.
* 섀도우 제너레이터 2: 은폐 범위 향상.
** 섀도우 제너레이터 3: 은폐 범위 추가 향상. 섀도우 타워와 비슷한 범위의 아군 유닛을 은폐시킨다.
* 섀도우 제너레이터 3: 은폐 범위 추가 향상. 섀도우 타워와 비슷한 범위의 아군 유닛을 은폐시킨다.


* 레이더: 섀도우 제너레이터 연구시 같이 해금되는 장비. 같은 UCS의 섀도우나 ED의 스텔스를 감지한다. ED나 LC의 디텍터와 다르게 부가기능이 없는 순수 감지 장비이다. 타 진영의 디텍터 장비들과 달리 방어타워나 기지 건물의 포탑에 따로 부착할 수 없으며 유닛에만 장착할 수 있다.
* 레이더: 섀도우 제너레이터 연구시 같이 해금되는 장비. 같은 UCS의 섀도우나 ED의 스텔스를 감지한다. ED나 LC의 디텍터와 다르게 부가기능이 없는 순수 감지 장비이다. 타 진영의 디텍터 장비들과 달리 방어타워나 기지 건물의 포탑에 따로 부착할 수 없으며 유닛에만 장착할 수 있다.


* 야전 수리장비 1: 대미지를 입은 아군 유닛을 수리할 수 있는 장비. 타이거와 스파이더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확장팩에서는 카고 샐러맨더와 샤크에도 장착시킬 수 있다.
* 야전 수리장비 1: 대미지를 입은 아군 유닛을 수리할 수 있는 장비. 타이거와 스파이더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확장팩에서는 카고 샐러맨더와 샤크에도 장착시킬 수 있다.
** 야전 수리장비 2: 수리 속도 증가. 아군 유닛이 장착한 무기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 기능 추가.
* 야전 수리장비 2: 수리 속도 증가. 아군 유닛이 장착한 무기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 기능 추가.


*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확장팩 추가 장비. 이름 그대로 적의 건물을 점령한다. 야전 수리장비 업그레이드 연구 완료시 장비 연구가 해금된다.
*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확장팩 추가 장비. 이름 그대로 적의 건물을 점령한다. 야전 수리장비 업그레이드 연구 완료시 장비 연구가 해금된다.
607번째 줄: 606번째 줄:


* 쉴드 제너레이터 1: 600 PSU의 소형 쉴드 제공. 버전업 패치 이후 확장팩에서는 타이거 III 전용으로 용량 120 PSU의 소형 쉴드 제너레이터가 존재한다.
* 쉴드 제너레이터 1: 600 PSU의 소형 쉴드 제공. 버전업 패치 이후 확장팩에서는 타이거 III 전용으로 용량 120 PSU의 소형 쉴드 제너레이터가 존재한다.
** 쉴드 제너레이터 2: 1200 PSU의 중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2: 1200 PSU의 중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3: 1800 PSU의 대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3: 1800 PSU의 대형 쉴드 제공.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어스 2150]]
* [[어스 2150]]
* [[유라시아 왕조 (어스 2150)]]
* [[루나 코퍼레이션 (어스 2150)]]


{{각주}}
{{각주}}
[[분류:탑웨어 어스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