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알코올 맥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무알코올 맥주'''는 [[맥주]]에서 모종의 방법으로 [[알코올]]을 제거한 [[음료]]다. 알코올을 제거하는 방법은 고진공증류법과 역삼투압법이 있으며, 제조법에 따라 잔류 알코올의 양에 차이가 남는다.
== 정의 ==
'''무알코올 맥주'''는 맥주에서 모종의 방법으로 알코올을 제거한 음료다. 알코올을 제거하는 방법은 고진공증류법과 역삼투압법이 있으며, 제조법에 따라 잔류 알코올의 양에 차이가 남는다.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알코올이 1% 미만으로 첨가되면 [[술]]이 아닌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알코올 맥주 역시 알코올 도수가 1도 미만인 것들이다. 극소량의 알코올이 남아있기 때문에<ref>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535970&section=sc3</ref> 너무 많이 마시면 술에 취하거나 [[음주운전]] 단속에 걸릴 수도 있다. {{ㅊ|그정도로 마시기 전에 배가 터질 것 같지만}}
한국에서는 법적으로 알코올이 1% 미만으로 첨가되면 술이 아닌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국내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알코올 맥주 역시 알코올 도수가 1도 미만인 것들이다. 극소량의 알코올이 남아있기 때문에 너무 많이 마시면 술에 취하거나 음주운전 단속에 걸릴 수도 있다고 한다. {{ㅊ|그정도로 마시기 전에 배가 터질 것 같지만}}


== 맛 ==
== 맛 ==
11번째 줄: 12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도라다 신 ===
[[파일:dorada.jpg|400px]]
맥주 특유의 쓴맛 뒤에 비릿한 듯한 쓴맛이 입에 오래 남는다. 국산 무알코올 맥주보다는 확연히 낫다.
=== 마이셀 바이스 ===
[[파일:maisel's weisse.jpg|400px]]
짙고 불투명한 색으로, 맥주 특유의 풍미가 강하고 신맛이나 쓴맛이 강하지 않다. 거품이 다른 무알코올 맥주보다 많은 편이다.
=== 맥스 라이트 ===
입에 머금고 목으로 넘기기 이전에 이미 맛이 사라져있을 정도로 밍밍한 맛.
밀러의 다른 맥주처럼 옥수수 시럽 계열의 향이 나는 편이다.<ref name="술덕후의 무알콜 맥주 마셔주는 남자">https://www.youtube.com/watch?v=sS8Ov-IzZrc</ref>
=== 비트부르거 드라이브 ===
=== 비트부르거 드라이브 ===
[[파일:bitburger drive 1.jpg|400px]]
[[File:bitburger drive 1.jpg|400px]]
[[파일:bitburger drive 2.jpg|400px]]
[[File:bitburger drive 2.jpg|400px]]


'비트버거 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수입되고 있다.
'비트버거 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수입되고 있다.


투명한 황금빛 무알코올 맥주다. 보리의 향과 맛이 두드러지고 끝에 살짝 신맛이 난다. 맛이 입안에 오래 남지 않는다.
투명한 황금빛 무알코올 맥주다. 보리의 향과 맛이 두드러지고 맛이 입안에 오래 남지 않는다.
 
=== 산 미구엘 ===
[[파일:san miguel.jpg|400px]]
 
싱겁지도 않고 쓴맛도 적다. 다만 신맛이 강한 편.
 
=== 에딩거 프라이 ===
[[파일:erdinger.jpg|400px]]
 
효모를 전부 걸러내지는 않는 타입이기 때문에, 맥주잔에 어느 정도 따른 뒤에 캔을 흔들어 가라앉은 효모를 마저 따라야 제맛이 느껴진다.
 
맛이 오래 남지는 않는다. 밍밍한 느낌은 아니고 깔끔하게 끝나는 편. 전반적으로 괜찮은 맛이지만 뒷맛이 살짝 시큼하다.
 
=== 외팅어 ===
[[파일:oettinger.jpg|400px]]
 
적절한 쓴맛에 적절한 신맛. 여러모로 모난점이 없다.
 
바디감도 있고 맛도 괜찮은 편. 다만 맥주로서라기보다는 보리 에이드로서 맛있다는 느낌 정도.<ref name="술덕후의 무알콜 맥주 마셔주는 남자" />
 
=== 크롬바커 바이젠 ===
[[파일:krombacher weizen.jpg|400px]]
 
크롬바커 필스보다 탄산으로 인한 거품이 더 많다. 탁하고 약간 짙은 갈색으로, 쓴맛이 옅고 짧게 끝나는 편이다.
 
=== 크롬바커 필스 ===
거품은 많지 않지만 탄산감이 약간 큰 편으로, 신맛은 적고 쓴맛도 심하지 않다. 다만 쓴맛의 여운이 살짝 길게 가면서 금속맛이 조금 느껴진다. 전반적으로 국산 맥주와 비슷한 느낌이면서 맛은 조금 더 나은 편.
 
=== 클라우드 클리어 제로 ===
[[파일:kloud.jpg|400px]]
 
밍밍한 편이지만 최악은 아니다. 살짝 신맛이 나면서 왠지 막걸리를 연상시킨다.
 
=== 클라우스탈러 클래식 ===
[[파일:clausthaler.jpg|400px]]
 
탄산이 강하지 않아 부드러운 느낌.
 
가장 맥주에 가깝다는 평이 있다.<ref name="술덕후의 무알콜 맥주 마셔주는 남자" />
 
=== 하이트 제로 ===
[[파일:hite zero.jpg|400px]]
 
맛이 얕고 가벼운 느낌이 드는데다 끝에 비릿한 맛이 난다. 다만 시큼한 맛은 적은 편이다.
 
맥아향이 꽤 나는 편이다. 일반 맥주와 비교하여 나쁜 편을 받지만 무알코올 맥주 중에서는 그래도 그럭저럭 잘 만든 편이라고 한다.<ref name="술덕후의 무알콜 맥주 마셔주는 남자" />


[[분류:음료]]
[[분류:음료]]
[[분류:맥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